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경기도 방언(지역어,사투리)사례, 강원도,충청도 방언(지역어,사투리)사례, 경상도,전라도,황해도,함경도 방언(지역어,사투리)사례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1.03.10 / 2019.12.24
  • 43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7,5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Ⅰ. 제주도 방언(지역어, 사투리)의 사례
1. 소그멍말멍했수다
2. 봉강오쿠다
3. 대껴부런
4. 자파리
5. 화룩친다
6. 내불라
7. 와리지 말라
8. 경 골라
9. 도르멍
10. 괴우랑
11. 수고합서게
12. 봅데강
13. 놉뜨지 맙써
14. 무사마씸
15. 고무꾸다
16. 영 헙써
17. 창원한
18. 우뚝지
19. 이리옵서게
20. 이리오라게
21. 고라불라
22. 도맹생이
23. 아수까
24. 박세기
25. 산도록호다
26. 촘지금
27. 제배낭
28. 듯듯하다
29. 미깡
30. 배채우다
31. 강돌아라
32. 산승
33. 가메기통
34. 천아반
35. 도깽이주제
36. 밉성글르다
37. 머정떨어진다
38. 먹구정
39. 노녀와치
40. 말모래기
41. 맥주풍언
42. 고라불라
43. 대끼라
44. 봉그라
45. 폿자리
46. 도맹생이
47. 구둠

Ⅱ. 경기도 방언(지역어, 사투리)의 사례

Ⅲ. 강원도 방언(지역어, 사투리)의 사례
1. 등거지
2. 나대다
3. 나끈쟁이
4. 올갱이국수
5. 굴루다
6. 도장
7. 뚜꾸
8. 보애비
9. 베리
10. 지대로
11. 고녜이
12. 벅강지
13. 사그래나무
14. 밥자리
15. 뚜덕여
16. 채신이없이
17. 파
18. 대꾸
19. 활극
20. 성례
21. 짜장
22. 애최
23. 툽툽하게
24. 울화
25. 헐없이
26. 골김에
27. 사경
28. 먹초
29. 앵경
30. 쌔래붓다
31. 씨겁하다
32. 달부
33. 옥시끼
34. 괴기
35. 개비
36. 여깽이
37. 동갑살이
38. 난저라
39. 깔뚝국시
40. 꺼주하다

Ⅳ. 충청도 방언(지역어, 사투리)의 사례
1. 꼼꼼쟁이
2. 하겠슈
3. 버품
4. 바라구
5. 하시유
6. 벼륵
7. 찬차니
8. 겨 아녀?
9. 보라니깨
10. 한하고
11. 나슨개
12. 물심
13. 벼람박
14. 에피리똥
15. 버무땅채비
16. 벌레지
17. 버히다
18. 따쩌구리
19. 부치기
20. 농오리
21. 사작다리
22. 괴리때
23. 까시낭구
24. 단도렁
25. 지렁물
26. 씨가시
27. 불거워
28. 때똑하다
29. 간조로니
30. 껍데
31. 흐찔하다
32. 미꼬래미
33. 불무쟁이
34. 귀뚜라기
35. 싹수리
36. 더릅다
37. 머스매
38. 앙가심
39. 부초
40. 매야리
41. 달릅다
42. 헌대까지
43. 젓내기술
44. 야틉다
45. 기럭지
46. 한고등
47. 졸
48. 조래미
49. 어쩔껴

Ⅴ. 경상도 방언(지역어, 사투리)의 사례
1. 꼬닥가리
2. 미리미
3. 내미
4. 비묵다
5. 쪼깨
6. 뚱치다
7. 보리문디
8. 안개똥
9. 매끼
10. 사캈다
11. 쌔리빗다
12. 송신
13. 쨉이안된다
14. 가시
15. 누지르다
16. 까디비다
17. 골개
18. 쑤씨범벅
19. 인지
20. 보탄
21. 아지랍다
22. 앗아주다
23. 고나다
24. 깨배다
25. 시시하면
26. 쑥쑥다
27. 식겁
28. 매착없다
29. 꺼자다
30. 또빨
31. 새옻
32. 깨방
33. 쳐자내다

