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사] 조선시대의 한글편지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09.08.31 / 2019.12.24
  • 13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4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차례-


1. 조선시대의 한글편지 ‘언간’


2. 서민 편지


3. 한글 편지의 양식


4. 한글 편지를 통해 본 옛사람들의 표현

본문내용
1. 조선시대의 한글편지 ‘언간’

1-1. 조선 시대의 '언문(諺文)'과 '언간(諺簡)'

조선시대에 씌어진 한글 편지는 흔히 ‘언간(諺簡)’으로 불린다. 한글이 ‘문자(文字)’, ‘진서(眞書)’ 등으로 지칭된 한문(漢文)과 대비되어 ‘언문(諺文)’으로 불린 현실을 반영하는 것.
‘언문’은 공적인 영역에서 사용이 극히 제한. 1894년 고종(高宗)이 '법률과 칙령은 국문을 기본으로 하되 한문 번역을 붙이거나 국한문을 혼용하거나 한다'라는 칙령(勅令)을 내리기까지 한글은 조선 시대 내내 ‘국문(國文)’으로서의 공식성(公式性)을 인정받지 못한 채 ‘언문’의 지위에 머물렀던 것. 한문 서간이 사대부 계층 이상 남성만의 전유물이었다면 언간은 특정 계층에 관계 없이 남녀 모두의 공유물이었다고 할 수 있다.

1-2. 언간 사용의 확산 과정

‘언간’이 특정 계층과 관계없이 폭넓게 실용되었다고 하지만 그것은 ‘언문’이 그러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왕실에서 양반층으로, 다시 중인층을 포함한 평민이나 하층민으로 단계적 확산을 거친 결과였다.

1-3. 언간의 내용

언간은 공적인 영역에서 사용이 제한되었지만 사적인 영역에서는 일상의 생활 감정을 전달하는 가장 보편적인 수단이며 당시의 사회상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1) a. 슉경이 일 나가긔 여시니 그거시조차 자 나가면 더옥 젹막가 시브니 가지 〃 을 뎡티 못가 시브다 언제 너나 드러올고 눈이 감게 기리고 잇노라 [숙경(淑敬)이는 내일 나가게 하였으니 그것조차 마저 나가면 더욱 적막할까 싶으니 가지가지 마음을 진정치 못할까 싶다. 언제 너희나 들어올까 눈이 감기도록 기다리고 있다.] <인선왕후언간(17세기 중엽): 어머니(仁宣王后)→딸(淑明公主)> <자료 7>

(1)은 어머니인 인선왕후(仁宣王后)가 딸인 숙명공주(淑明公主. 2녀)에게 보낸 언간이다. (a)에서는 막내딸(淑敬公主. 6녀)마저 하가(下嫁)시켜 내보내는 적막한 심정과 함께 이미 혼인한 딸(淑明公主)을 더욱 그리워하는 모정(母情)을 담고 있다. ‘눈이 감게’(“눈이 감기도록”)라는 표현에서 애타게 기다리는 어머니의 모습을 눈앞에 보는 듯하다.

언간에서는 편지의 특성상 특정 청자와 대화 상황을 전제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봉투나 사연에는 발신인과 수신인의 신원이 드러나 존비(尊卑) 관계 등 대화 참여자(화자와 청자)의 상호 관계를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언간 자료는 다른 어느 자료보다도 당대 경어법의 실상(實相)을 파악하는 데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다. 뿐만 아니라 대화 상황을 전제한 탓에 어느 자료보다 구어적(口語的) 성격이 강하여 언간에서는 구어적
참고문헌
1. 디지털 한글 박물관, 「http://www.hangeulmuseum.org」
2. 시정곤, 『역사가 새겨진 우리말 이야기(우리말이 살아온 모습을 찾아서)』, 고즈윈, 2006.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방통대 국어국문학과 4학년 우리말의 역사 공통] 국어사의 연구방법 네 가지를 요약하고, 그중 하나를 선택하여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 시대의 문자 기록인 문헌자료는 어떤 언어의 지나온 자취를 밝혀주는 가장 직접적인 자료가 된다. 문헌자료들은 그 언어의 오랜 역사에서 보면 극히 최근에 속하는 시기의 자료일 뿐 아니 라 그 언어의 그때그때의 완전한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고 그 양에 있어서도 충분하지 못하다는 제약을 가진다. 문헌자료의 한계를 보충하기 위한 것이 비교 방법, 내적 재구, 방언 연구 등의 방법이 있다.Ⅲ. 결론국어사 연구는 개별 문헌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

  • [한국언론사] 서재필이 근대 언론에 끼친 영향
  • 한글을 통해 지식과 정보를 널리 공유한다는 점을 강조한 것은 조선 사회의 계급적 폐쇄성과 차별성을 파괴한다는 뜻이 포함되어 있었다. 조선의 글인 한글을 중국의 한문과 구별함으로써 국문을 통한 민족적 자기 정체성을 확립하겠다는 시도였던 것이다. (서재필 기념회-‘서재필과 그 시대’에서 발췌)이러한 독립신문의 정신은 이후에 창간된 대한제국 말기의 여러 민간 신문들에게도 한글 신문을 만들도록 하는 영향을 주었고, 신문의 체재와 기

  • [국어사 교육론] 언간과 쓰기교육-국어생활사 관련
  • 조선 시대의 간찰도 마찬가지이다. 이때 날씨를 표현하거나 상대방의 문안을 묻는 말도 시대적인 흐름에 따라 달리 나타난다.- 자기 안부: 많은 편지에서는 상대방의 안부를 물은 뒤, 자신의 안부도 전하고 있다.2) 본문전할 사연을 구체적으로 말하는 부분이다. 조선 시대의 편지에서는 서두의 형식보다는, 본문 사연을 구체적으로 말하는 경우가 많다.3) 결말편지의 결귀와 날짜, 서명을 두는 부분을 말한다. 조선 시대의 한글 간찰에서는 ‘이만 

  • [국어]한글의 기원에 관한 제이론
  • 국어사를 다시 써야 할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필자의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전자를 믿고 싶다.7. 그밖의 기원설위에서 살펴본 것들 외에 한글의 기원을 설명하는 학설에는 서장(西藏)글자에서 왔다는 서장문자 기원설, 팔리(Pali)글자를 본받았을 것이라는 팔리문자 기원설, 창호의 무늬를 보고 만들었다는 창호상형(窓戶象形) 기원설, 태극사상(太極思想) 기원설 등이 제기되고 있다. Ⅲ. 結 論지금까지 위에서는 한글의 기원을 설명하려는 여러 가지

  • 국어사개설(한글 작업)
  • < 목 차 >제2장 국어의 형성제1절 고조선p. 1제2절 부여계와 한계p. 1 ~ 2제3절 고구려어p. 2 ~ 4제4절 백제어p. 4 ~ 5제5절 신라어 p. 5 제6절 삼국어의 이동 p. 6제7절 중세국어p. 6 ~ 7제8절 국어사의 제단계p. 7제3장 문자 제1절 한문의 정착p. 8제2절 고유명사 표기p. 8 ~ 9제3절 이두 p. 10 ~ 12제4절 구결p. 12 ~ 13제5절 향찰p. 13제6절 훈민정음p. 13 ~ 15 제4장 고대국어제1절 자료 p. 16 ~ 17제2절 표기법p. 18 ~ 19제3절 음운p. 19 ~ 22제4절 한자음p. 22 ~ 2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