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적 시각에서 본 심청전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5.03.29 / 2015.03.29
  • 9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2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본문내용
<한국문학 배경론>
불교적 시각에서 본 심청전
목 차
Ⅰ . 서 론
Ⅱ . 본 론
1. 심청전의 주제
2. 권선 포교적 성격과 강창문학
3. 중요 화소의 재의적 성격
Ⅲ . 결 론
Ⅳ . 참고 문헌
Ⅰ . 序 論
심청전은, 여느 고전소설과 마찬가지로 그 정확한 창작 연대나 작자를 고증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그간의 집적된 자료들과 방대한 연구 성과로서, 그 가능한 연대를 추정할 수는 있을 것이다. 대략적인 학계의 추정은, 「효종조로부터 英正代로 꼽는데, 이것 또한 〈심청전〉이 창극본이라는 오류에서 빚어진 것이므로, 판소리계인 송동본 계열이나 완판본 계열에는 해당될는지 몰라도, 한남본 계열에는 해당되지 않는다. 한남본 계열은 더 많은 세월을 소급해 가야 되리라 믿는다. 특히 고대소설이 부녀자들에 의하여 전승되었다는 점을 고려하고 그 전승 과정이 폐쇄된 사회에서의 전승이라는 것을 고려한다면, 판소리 대본으로 쓰일 때까지 얼마마한 장구한 세월이 흘렀겠느냐 하는 것을 염두에 넣어야 하다. 현재의 기록으로는 기껏해야 순조 초엽까지 거슬러 올라가는데, 이런 것들은 대개가 판소리 내지는 판소리계 소설에 대한 기록이어서 문장체 소설인 한남본계에는 미치지 못한다. 」1) 와 같이, 그 상한성이 ‘효종’에서 머무르고는 있는데, 여러 가지 전후 관계나 시대적 정황으로 미루어, 사재동 역시 선조 이전으로부터 발생하기 시작한 것이라 조심스러운 추정을 하고 있는 터이다.
수많은 이본이 전해지고 있는 가운데 어떤 판본을 논의에 중심으로 삼는가에 대한 문제는 논의가 이루어지기 위한 핵심 바탕이다. 물론, 하나의 제목으로 이루어진 소설이 판소리계 소설과 문장체 소설로 공존하고 있으며, 서로 대립적인 면모를 보이는 와중에 한 이본만을 선택, 정밀히 연구하여 그에 따른 결론이 도출된들, 그것을 다른 여타의 이본에 대입시키기는 만무할 것이다. 그럼에도, 게으름을 핑계삼고 무기삼아, 중심판본을 선택해 보았다. 이어질 논의에 구심점이 되어줄 판본결정이야말로 가장 비중있는 핵심적 요소임에 틀림없으나 무지의 소산으로 인해 비교적 짧은 시간 동안 선행되어진 연구를 중심으로 경솔히 결정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앞서 연구되어진 많은 자료를 참고한 결과, 바로 위 단락에서도 제시된 경판 24장본(한남본)을 심청전의 원전으로 삼았다.(이하 경판 24장본) 「한 개인의 창작 소설인 ‘경판 24장본’에 나오는 인명지명사물명 등은 모두 그저 단순히 명명부여되지 않고, 작품 구조 전체와 긴밀한 상관 관계를 지니고 붙여진 것으로, 이들이 본래적본질적인 것임을 알 수 있다.」2)
원전으로 삼은 경판 24장을 바탕으로, 뒤이어 논의될 내용들은 불교를 배경사상으로 본 심청전이다.
무속을 비롯한 불교, 유교, 도교의 3교 사상은 예로부터 뿌리깊게 박혀 있는 우리 민중의 중심 사상이라 할 수 있다. 심청전 또한 예외는 아니어서, 이러한 사상적 기반이 혼합적으로 작품의 배경에 자리하고 있음을 살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심청전의 연원을 불전에서 찾는 주장이 있을 만큼, 3) 무엇보다 심청전의 핵심배경 사상은 불교에 그 기저를 두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어질 글에서는 이에 대한 근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1) 崔文和, “坊刻本「沈淸傳」硏究,” 高麗大 碩論 [1977.2], pp.108-109
2) 成賢慶, “판소리 문학으로서의「沈淸傳」,”『東亞硏究』, 5[1985.2], pp.184-185
3) 史在東, “「沈淸傳」 硏究序說,”『語文硏究』, 7[1971.10], p.169
Ⅱ . 本 論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방송대] 고전소설론 요점정리
  • 본령. *임형택- 봉건적 모순에 대한 민중의 저항, 주제-인격의 실현.제 3 부. 구운몽(九雲夢)의 이해(1) 저작시기①선천설- 유배소생활의 시간적 길이. 14개월.(이상택,정병욱,이승욱)②남해설- 모당의 운명을 전후해서 씌어졌을 것이다. (김무조) 남해의 금산, 성진골, 석교리 등의 지소와 전설이 구운몽의 불교적 성격, 주인공 성진, 성진이팔선녀와 석교상에서 만나는 것 등과 대응된다.(설성경)**일본 천리대학에 소장되어 있던 서포연포가 김병국에