Ⅵ. 전라도 방언(지역어, 사투리)의 사례
1. 흡진구
2. 놀기다
3. 부처리
4. 쭈깨미
5. 유싱개
6. 양씬
7. 애옥질
8. 카능교
9. 지네지름
10. 간재미
11. 끔
12. 손끔봤다
13. 염사없다
14. 석짝
15. 떠랭이
16. 단박질
17. 장동감
18. 호숩다
19. 폭폭증주다
20. 황시리젓
21. 건불
22. 쌔리뿐다
23. 히놀놀허다
24. 타시락거리다
25. 찌개미
26. 뽑개
27. 헹펜
28. 깨끔하다
29. 헐라등가
30. 궁짜
31. 고라탕
32. 난장맞을
33. 맹글어뿔다
34. 암스롱도
35. 영축없다
36. 본새
37. 하먼
38. 썬득하다
39. 응등하다
40. 게쭉발
41. 암작에도
42. 어기쓰다
43. 돈뱅이
44. 한부짝
45. 세경
46. 의스륵하다
47. 보두
48. 박구리

Ⅶ. 황해도 방언(지역어, 사투리)의 사례
1. 동사 부류
2. 형용사 부류

Ⅷ. 함경도 방언(지역어, 사투리)의 사례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제주도 방언(지역어, 사투리)의 사례

1. 소그멍말멍했수다

소그멍말멍했수다는 `천만에요`라는 제주도 사투리이다.
예문 : 아이고, 어멍! 속았수다~(아이고, 어머니 수고하셨어요) 소그멍말멍했수다

2. 봉강오쿠다

찾아오겠다
예문 : 알아수다 강 봉강오쿠다(알았다 가서 찾아오겠다)

3. 대껴부런

던저 버렸어
예문 : 가가 내 책 대껴부런

4. 자파리

여러 가지 물건들을 아주 심하게 어지럽히면서 노는 모양을 이르는 말.
예문 : 저 아이들 자파리가 보통이 아니구나게.. 저 아이들 어지럽히면서 노는 모양이 보통이 아니로구나.

5. 화룩친다

정신없이 이리저리 부산하게 움직이는 경우
예문 : (예문) 원, 아이도 너무 화륵(룩)쳠져. 너무 놉디당 다친다. (풀이) 원, 아이도 너무 흥분한다(즉, 정신없이 이리저리 분주하게 움직임). 너무 까불다 다친다

6. 내불라

제주도 사투리로 `내버려 두라`, `상관하지 말라`는 뜻의 말이다.
예문 : 예문 동진이 그 녀석이 하는 대로 제발 내불라.

7. 와리지 말라

제주도 사투리로 [서두르지 말라]는 뜻의 말이다.
예문 : 예문 얘들아, 제발 와리지 말라. 아직 2시간이나 충분히 남았다.

8. 경 골라

제주도 사투리로 [그렇게 말해라]라는 말이다.
예문 : 동현이네 집에 가서 한번 경 골라.

9. 도르멍

`도르멍`은 `달린다` 이다.
제주어로 도르멍이라고 하고 뜻이 달린다예요~
예문 : 친구영 도르멍 놀았다

10. 괴우랑

사랑이라는 단어의 제주도 방언.
예문 : 괴우랑걸커들랑 발 멀리 걸라.. 지드리멍 보내멍 살게. (풀이) 사랑을 하려거든 멀리 떨어져보자. 기다리며 보내면서 살아도보게

