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음순 국악기(전통악기)분류, 국악기(전통악기)사부,혁부, 국악기(전통악기)금부,토부, 국악기(전통악기)죽부,포부, 국악기(전통악기)목부,석부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0.10.13 / 2019.12.24
  • 12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5,0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Ⅰ. 팔음순에 의한 국악기(전통악기)의 분류
1. 금부(金部)
2. 석부(石部)
3. 사부(絲部)
4. 죽부(竹部)
5. 포부(匏部)
6. 토부(土部)
7. 혁부(革部)
8. 목부(木部)

Ⅱ. 국악기(전통악기)의 사부
1. 거문고
2. 가야금
3. 해금
4. 아쟁

Ⅲ. 국악기(전통악기)의 혁부
1. 갈고
2. 장고
3. 좌고
4. 용고
5. 중고
6. 교방고
7. 건고
8. 응고
9. 삭고
10. 뇌도
11. 뇌고

Ⅳ. 국악기(전통악기)의 금부
1. 편종
2. 양금
3. 징
4. 자바라
5. 꽹과리

Ⅴ. 국악기(전통악기)의 토부
1. 훈
2. 부

Ⅵ. 국악기(전통악기)의 죽부
1. 대금
2. 피리

Ⅶ. 국악기(전통악기)의 포부

Ⅷ. 국악기(전통악기)의 목부
1. 태평소
2. 박

Ⅸ. 국악기(전통악기)의 석부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팔음순에 의한 국악기(전통악기)의 분류

조선시대 영조(英祖) 46년(1770)에 흥봉한(洪鳳漢) 등이 왕명(王命)을 받아 처음 편찬한 것으로 동국문헌비고(東國文獻備考) 100권이 있다. 정조(正租) 6년(1782년)에 이만운(李萬運)이 왕명으로 보완한 146권이 증보동국문헌비고(增補東國文獻備考)이며, 광무(光武) 7년(1903)에 박용대(朴容大)를 비롯하여, 30여명이 왕명에 의해서 교정 · 보완 작업을 하여, 융회(隆?) 2년(1908)에 간행한 것이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이다.
이 문헌에는 음악 이론, 악보 악제(樂制), 악기, 악곡, 악무(樂舞), 음악사(音樂史) 등등 광범위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는데, 이 것은 우리의 전통음악에서 또 하나의 중요한 문헌이다.
이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에서는 67종의 악기를 만든 재료에 따라 8가지 즉 8음(八音또는 八部)으로 구분하였다.

1. 금부(金部)

편종(編鐘), 특종(特鍾), 방향(方響), 징(鉦), 나발(喇叭), 꽹과리··· 등등 <9종>

2. 석부(石部)

편경(編磬), 특경(特磬), 등<2종>

3. 사부(絲部)

금(琴), 슬(瑟), 현금(玄琴 : 거문고), 가야금(伽倻琴), 월금(月琴), 해금(奚琴), 당비파(唐琵琶), 향비파(鄕琵琶), 대쟁(大箏), 아쟁(牙箏), 알쟁 등 <11종>

4. 죽부(竹部)

소(簫), 약(籥), 관(管), 적(篴), 지(篪), 당적(唐笛), 대금(大笒), 중금(中琴), 소금(小琴), 퉁소(洞簫), 당피리, 태평소(太平簫) 등 <12종>

5. 포부(匏部)

생(笙), 우(竽), 화(和) 등 <3종>

6. 토부(土部)

훈(塤), 상(相), 부(缶) ··· 등<7종>

7. 혁부(革部)

