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천수양과 진리터득의 유교가치의 실현 「도산십이곡」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5.03.29 / 2015.03.29
  • 6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0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본문내용
실천수양과 진리터득의 유교가치의 실현
「도산십이곡」
1. 작품내용
1) 작품
언지
이런들 엇더하며 뎌런들 엇더하료?
草野愚生(초야 우생)이 이러타 엇더하료?
하물며 泉石膏(천석고황)을 고텨 므슴하료?
煙霞(연하)에 집을 삼고 風月(풍월)로 벗을 사마
太平聖代(태평성대)에 病(병)으로 늘거나뇌
이 듕에 바라는 일은 허므리나 업고쟈.
淳風(순풍)이 죽다하니 眞實(진실)로 거즈마리
人性(인성)이 어지다하니 眞實(진실)로 올흔 말이
天下(천하)에 許多 英才(허다 영재)를 소겨 말씀할가.
幽蘭(유란)이 在谷(재곡)하니 自然(자연)이 듯디 됴희
白雪(백설)이 在山(재산)하니 自然(자연)이 보디 됴해
이 듕에 彼美一人(피미일인)을 더옥 닛디 몯하얘.
山前(산전)에 有臺(유대)하고 臺下(대하)애 有水(유수)ㅣ로다.
떼만난 갈며기는 오명가명 하거든
엇디다 皎皎白鷗(교교 백구)는 멀리 마음하는고
春風(춘풍)에 花滿山(화만산)하고 秋夜(추야)애 月滿臺(월만대)라.
四時佳興(사시가흥)이 사람과 한가지라.
하물며 魚躍鳶飛(어약연비) 雲影天光(운영천광)이아 어늬 그지 이슬고.
언학
天雲臺(천운대) 도라드러 완락재 瀟灑(소쇄) 한듸
萬卷 生涯(만권생애)로 樂事(낙사)ㅣ 無窮(무궁)하애라.
이 듕에 往來 風流(왕래풍류)를 닐어 므슴할고.
雷霆(뇌정)이 破山(파산)하여도 聾者(농자)는 못 듯나니
白日(백일)일 中天(중천)하야도 者(고자)는 못 보나니
우리는 耳目(이목) 聰明(총명) 男子(남자)로 聾(농고) 같디 마로리.
古人(고인)도 날 몯 보고 나도 古人(고인) 몯 뵈.
古人(고인)을 몯 뵈도 녀던 길 알패 잇네,
녀던 길 알패 잇거든 아니 녀고 엇뎔고.
當時(당시)예 녀던 길흘 몃 해를 바려 두고,
어듸 가 다니다가 이졔야 도라온고?
이졔나 도라오나니 년 듸 마음 마로리.
靑山(청산)은 엇뎨하야 萬古(만고)애 프르르며,
流水(유수)는 엇뎨하야 晝夜(주야)애 긋디 아니난고?
우리도 그치디 마라 萬古常靑(만고 상청)호리라.
愚夫(우부)도 알며 하거니 긔 아니 쉬운가?
聖人(성인)도 못다 하시니 긔 아니 어려운가?
쉽거나 어렵거나 중에 늙는 주를 몰래라.
2) 내용요약
「도산십이곡」은 이황이 명종 20년에 도산서원에서 지은 작품이다. 12곡의 연시조로 이루어진 작품으로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뉜다. 전 6곡은 ‘언지(言志)’ 후 6곡은 ‘언학(言學)’으로 되어 있다. 언지(言志)에는 사물에 접하는 감흥을 노래했고, 언학(言學)에는 학문하는 자세에 대해서 노래했다.
1곡에는 아름다운 자연에 순응하면서 살아가려는 마음이 담겨있다. 2곡에는 아름다운 자연을 벗하여 살며 태평성대 속에 병으로 늙어 가는 작자의 모습이 그려져있다. 3곡에서는 세상의 많은 영재들에게 성선설의 옳음을 말하며, 순박하고 후덕한 풍습을 강조하고 있다. 4곡에서는 자연에 빠져 지내면서도 임금을 잊지 못해 그리워하는 정을 노래했다. 5곡에서는 세속인들이 입신양명에만 눈이 어두워 아름다운 자연을 등지는 안타까운 현실을 개탄하고 있다. 6곡에서는 대자연의 웅대함에 완전히 도취된 작자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7곡에서는 독서하는 즐거움과 그 여가에 산책하는 여유 있는 생활을 그린 작품이다. 8곡에서는 진리의 길을 걸어야하는 인간의 참된 도리를 밝히고 있다. 9곡에서는 옛 성현의 도리를 본받고자 한다. 10곡에서는 학문 수양에 대한 새로운 다짐을 한다. 11곡에서는 자연을 닮아 변치 않는 지조와 인품으로 살아가겠다는 다짐과 아울러 교훈적인 의미를 전하고 있다. 12곡에서는
영원한 학문 수양의 길을 강조하고 있다.
2. 주제
실천수양과 진리터득이라는 유교가치의 실현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고전시가] 이황, 이이와 그들의 시조
  • 도산십이곡>에서 당대의 시대적 요구를 묵묵히 담당하는 이황의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 도산연보에 65세 때 지은 것으로 기록되어 있는 의 창작 의도는 이란 제목의 발문에 잘 나타나 있다. 아래의 발문은 과 같은 우리말 노래를 짓게 된 연유를 언급함과 동시에 우리나라의 가요를 평하고 있어, 이 글을 통해 의 창작의도뿐만 아니라 유교적인 문학관도 함께 엿볼 수 있다. 오른쪽의

