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란정(牡丹亭) 과 천녀이혼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0.02.25 / 2019.12.24
  • 9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7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목 차>

Ⅰ.들어가는 말

Ⅱ.개인의 감정에 주목하기 시작한 元․明代
1. 원명대의 사회적 체제
2. 봉건예교와 개인적인 사랑 안에서 갈등하는 원명대 여성

Ⅲ.사랑을 쟁취하기 위해 죽음을 택한 두려낭(杜麗娘)과 장천녀(張倩女)

Ⅳ.사회적 규범에 안주하고자 하는 유몽매(柳夢梅)와 왕문거(王文擧)

Ⅴ.나오는 말

본문내용
1. 원명대의 사회적 체제

《천녀이혼》은 원대에 《모란정》은 명대에 등장한 작품이다. 두 작품은 만들어진 시기가 다르지만 당시에 처해 있던 사회적 배경을 통해 작가들이 나타내고자 했던 바는 공통된 맥락을 보인다.
원나라는 몽고족이 금나라를 침략을 하여 세워진 나라이다. 이민족에 의해 세워진 나라였기에 권력을 쥐고 있던 이민족들은 정착해 있던 한족에 대한 횡포를 일삼는데 이는 문학적 소양이 높았던 그들을 미리 제압하기 위함 이였다. 따라서 과거제도를 폐지하여 벼슬길을 막는 정치적인 압박을 가한다.
사회적으로 달리 출구가 없었던 이들은 자신의 문학적 소양을 십분 발휘해 자신의 경험과 서민들의 애환을 써냈고, 자신들의 이상과 사회적 부조리를 표현함으로써 민간에 바탕을 두고 사회현실을 반영하는 작품을 쓰게 된다. 특히 이민족의 정치에 대한 반발과 억압된 분노를 작품을 통해 나타내기 시작하였다.
당시 경제가 발달이 되어 상인과 농민들은 지위가 향상이 되었고 그로인해 민중들도 여가생활을 즐길 수가 있었다. 그들은 이해하기 쉬운 사랑이야기를 접하면서 자신들의 구속과 억압된 감정을 해소시키기 시작한다.
명대는 원말(元末) 주원장(朱元璋)이 농민봉기를 일으켜 세운 나라로 다시 한족(漢族)이 정치를 집권하게 된다. 원대에 느슨해진 정치 제도와 사상이 몰고 온 사회변화에 대한 잔류를 없애기 위해 주원장은 독재적인 정치와 더불어 원나라에 있었던 모든 것을 배척하고 그 이전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복고주의 정책과 함께 봉건정책이 절정을 이루었던 시기였다.
진한(秦漢)이래로 시행된 승상제도 한국의 정승(政丞)과 같다. 전국시대 진(秦)나라 무왕(武王)이 BC 309년 좌 ·우 승상을 둔 데서 비롯하였다. 한(漢)나라 때는 승상 1명만을 두었고, 전한(前漢) 말에 승상을 대사도(大司徒)로 고쳐 대사마(大司馬) ·대사공(大司空)과 더불어 삼공(三公)이라 하여 재상(宰相)의 직무를 3분하였다. 남송(南宋)에서는 다시 좌 ·우 승상을 두었고, 원(元)나라도 이를 따랐으나 몽골인은 왼쪽보다 오른쪽을 우선하는 관습이어서 우승상이 좌승상보다 위에 있었다. 명(明)나라에서도 승상제를 두었으나 1380년 좌승이던 호유용(胡惟庸)이 모반(謀叛)을 꾀하여 주살되면서 승상의 관직을 없애고 황제 스스로 6부(部)의 상서(尙書)를 지휘하며 국정을 행하였다

