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기파랑가(달, 냇가, 자갈돌, 잣가지의 의미에 대해)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5.03.29 / 2015.03.29
  • 5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9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본문내용
찬기파랑가
(달, 냇가, 자갈돌, 잣가지의 의미에 대해)
◆ 본 문
咽嗚爾處米
露曉邪隱月羅理
白雲音逐于浮去隱安支下
沙是八陵隱汀理也中
耆郞矣貌史是史藪邪
逸烏川理叱積惡尸
郞也持以支如賜烏隱
心未際叱兮逐內良齊
阿耶栢史叱枝次高支乎
雪是毛冬乃乎尸花判也
[1]
열치매
나토얀달이
구룸조초떠가는안디하
새파란나리여해
기랑(耆郞)애즈지이슈라
일로나리ㅅ재벽해
낭(郎)애디니다샤온
마자매갓할좇누아져
아으,잣ㅅ가지노파
서리몯누올화반(花判)이여
[2]
흐느끼며바라보매
이슬밝힌달이
흰구름따라떠간언저리에
모래가른물가에
기랑의모습이올시수풀이여.
일오(逸烏)내자갈벌에서
낭의지니시던마음의갓을좇고있노라.
아아,잣나무가지가높아
눈이라도덮지못할고깔이여.
◆ 내용요약
신라 경덕왕 때의 일이다. 3월 삼짇날 왕이 귀정문 문루에 나와 좌우에 있는 사람더러 이르기를 "누가 길에 나서서 훌륭하게 차린 중 하나를 데려 올 수 있겠느냐?" 마침 상당한 지위에 있는 한 중이 점잖고 깨끗하게 차리고 술렁술렁 오는 것을 좌우에 있던 사람이 바라보고 곧 데려왔다. 왕이 말하기를 "내가 훌륭하게 차렸다고 말한 것은 이런 것이 아니다." 그리하여 그만 돌려보냈다. 또 한 중이 옷을 기워 입고 벚나무로 만든 통을 지고 남쪽으로부터 오고 있었다. 왕이 기쁘게 대하면서 문루 위로 맞아 들였다. 그 통속을 드려다 보니 차 다리는 제구가 들어 있을 뿐이다. 왕이 묻기를 "그대는 누구인가?" 중이 말하기를 "충담입니다." 또 묻기를 "어디서 오는 길인가?" 중이 말하기를 "소승이 매년 3월 삼짇날과 9월9일 날은 차를 다리어 남산 삼화령에 계신 부처님께 올립니다. 지금도 차를 올리고 막 돌아오는 길입니다." 왕이 말하기를 "나도 그 차 한잔을 얻어 마실 연분이 있겠는가?" 중이 차를 다리어 올리었는데 차 맛이 희한할뿐더러 차중에서 이상한 향기가 무럭무럭 났다. 왕이 말하기를 "내가 일찍이 듣건대 대사의 기파랑을 찬양한 사뇌가는 그 뜻이 심히 높다고 하는데 과연 그런가?" 대답하기를 "네, 그렇습니다." 왕이 말하기를 "그러면 나를 위해서 백성을 편안히 살도록 다스리는 노래를 지으라." 중이 그 당장 임금의 명령에 의해서 노래를 지어 바치었더니 왕이 잘 지었다고 칭찬하고 왕사를 봉하였다. 중은 두번 절한 다음 그 벼슬을 굳이 사양해서 받지 않았다.
◆ 주제 : 기파랑을 그리워하고 찬양함.
◆ 기존연구
찬기파랑가는 해독하는 이에 따라 의미가 달라진다. 마지막 3장에서는 해독의 차이가 크지 않다. 다만 양주동과 오꾸라는 花判을 花判으로 읽고 뜻은 화랑으로 풀었다. 그리하여 기파의 신분을 화랑으로 단정했던 것이다. 정열모는 ‘花判也’를 ‘곶 가리라’로 읽어 현대의 ‘갓(冠)’으로 풀었다. 정열모,『향가연구』, 1965, p.310.
‘눈과 서리를 꺾어내는 씩씩한 사람’이란 뜻으로 풀이했다. 김완진도 花判의 뜻을 ‘곳갈( )로 읽어 ’하늘 높이 솟은 잣나무의 윗가지 부분이 기랑의 모습의 고깔처럼 보이는 것을 노래하였다.“라고 보았다. 김완진,『향가해독법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1980, p.90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고전시가론] 장르에 따른 `달`의 의미 분석
  • 가지기파랑 을 나타냄찬기파랑가찬기파랑가- ‘찬기파랑가’에 대한 우리의 의견* 시대 : 통일 신라 ‘경덕왕’- 왕권 약화 시기- 충담에게 안민가를 부탁→ 당시 경덕왕은 충담이 지은 찬기파랑가에 대해 알고 있을 정도로 기파랑의 고매한 인품을 칭송했다기 보다 이러한 인재가 필요했을 것이라 생각* 기파랑을 인재로 대유적으로 이해* 기파랑은 달, 새파란 냇가, 잣나무로 상징 원 왕 생 가향가에 나타난 달의 의미 분석원왕생가月下伊

