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평 - 유충렬전 속의 도교적 이미지와 시대 상황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5.03.29 / 2015.03.29
  • 6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0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본문내용
<유충렬전> 속의 도교적 이미지와 시대 상황
서론
고전 소설을 보면 많은 종류의 군담소설 1) 전쟁에 관한 이야기를 소재로 한 고대소설로, 3가지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첫째, 《징비록(懲毖錄)》 《서정록(西征錄)》 등과 같은 실전담류(實戰譚類), 《임진록(壬辰錄)》 《박씨전(朴氏傳)》 등의 역사적 사건을 소설화한 역사 군담류(歷史軍談類), 《유충렬전(劉忠烈傳)》 《이대봉전(李大鳳傳)》 등의 가공적 영웅을 허구화한 창작 군담류(創作軍談類)를 통틀어 일컫는 경우, 둘째, 위의 경우에서 《징비록》 《서정록》 등의 실담류(實譚類)를 제외하고 역사 군담류와 창작 군담류를 아울러 일컫는 경우, 셋째, 가공적 영웅을 허구화한 창작 군담류만을 가리키는 경우 등이다.
임진왜란의 충격으로 빚어진 여러 가지 비화(悲話)와 일화(逸話)를 소재로 해서 창작열이 자극되었다고 볼 수 있다. 창작 군담류의 내용은 중국소설의 체제와 형식을모방하여, 대개 주인공이 분연히 일어나 목숨을 홍모(鴻毛)와 같이 여기고 나라를 위하여 용감히 전장에 뛰어나가 큰 공을 세우고 돌아오나, 어려서는 난을 만나 부모와 이별하여 온갖 고생을 다하게 되고, 또 연인(戀人)과 서로 만나고 헤어지고 하여 사랑을 위하여 모든 희생을 다하는 등, 한때는 가정이 곤경에 빠지지만 종말에는 한데 모여 일가가 단란해진다는 이야기로 민간에서 널리 읽혀졌다.
군담소설에는 위에서 든 외에도 《임경업전(林慶業傳)》 《조웅전(趙雄傳)》 《소대성전(蘇大成傳)》 《월왕전(越王傳)》 《황운전(黃雲傳)》 《장풍운전(張風雲傳)》 《장국진전(張國鎭傳)》 《장경전(張敬傳)》 《양풍전(楊豊傳)》 《현수문전(玄壽文傳)》 《쌍주기연전(雙珠奇緣傳)》 등이 있다.
이 있다. 그 중 유충렬전은 작가 미상의 작품으로서 <조웅전>과 더불어 조선 후기를 대표하는 영웅소설인데 주몽신화에서 비롯된 영웅의 일대기에 매우 충실한 작품이다. 국문본인 유충렬전은 그 연대가 불분명하나 작품속에서 천자가 성에 고립되어 항복하려 한다는 점이나 황실의 가족이 인질로 잡혀가는 등의 내용은 병자호란을 겪고난 후의 조선후기 소설로 짐작하게 한다. 이러한 작품의 현실적 상황이 병자호란의 치욕을 씻기 위하여 작품속에서 호국을 두 번이나 정벌하게 되는데 이 때 왕권과 국력이 아닌 유충렬이라는 영웅의 힘에 의존한다. 이렇듯 한 국가를 정벌하는데 필요한 힘과 내용의 신빙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작품속에서 작가는 도교의 술법에 의존하게 되는데 이는 영웅소설의 초기 단계인 홍길동전과 같은 작품에서 보여주는 술법과 유사하나 홍길동전에서처럼 무작정 타고난 것이 아니라 그 술법의 근원을 천상계와 지상계라는 이원적 공간을 설정하고 천상의 사람이 지상으로 내려와 천상의 도움을 받는다는 등의 이야기로 제시하고 있다.
여기서는 앞에서 말한 영웅소설 속에서 주인공에게 힘을 부여하기 위해 쓰이는 도교의 역할이 유충렬전 속에 어떻게 반영되었으며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겠다. 또한 작품속에 투영된 시대적 상황에 대해 간략하게 짚어보겠다.
본론
도교의 경신과 경전
유충렬전에 들어가기 앞서 도교에서 믿는 신과 경전의 형태에 대해 짚어보도록 하겠다. 도교에서 받드는 신들은 매우 잡다(雜多)할 뿐 아니라 시대에 따라서 그것은 새로이 생기기도 하고 없어지기도 하였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가장 널리 제사 지내는 신에는 원시천존(元始天尊) 또는 옥황상제(玉皇上帝)가 있고 이는 다시 무형천존(無形天尊) 무시천존(無始天尊) 범형천존(梵形天尊)으로 변신하기도 한다. 그리고 교조인 노자, 곧 노군(老君)도 원시천존의 화신(化身)이라고 믿는다. 그 밖에도 현천상제(玄天上帝:北極星) 문창제군(文昌帝君) 후토(后土) 서낭신[城隍神] 조군(君:五祠 중의 한 神) 화합신(和合神) 삼관(三官) 재신(財神) 개격신(開格神) 동악대제(東嶽大帝:泰山神) 등 수많은 신들을 제사지낸다. 한편 도교의 경전을 통틀어서 도장(道藏)이라고 한다.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고전시가론요점
  • 속요, 경기체가->조선초기 (15c);악장, 경기체가->16c; 고려 말엽부터 이어져온 시조, 가사(가사는 사대부 지식인 중심)->19c 기 층민 중심의 잡가(시조, 가사와 병존)는 개화기 지나서도 성행1.3. 고전시가 이해의 바람직한 태도-텍스트 중심주의적 이해 탈피; 텍스트가 산출된 컨텍스트(context), 곧 텍스트 ‘상황’, 배경도 중시예)향가의 배경설화는 작품해석의 중요 정보-시인- 텍스트-독자는 긴밀한 결속-직접 낭송, 몸으로 경험*2강. 제2장. 상대시가 (p.1