11. 수고합서게

수고하세요, 수고하십시요라는 뜻
예문 : 아저씨 수고합서게
참고문헌
* 김영만(1974), 국어 운율의 본질과 변천-함경·경상·전라·서울의 악센트와 중세국어의 성조의 비교적 관찰-, 국어국문학
* 김영배(1981), 황해도 지역 방언 연구: 음운체계를 중심으로, 국어국문학 논문집
* 김완진(1975), 전라도방언 음운론의 연구 방향 설정을 위하여, 어학 2, 전북대
* 정승철(1995), 제주도방언의 통시 음운론, 태학사
* 최명옥(1994), 경상도의 방언구획 시론, 우리말의 연구, 우골탑
* 황인권(1999), 한국방언연구(충남편), 국학자료원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우리말의역사4공통) 국어사의 연구방법 네 가지를 요약하고, 그중 하나를 선택-방언-하여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0k
  • 방언의 연원 및 변천기원적으로 방언(方言)은 ‘오방지언(五方之言)’의 준말이다. 이때의 오방(五方)은 ‘동방(東方), 서방(西方), 남방(南方), 북방(北方)’의 사방(四方)과 ‘중방(中方=중앙)’을 합쳐 이르는 말이다. 이러한 개념에 따르면, 방언은 결국 각 지방에서 쓰이는 말을 가리키게 된다. 그러하기에 본래의 ‘방언’은 중앙과 지방의 이분법적 사고가 강력해지기 이전에 생성된 개념으로, 오늘날의 지방어(또는 지역어) 정도의 뜻으로 쓰였다.

  • [언어문화] 방언 속의 한국어
  • 지역어)7.문어․구어간 양자의 비중이 비슷함7.구어 중심, 문어약세8.권위(prestage)가 있음8.권위가 없음 표준어와 방언의 차이1. 표준어의 기능표준어는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로 정의되어있다. 이 정의에는 다음과 같은 의미들이 숨어 있다. 먼저 표준어를 사용하는 것은 교육 받은 사람의 의무이다. 또한 현재를 시점으로 통용되는 공통어가 표준어이다. 마지막으로 서울 경기 지역의 사투리가 표준어로 규정됨과 동시에 문

  • 인문과학 방언속의 한국어 우리의 언어 생활에서 방언과 표준어의 자리매김
  • 지역어)7.문어․구어간 양자의 비중이 비슷함7.구어 중심, 문어약세8.권위(prestage)가 있음8.권위가 없음 표준어와 방언의 차이1. 표준어의 기능표준어는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로 정의되어있다. 이 정의에는 다음과 같은 의미들이 숨어 있다. 먼저 표준어를 사용하는 것은 교육 받은 사람의 의무이다. 또한 현재를 시점으로 통용되는 공통어가 표준어이다. 마지막으로 서울 경기 지역의 사투리가 표준어로 규정됨과 동시에 문

  • 국어학의 일반이론 한국어 방언구획
  • 제주도 말이 이 경우에 해당된다. 그러나 캐나다에서는 영어과 프랑스어를 공통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므로 같은 언어의 방언이라고 볼 수도 있으나 이들은 분명히 다른 언어이다. 이상과 같이 방언이라는 용어는 다양한 의미로 쓰여 왔으나 오늘날의 언어학 내지 방언학에서는 한 언어를 형성하고 있는 하위 단위인 특정 지역의 언어 체계를 지칭한다. 이때의 언어 체계란 그 지역의 특징적인 현상과 더불어 다른 지역어와의 공통적인 현상까지를 포괄

  • [국어학] 지역방언
  • 방언권은 경기도 • 강원도 • 황해도 • 충청남북도와 함경남도 영흥이남 지역까지를 포괄한다. 이숭녕, 한국방언사, 한국문화사대계 5, 고려대민족문화연구소, 1967.비록 그는 경기방언이라는 용어를 썼지만 내용에 있어서는 오늘날 중부방언이라 불리는 것과 거의 일치한다.또, 학자에 따라서는 중부방언권을 독립시키지 않고 이를 경기방언권과 충청방언권으로 처음부터 분리하기도 하며, 또는 경기도방언권, 강원도방언권, 황해도방언권, 충청도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