고려속요의 여음(餘音)(여음의 개념 정의, 여음의 기원, 여음의 음운상 특징, 여음의 특징)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5.04.24 / 2015.04.24
  • 8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1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본문내용
고려속요의 여음(餘音)
Ⅰ. 여음의 개념 정의
여음의 개념을 정의하기 위해 먼저 여음이라는 용어가 쓰인 문헌을 찾아보면, 열자 <탕문편>에 ‘옛날에 한아라는 사람이 동으로 제나라에 갔다가 양식이 떨어져서 옹문을 지날 때, 노래를 팔아서 음식을 얻어먹고 가버렸으나, 여음이 그 집 대들보를 둘러싼 채 사흘이나 사라지지 않았다.’는 기록을 볼 수 있다. 또한 소식의 <적벽부> 중, ‘여음이 길고 약하게 울리어 실의 가닥처럼 끊어지지 않았다. 이것은 깊은 구렁의 숨은 교룡도 춤추게 하고, 외로운 배의 홀어미도 울게 만들었다.’는 구절에도 여음이라는 말이 나온다. <여음에 대한 한 고찰>, 김쾌덕, 『태야최동원선생회갑기념국문학논총』, 1983
이들 문헌에 사용된 ‘여음이라는 말은 고전시가에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는 어느 특정구나 단어의 명칭으로서의 여음이 가지는 의미와는 다른 뜻으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소식의 <적벽부>에 나오는 여음은 약하고 길게 울리는 소리로서, 처음에 난 실제의 소리는 완전히 끝났으나, 연이어 나는 듯한 계속음으로 이해된다. 이는 열자 <탕문편>에 나오는 여음이라는 말에도 적용되는 것으로, 노래가 끝난 다음에도 그 음이 절묘했으므로 계속 들리는 듯한 환청 같은 음을 지칭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볼 때, 옛 문헌이나 작품 속에 나오는 여음이라는 용어는 詩歌謠의 어떤 특수부분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여음의 사전적 뜻인, ‘소리가 그친 뒤 여파로 남아 있는 음향’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고산 윤선도의 <漁父四時詞>에도 여음이라는 말이 나오는데, 그 부분을 인용해보면 다음과 같다.
江강山산이 됴타들 내 分분으로 누얻냐
님군 恩은惠혜를 이제 더욱 아노이다.
아리 갑고쟈 야도 올일이 업세라
此乃山中新曲 漫興第六章而以爲 漁父詞餘音 故重錄於此
여기에 나오는 여음이라는 말은 한 주제에 따른 노래를 부른 뒤 미처 다 부르지 못한 詩歌를 의미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문학적인 개념으로서의 여음은 <어부사시사>에 나오는 것이 그 효시라고 할 수 있다.
여음은 개념상, 물리적 여음, 음악적 여음, 문학적 여음의 세 가지로 구분해 볼 수 있으며, 그러므로 <탕문편>이나 <적벽부>에 나오는 여음은 물리적 여음이라 할 수 있다. 여음은 먼저 물리적인 뜻에서 출발하여 그 의미가 확대되어 나가는 과정에서 음악적, 또는 문학적인 용어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하여 고려속요의 공통적 특질로서 빈번하게 반복되어 사용되는 시어, 또는 가사를 의미하는 ‘여음’이라는 용어는 문학적 여음의 개념으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여음의 개념을 정의하면, ‘흥과 멋을 돋우거나 운율을 고루어 음악적 효과를 거두기 위해 사용된 무의미한 사설(實辭라 하더라도 무의미하게 전용된 경우) 내지 감탄적 사설’이라고 할 수 있다. <고려가요를 중심으로 본 여음후렴의 성격과 그 후대적 변모양상>, 조해숙, 『전농어문연구』제10집, 1998.
또한 여음은 ‘직접적으로 주제를 표출하는 데 관여하는 것이 아니고, 내용을 드러내는 데 직접 참여하는 實辭를 보조하는 데 쓰이는 시가구조의 종속부분’을 말한다고 할 수 있다.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고려속요에서의 여음의 기능과 특징(정의, 과정과 발달)
  • 고려속요의 가장 큰 특징인데, 시가의 흥과 멋을 돋우는 기능을 하는 ‘여음’이 큰 역할을 한다.본 발제지에서는 여음의 개념에 대해 살펴본 후, 여음의 생성 과정과 발달, 또 그 여음의 위치에 따라 나누어진 위치별 분류와 성분별 분류에 대해 알아보겠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여음이 가지는 기능인 ‘종결, 분절, 수사, 해음, 조흥’에 대해 파악한 후 본고를 마무리 하겠다.Ⅱ 본론 1. 여음의 정의문학적인 의미의 여음은 구비문학, 특히 구창문학인

  • 고려속요 여음의 종류(내용, 위치별)와 기능
  • 기원의 의미’를 내포한 감탄의 발현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위’, ‘위위’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위위 다로러거디러 다로러 위 덩더둥셩 위 증즐가 太平聖代 고려속요 작품들 가운데 ‘위’라는 어구가 쓰인 작품으로는 「서경별곡」, 「사모곡」, 「가시리」, 「한림별곡」 등이 있다. ‘위’는 경기체가에서 뚜렷이 나타나는 여음이며, ‘위위’는 ‘위’를 중첩함으로써 어감을 강조하고

  • 고려속요 여음의 기능과 특성
  • 속요의 작품 내용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연구가 이루어 졌으나 아직도 의미를 알 수 없는 표현이나 어휘들이 많고, 특히 형식에 대해서는 거의 연구가 되지 않은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고려 속요에 대한 연구를 함에 있어서 여음 연구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고려 속요의 특징적 형식의 한 부분으로서 여음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이렇듯 고려속요의 중요한 형식상 특징인 여음의 개념과 종류, 기능 및 특

  • 고려속요 여음의 분류와 기능
  • 여음의 특징1) 반복성(反復性)반복성은 여음에서 운단위(韻單位), 어단위(語單位), 구단위(句單位)로 나누어서 동운반복(同韻反復)과 유운반복(類韻反復), 동어반복(同語反復)과 유어반복(類語反復), 동구반복(同句反復)과 유구반복(類句反復)을 들 수 있다. 여기에 다시 두운반복(頭韻反復)과 말음반복(末韻反復)을 들 수 있으나 우리 고려속요의 반복의 특징은 후렴이란 말이 시사하는 바와 같이 회귀반복이다. 제1연의 여음이 제2연에 다시 다음 제3연

  • [한국시가운율론] 고려속요의 율격
  • 여음의 단락으로 나누어 속요의 운율을 살펴보기로 한다.2 본론고려속요의 명칭고려시대에 불린 노래이면서「소악부」에 수용되어 기록되었거나 宫中舞樂으로 수용되어 전해지다가 조선 초에 문자로 정착된 작품들을 속요라고 할 수 있는데 , 민간노래로서의 성격과 궁중노래로서의 성격이라는 양면성 때문에 논자에 따라 다양한 명칭으로 불렸다. 즉 장가, 별곡 속요, 고려속요 등 부른다. 고려시대의 시가 중에서 민간의 노래에 기원을 두고 있는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