  • [교육사 공통] 교육사 교재에 소개된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교육사상가 및 실천가 중 1명을 선정하여 생애와 교육사상의 ~
  • 실천의 중요성을 강조한 교육오늘날의 교육은 다양한 매체의 활용으로 인하여 수많은 지식을 접하다 보니 아는 것은 매우 많으나 이를 행동으로 실천하는 모습은 찾아보기가 힘들다. 그런데 이황은 인(仁)은 경(敬)을 통해서 가능하며, 경은 일상생활에서 거경과 궁리를 통해서 가능하다고 하였다. 여기서의 거경과 궁리는 다시 말해서 거경은 행(行)을 의미하고 궁리는 지(知)를 의미한다. 즉 이론과 실천의 조화를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현대 교육이

  • [교육사 공통] 『교육사』 교재에 소개된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교육사상가 및 실천가 중 1명을 선정하여 생애와 교육사상~
  • (1990) 퇴계철학입문, 퇴계학연구원정순목(1990) 퇴계의 교육철학, 지식산업사 한국철학사연구회(1997) 한국철학사연구, 한울아카데미박재문(1991) 논문 : 이퇴계의 교육이론 연구, 퇴계학연구원김태오(2002) 논문 : 퇴계의 삶에서 본 교사상, 한국교육철학회정낙찬(1997) 논문 : 퇴계의 인간교육론, 한국교육철학회이민혁(1997) 퇴계 형이상학에 관한 연구, 가톨릭 대학교 석사 논문추교정(1981) 퇴계 이황의 도산십이곡 지도론, 1981학년도 석사학위 청구논문

  • [중국근세문학사] 송대 성리학과 조선 주자학 분석
  • 수양에만 몰두하였다. 이처럼 그가 벼슬을 거부하고 자연에 은거하게 된 되에는 무엇보다도 혼탁한 정치현실이 크게 작용한 듯 하다. 이상을 중시하는 주리론자 이황에게 그러한 혼탁한 현실은 견디기 어려웠을 것이다.자연으로 은거한 후 이황은 문학에서도 탁월한 재질을 발휘하였다. 그는 성리학자로서는 보기 드물게 3천여 수가 넘는 방대한 양의 시를 창작하였다. 특히 그가 지은 연시조 은 조선 중기 국문시가의 새로운 전통을 수립

  • [김수영, 김수영시] 김수영의 삶, 김수영 시의 특징, 김수영 시의 자아의식 변모양상, 김수영 시의 근대성, 김수영 시의 유교적 근본주의와 경건성에 관한 분석
  • 도산십이곡」을 통해 나타나 있었거니와, 정약용은 그것이 언과 지의 일치를 의미하는 것임을 이 사태의 와중에 분명히 밝힌다.사람이 작품을 쓴다는 것은 풀이나 나무에 꽃이 피는 것과 마찬가지다.(중략) 의지를 굳게 세우고 사상을 바로잡음으로써 그 뿌리를 북돋우며, 행동을 똑똑히 하여 자기 몸을 수양함으로써, 그 줄기를 바로 세우며, 경전과 예법을 연구함으로써 그 진액이 오르게 하고, 견문을 넓히고 예술을 익힘으로써 그 가지가 뻗어나고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