진고(晉鼓), 뇌고(雷鼓), 영고(靈鼓), 노고(路鼓), 삭고(朔鼓), 응고(應鼓) 뇌도(雷鼗), 영도(靈鼗), 노도(路鼗), 건고(建鼓), 절고(節鼓), 대고(大鼓), 소고(小鼓), 교방고(敎坊鼓), 장구(仗鼓) 등 <15종>
참고문헌
반혜성 지음 / 전통음악이론, 두남 출판사, 1999
서한범 / 국악통론, 태림출판사, 1992
손태룡 / 한국의 전통악기, 경산 : 영남대학교 출판부, 2003
이성재 / 재미있는 국악 길라잡이, 서울미디어, 1994
이성철 / 국악 개론, 풍남, 1995
전인평 / 국악감상 - 한국 음악의 멋, 중앙대학교출판부, 1993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경영학] 국악의 개념 및 종류와 국악기의 활용방법 조사분석
  • 목부(木部) 아부 축, 어, 응, 아, 독, 부() ③ 장사훈의 분류1969년 국악학자 장사훈이 편찬한 《한국악기대관》에서는 서양음악에서 흔히 분류하듯이 관악기, 현악기, 타악기의 세 가지로 국악기를 분류하였으며, 그 하위항목을 다양하게 분류하고 있다. 관악기 죽부 (횡적) 대금, 중금, 당적 (종적) 소, 약, 적, 통소, 단소 (복황종적) 향피리, 세피리, 당피리 목부 태평소 포부 생황 토부 훈, 나각 금부 나발 현악기 사부 (

  • [예체능]국악의종류
  • 국악기 가운데서는 웅장한 음색에 든다.  특종(特鐘)은 편종과 같이 제작하여 등가(登歌)에 있어 음악을 일으키는데(시작) 사용되고 있다. 큰 종 하나를 매달았다. 각퇴(角槌:뿔망치)로 수(隧)를 친다. 음악을 시작할 때 먼저 특종을 한번 친 다음, 축(祝) 세 번과 절고(節鼓) 한 번 치는 것을 세 차례 반복하는데, 절고의 끝소리와 함께 특종을 다시 한번 치고 나서 모든 악기가 합주를 시작한다. 조선왕조 세종 때부터 사용된 것으로 보이는 이 악기는 종

  • 국악(한국전통음악) 용어, 국악기 분류와 종류, 국악(한국전통음악) 박연 율관, 국악(한국전통음악) 국내공연, 국악강습과 국악강좌, 국악 제언
  • 분류법을 알아보자. 금부(金部) : 쇠붙이로 만든 악기 징, 편종, 특종, 방향 등 석부(石部) : 돌로 만든 악기 편경, 특경, 나각 등 사부(絲部) : 실을 공명통 위에 얹어 만든 악기 거문고, 가야금, 해금, 아쟁 등 죽부(竹部) : 대나무로 만든 악기 피리, 대금, 소금, 단소, 퉁소, 새납(태평소) 등 포부(匏部) : 바가지로 만든 악기 생황 토부(土部) : 흙을 구워 만든 악기 훈 등 혁부(革部) : 가죽으로 만든 악기 장고, 좌고, 북, 소고 등 목부(木部

  • [A+] 국악의 멋과 감상 총 정리 및 요약
  • 국악기를 만드는 8가지 재료>1.금부(쇠붙이):판종, 특종, 방향, 징, 나발, 꽹가리, 양끔2.석부(돌):편경, 특경3.사부(줄):거문고, 가야금,해금, 아쟁, 비파4.죽부(대나무):대금, 소금, 피리, 단소, 당적, 퉁소5.포부(바가지):생황6.토부(흙을 구워서):훈, 부7.학부(가죽): 장구, 좌고, 소고, 용곡, 갈고, 건고8.목부(나무): 박, 축, 어1.아부:특종, 특경, 편종, 편경, 건고, 사고, 응고, 뇌고, 영고, 노고, 뇌도, 영도, 노도, 도, 절고, 진고, 축,

  • [음악의 이해] 판소리, 궁정음악, 제사음악, 지방별민요
  • 악기처럼 두드리면서 부르는 민요는 매우 인상적이다. 그 허벅은, 입구 쪽을 짚신으로 두드리면 장고의 북편처럼 붕붕하는 소리가 나고 질그릇으로 된 몸통을 두드리면 장고의 채편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 그래서 제주도 여자들은 허벅을 민속 악기 처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해 설 - 제주지방에서 불려지는 토속 통속민요. 중요무형문화재 제95호. 농사짓기소리 고기잡기소리, 기타의 일하기 소리 등의 노동요와 의식요 부녀요와 통속민요인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