를 폐지하고 황제가 군대와 정치의 모든 권력을 집권하도록 하였으며 과거시험은 반드시 팔고문(八股文) 八股文은 과거시험에서 요구하는 일정한 격식을 갖춘 글쓰기의 형태를 가리킨다. 팔고문은 일반적으로 두 문장이 對偶를 이루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이 문장들은 일정한 운율을 지켜서 써야한다. 과거시험에서는 사서를 포함한 유가의 경서에서 짧은 구절을 제시하면서 이에 대해 응시자의 의견을 밝히도록 요구하였다. 응시자는 다음과 같은 격식을 통해 답안을 제출해야만 했다. 우선 시작할 때는 破題 라는 대우를 이루는 두 구절을 제시하면서 출제된 경서의 구절과 그 전후 맥락을 자신이 완전히 파악하고 있음을 밝히게 되었다. 그 다음에는 세 구절에서 많게는 일곱 구절에 걸쳐 출제된 구절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여기까지는 응시자가 성인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代聖賢立言) 부분에 해당된다. 그 다음에는 응시자 자신의 의견을 밝히는 부분으로 넘어가기 위한 起講과 領題가 나오는데 이것은 출제된 구절에 다시 추점을 맞추어 본론에 들어가기 위한 서론부분이다. 그리고 본론은 철저한 대우의 기법을 준수하는 起股‧․虛股․中股․後股․大結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응시자는 출제된 구절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충분히 기술하고 요약하며 형식 요건을 거쳐 종결짓게 되어 있다.
으로 작성을 해야 했는데 이는 명대의 복고주의적인 정치색이 잘 드러나는 제도라고 할 수 있다. 팔고문은 서체의 형식이 까다롭고 엄격하였고 답안지 작성에는 글자 수 까지 제한하였기 때문에 과거에 합격하기 위해서는 성현의 말씀이나 주자학의 명구만을 인용하여 답안지를 작성하는 자가 유리하였다. 따라서 응시자는 오로지 팔고문의 형식에만 치우쳐 공부했기 때문에 학문의 발달을 저해하였으며 문인들의 사상과 그들의 자유로운 생각을 억압하였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김학주, 《중국문학사》, 신아사, 1989
․서경호, 《중국 문학의 발생과 그 변화의 궤적》, 문학과지성사,2003
․신지영, 《중국 전통극의 이해》, 범우사, 2002
․이강렬,《중국의 놀이문화》,월인출판사,1988
․김학주,《중국의 희곡과 민간연예》,명문당,2002
․콜린맥커라스,《중국연극사》,학고방 ,2001
․윤현주, <湯顯祖의 《牡丹亭》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중국어교육전공 석사논 문, 2008
․양정화, <湯顯祖의 《牡丹亭》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중국어교육전공 석사논 문, 2007
․김옥금, <《牡丹亭》에 나타난 石道姑의 인물형상>, 전북대학교 대학원 중어중문학과 석사논문, 2007
․고은하,<탕현조의 《모란정》에 나타난 애정관 연구> 숙명여대 교육대학원, 2003
․권경희, <《천녀이혼》中 천녀 形象의 분석>, 중국문학연구, 1998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중국근세문학사] 곤극과 경극의 연구 분석
  • 모란정 가에 선 매화나무에서 어제의 서생의 모습을 본 여랑은 지나친 감상으로 몽유병자가 되어 죽는다. 한편, 광둥廣東의 서생 유몽매(柳夢梅)는 과거를 보러 상경하던 중 남안에서 병으로 쓰러졌는데, 꿈에 나타난 여랑의 영혼이 하는 말에 따라 숙소 근처에 있는 무덤을 파보니, 그 안에서 여랑이 소생하여 두 사람은 굳게 맺어진다. 봉건 예교(禮敎)의 압박하에서, 일단은 죽음으로써 영원한 행복을 얻으려 한 여랑의 비극적 정열적 생활관은, 만

  • [중국문학개론]중국의 산곡과 극에 관하여
  • 과거가 회복 실시됨으로 지식인들이 과거시험에 열중③잡극의 형식적인 한계, 변화없는 단조로움으로 인한 싫증④북방에서 유행하던 잡극이 남방으로 옮겨가면서 감정, 음악, 언어등이 걸맞지 않기 때문♠정광조(鄭光祖)「천녀이혼( 女離魂)」-연애 희비극->내용이 황당하지만 합리적인 내용전개는 비교적 성공적임♠진간부(秦簡夫)북방에서 잡극 작가로서 이름을 얻은 뒤에 항주에 옮겨 살았음『동당노권파가자제(東堂老勸破家子弟)』-원나

  • [중국사곡선독] 예술의 변화와 발전, 무대와 관객이 만들어내는 하모니
  • 과 현장성을 중시.-이 시기를 대표적인 잡극 작가로는 정광조 , 교길을 꼽을 수 있으며, 이들은 전기의 4대가와 함께 원곡 6대가로 불린다. 그 중 정광조(鄭光祖)는 역사극을 많이 지었으며, 그는 “서상기”의 예술수법을 발전시켜 화려하고 수식이 많은 문장으로 남녀간의 연정(戀情)을 묘사하였다. 역사극이 많으나 대부분 곡사에만 신경을 쓴 생기 없는 작품들이다. 그의 작품 중 천녀이혼(倩女離魂)“은 장천녀와 왕문거의 사랑 이야

  • [국문학] 고전문학 속 이물교혼
  • 고전문학에 나타난 이물교혼 목차 1. 이물교혼이란?2. 이물교혼의 양상1) 동물과 인간의 이물교혼(1) 야래자 설화 ➀ 줄거리와 구조➁ 백제 무왕 설화 ➂ 견훤의 구인생설화➃ 청태조 출생전설 (인간과 수달)(2) 인간과 여우➀ 여우 아내➁ 강감찬의 탄생담➂ 여우 구슬(3) 인간과 곰 - 곰나루 전설(4) 인간과 뱀 ➀ 구렁덩덩신선비➁ 뱀 신랑의 복수(5) 인간과 범 - 김현감호(6) 인간과 우렁 - 우렁각시(7) 기타➀ 인간과 잉어➁ 인간과 돼지 - 최

  • [중국문학사] 중국 잡극의 흐름(元,明 비교를 중심으로)
  • 과 거 리가 멀어지게 되었다. 이들은 무대 상연보다는 읽는 희곡으로서의 성격을 보다 중시하였기 때문이다. 작품 수준 또한 전기에 훨씬 뒤진다. 이 시기 를 대표하는 작가는 전기의 4대가와 함께 ‘원곡6대가’로 불리는 정광조와 교길을 들 수 있다. 정광조는 역사극을 많이 창작했으며 『서상기』의 예 술수법을 발전시켜 화려한 문장으로 연정(戀情)을 감동적으로 묘사했다. 주요 작품으로는 『천녀이혼』『한림풍월』등이 있다. 교길은 문인들의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