  • [국문학] 서포 김만중의 생애와 작품의 이해-구운몽, 사씨남정기, 서포만필
  • 도교적 색채가 짙게 나타나는 작품이지만, 도교적 색채는 작품 자체의 신이함을 드러내기 위해 주로 쓰인 것으로 보인다.④ 무속신앙 : 사씨남정기(부정적 이미지 투사)서포가 무속신앙에 대하여 특별한 언급을 한 내용은 없으나, 당시 조선시대에서 무속신앙이 어떠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는지 파악할 수 있는 자료가 될 수 있겠다. 유교적 가치관에 따라 말과 행동을 옮기는 사씨와 달리, 교씨는 사씨의 방에 주술물을 심어두거나 술법을 써서 남자

  • 9급 국어 정리 레포트
  • 속요, 시조, 잡가, 신체시, 현대시- 서사 : 서사민요, 서사 무가, 판소리, 신화, 전설, 민담, 소설- 희곡 : 인형극, 가면극, 창극, 신파극, 현대극- 교술 : 교술민요, 경기체가, 악장, 가사, 창가, 가전체, 몽유록, 수필, 서간, 일기, 기행, 비평8. 문학 작품의 이해와 감상(1) 작품 이해의 방법a) 역사, 전기적 방법 : 환경적 요소(시대상황) + 작가에 대한 연구(작가의 체험,전기) => 역사주의 비평예) 지금 눈 내리고 / 매화 향기 홀로 아득하니 / 내 여기 가난한

  • 독후감 176권 638Page (서평,독후감상문,독후감 모음)
  • 속 취하고 있었다면, 그와 같은 자유주의는 결코 생겨나지 않았을 것이다. 래스키가 밀은 민주주의자였다. 그러나 그만큼 민주주의 해악을 비판한 사람도 없다. 그는 개인주의자 였다. 그러나 그 누구라 할지라도 그만큼 자유방임주의의 지나침에 대해 적의를 품은 사람도 없었다 고 말한 것처럼 그에 대한 엄밀한 평가가 어려운 측면도 있다.8. 서평밀의 자유론은 의지의 자유가 아니라 시민적 또는 사회적 자유, 즉 개인에 대해서 정당하게 행사할

  • [중국관련 독후감, 독후감 모음, 독후감] 중국에 관한 독후감(서평) 모음집
  • 시대의 창조물인 동시에 스스로 역사를 창조하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그렇게 때문에 시대적 배경과 사건이 있도록 작용한 인물이 없는 역사를 생각할 수가 없다. 인물들의 주위를 에워싼 수많은 사람들과 시대 상황의 인과관계로 사건이 발생하고, 이런 사건과 인물이 실타래처럼 얽히고 설키거나, 또는 끊어지면서 새로운 시대로 발전되는 과정이 곧 역사가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인물들이 자기에게 주어진 시대 상황과 사건들 속에서 나름의 사고와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