  • [국문학] 심청전의 작품세계와 효사상의 현대적 의미fp
  • 불교적 효행담 인물형성에 있어서 큰 특징이라고 하겠다. 이러한 점도 『심청전』에서 등장인물들이 가난하게 그려진 모습과도 연관된다고 할 수 있다.그런데 이상에서 살펴본 『수신기』나 『삼국유사』같은 초기 효행담 가운데서도, 심청전과 가장 관련이 깊을 것으로 보이는 작품은 중국 측의 「投水尋父尸」라는 딸의 효행담 (숙선니화의 딸 숙선웅이 물에 들어가 아버지의 시신과 함께 떠오르는 것)과 한국 측의 「貧女養母」이야기라고 생각한

  • 국문학개론1공통) 향가의 형식과 내용서술한 다음 교재제시된 향가 중 한작품자신의 삶과결부하여감상 고전수필 판소리 고소설 서술하시오0k
  • 시각에서 본다면, 한글 고소설은 전혀 알려지지 않은 한글 고소설의 작자와 독자의 생각을 더듬어볼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박지원의 『열하일기』에 들어 있는 이야기들을 한국문학 연구 초창기부터 지금까지 계속 고소설의 하나로 다루어왔다. 그러나 이런 문제는 생각해보아야 한다. 조선시대 「허생전」을 한문으로 읽을 수 있던 극소수의 지식인들은 한글소설을 읽던 사람들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계층이다. 만약 「허생전」을 분석하는 틀이

  • [고전소설론]고전 소설의 소재
  • 시각과 감동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밖에 실사를 재구성하여 소설로 꾸며놓은 것으로는 조선 순조 때의 홍경래 난을 소재로 한 을 들 수 있다.소설의 서사 양식은 역사 서술 양식을 모태로 취하면서 가공담을 지향하고 있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소설의 기원은 실사에서 그 근거를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한문학 장르의 하나에 속하는 전양식은 대체로 실사적인 인물의 일대기를 표현하기 위한 서술에서 출발하였지만, 허균의 시

  • 심청전의 주제 연구 그리고 나름대로 글읽기
  • 심청전>의 주제는 ‘효’로 상식화되어 왔고 심청은 여인상을 대표해 왔다. 심청전의 주제가 ‘효’라는 인식은 김채준(조선소설사, 1932), 장덕순(국문학 통론, 1960), 김동옥(한국가요의 연구, 1961), 조윤제(이조문학의 양면상), 김기동(이조시대소설론, 1975), 사재동(심청전연구 서설, 1974), 최래옥(심청전의 총체적 분석, 1984) 등 많은 학자들이 보여주고 있다. 물론 효를 바라보는 시각에는 유교적 효, 불교적 효 등 차이를 드러내고 있다.이러한 주제 의식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