  • [한국문학] 월명사와 충담사의 향가와 신라사회
  • 찬기파랑가를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다. 안민가창작동기:위정자에게 정치적 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방안(도리)을 일깨워 줌 말투(어조):존대의 조건문 형식 →교훈적, 설득적, 권고적(충고적)대상:위정자찬기파랑가창작동기: 고인이 된 기파랑의 높은 인격을 추모, 예찬하기 위함말투(어조):영탄적, 원망(願望)적, 예찬적대상: 기파랑* 위 표에서 말투(어조)가 달라지는 이유⇒ 대상에 대한 태도가 다르기 때문임. 사회적 의미당시는 삼국통일을

  • 향가 사뇌가 의 성격
  • 달, 현인을 상징하는 백운, 현인인 기파랑의 위풍당당하고 올곧은 지의 때문에를 비유하고 암시한 잣가지 놉호, 시류편승자를 상징한 雪 등이 있다. 그 다음 파제 함축의를 살펴보면, 시제인 찬기파랑가는 기파랑을 찬양하는 노래의 의미로서 문면을 보면 찬양하는 내용이 없지만 위에서 제시한 함축의들을 보면 기파랑을 찬양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찬기파랑가의 함축의는 의격이 매우 높아 기의심고하다고 할 수 있다. 둘째, 3단 점층구조

  • 고전시가에 나타난 ‘돌’의 상징성
  • 의미열치매 露曉邪隱月羅理 나타난 달이 白雲音逐于浮去隱安支下 흰 구름 쫓아 떠가는 것 아니냐? 沙是八陵隱汀理也中 새파란 시냇물에 耆郞矣 史是史藪邪 기파랑의 모습이 있어라! 逸烏川理叱적惡希 이로 냇가 조약돌에 郞也持以支如賜烏隱 랑이 지니시던 心未際叱 逐內良齊마음의 끝을 쫓고파라 阿耶 栢史叱枝次高支好 아, 잣가지 드높아 雪是毛冬乃乎尸花判也 서리를 모르올 화랑장이여! 가. 찬기파랑가 - 충담사- ♧ 조약돌의 사전적

  • 균여전ㆍ삼국유사에서 찾아 본 향가 사뇌가 의 성격
  • 가지이다. 가만히 앉아 향가 한 수를 음미하고 있자면 저절로 신라인의 풍류에 젖어드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이렇듯 향가는 조용하지만 가장 깊고 큰 울림의 힘을 가지고 있다. 이번 레포트를 준비하면서 짧은 시간동안 제법 많은 자료들을 보았다. 한문도 많고 그 내용이 어려워 해석이나 주제 접근에 있어서 많은 오류가 따랐을지도 모르나 그래도 일주일이라는 시간동안 향가라는 주제에 사로잡혀 레포트를 완성했다는 데에 보람을 느낀다. 또 학자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