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당시와 세시풍속 -동지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08.05.16 / 2019.12.24
  • 14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2,8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Ⅰ. 序論 ----------------------------------------------- 1
Ⅱ. 冬至의 名稱 및 由來 ----------------------------------- 2
1. 冬至의 名稱
2. 冬至의 由來
Ⅲ. 冬至의 歲時風俗 -------------------------------------- 3
1. 제사(祭祀)
2. 겨울 옷 보내기(送寒衣)
3. 신과 버선 선물하기(冬至獻襪) 
4. 아홉수 놀이(九九歌와 九九消寒圖)
5. 음식(飮食)
6. 오락(娛樂)
Ⅳ. 冬至를 題材로 한 唐詩 鑑賞 ----------------------------- 9
1. 杜甫의 <小至>
2. 杜甫의 <冬至>
3. 白居易의 <邯鄲冬至夜思家>
* 별첨 *
冬至를 題材로 한 漢詩 鑑賞
洪錫謀의 <冬至亞歲>
Ⅴ. 結論 ----------------------------------------------- 13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序論
동지(冬至)는 24절기(節氣)의 하나로 중국인들이 중시했던 절기이자, 전통적인 명절 중 하나이다. 사람들은 동지가 지나면 추운 겨울이 끝나고 만물이 소생하는 봄으로 계절이 바뀐다고 생각했으며, 민간에서는 오늘날까지 '동지는 새해와 같다.(冬至大如年)’라는 속담까지 전해질 정도로 많은 지역에서 동지를 지내는 풍속이 전해지고 있다.
본문에서는 이러한 동지의 명칭과 기원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고, 동짓날 행해졌던 대표적인 세시풍속(歲時風俗)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동지를 제재(題材)로 한 당시(唐詩)를 통해 그 날의 분위기와 시인의 감흥을 느껴보고,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의 동지를 제재로 한 한시(漢詩)를 함께 감상하면서, 중국의 동지 세시풍속과의 비교를 통해 동지의 의미를 되새겨 보는 기회를 갖도록 하자.
Ⅱ. 冬至의 名稱 및 由來
《東京夢華錄(동경몽화록)》에는 “11월 동지는 경사(京師)에서 가장 중하게 여기는 절기이다. 비록 매우 가난한 사람이라도 1년 동안 재물을 모으거나 빌려서라도, 이날만큼은 새 옷으로 갈아입고 음식을 마련하여 선조에게 제사를 지낸다. 관청에서는 관박(關撲)을 하더라도 내버려두며 오가는 사람들이 서로 축하하는 풍속은 정월 초하루와 같다.” 十一月冬至 京師最重此節 雖至貧者 一年之間 積累假借 至此日更易新衣備辦飮食 享祀先祖 宮放關撲 慶賀往來 一如年節 국립민속박물관,《중국대세시기Ⅰ》, 국립민속박물관, 2006 p.411 재인용
라고 동지를 설명하였으며, 옛날 사람들은 동지를 “음(陰)이 극에 달하여 양(陽)이 생기기 시작하고, 해가 남쪽에 이르고, 해가 지극히 짧아지고, 그림자가 지극히 길어지므로 ‘겨울에 이름(冬至)’라 부르는 것이다.” 陰極之至, 陽始生, 日南至, 日短之至, 日影長之至, 故曰冬至 http://www.china.org.cn/ch-jieri/
라고도 말했다. 이러한 동지에 관한 여러 명칭의 의미와 기원에 대해 살펴보자.

1. 冬至의 名稱
동지는 위에 언급했던 동지(冬至)외에도 여러 가지 명칭이 있다. 새해의 의미로 동지를 천정(天正), 여정(如正),신정(新正), 과년(過年), 소년(小年), 아세(亞歲) 아(亞)는 버금간다는 뜻인데, 동지(冬至)를 설날에 견주어 ‘작은 설’이라고 일컬은 데서 온 말이다.
국립민속박물관,《중국대세시기Ⅰ》, 국립민속박물관, 2006 p.57
, 소세(小歲)라고 불렀는데, 이는 주대(周代)와 관련이 있다.《옥촉보전(玉燭寶典)》에 ‘11월은 북두칠성의 자루가 자방(子方) 24방위의 하나로 정북(正北)방향을 가르킨다. 국립민속박물관,《중국대세시기Ⅰ》, 국립민속박물관, 2006 p.229
을 가리키는 달이고, 주(周)나라 때의 정월(正月)이었다.’ 十一月建子 周之正月
라는 기록이 있다. 동지는 이미 주대에 이렇게 정월인 11월로 제정되었고, 한(漢)대의 규정에 따라 동지가 세수(歲首)가 되어, 동지를 새해를 맞는 명절로 보았다. 또한, 동지는 가장 음기가 왕성한 달 음양오행설에 따르면 수(水)의 기운의 생김(生), 성장(壯), 죽음(死)의 과정에서 볼 때 자월(子月), 즉 11월은 수기의 음기가 왕성해지는 시기이며, 이 때문에 왕성한 달(旺月)이라 부르기도 한다. 高洪興, 〈中國鬼節與陰陽五行〉, 複旦大學學報, 2005
로 귀신의 활동이 매우 많아 민간에서는 11월에 귀신이 많이 나타난다고 여겼으며, 이러한 연유로 동지를 귀절(鬼節), 음절(陰節)이라고 불렀다. 한편, 동지는 일 년 중 밤이 가장 긴 날이므로 장지(長至),장절(長節),이장(履長) 어른들에게 신이나 버선을 만들어 드려서 추운 겨울날 미끄러지지 않고 잘 다니기를 기원하는 뜻이 담겨있다.
국립민속박물관,《중국대세시기Ⅰ》, 국립민속박물관, 2006 p.57
이라고도 부르며 장수를 기원하기도 했다. 겨울에 이르렀다는 의미로 동지절(冬至節), 동절(冬節)이라고도 불렸다.

2. 冬至의 由來
일찍이 2500여 년 전 춘추시대(春秋時代)때 부터 중국은 이미 토규(土圭) 규표(圭表), 천문 관측 기계의 하나. 곱자처럼 생겼으며 그림자의 길이로 태양의 시차를 관측하였다.
두산백과사전 참조
를 사용해 태양을 관측하여 동지를 측정해냈다. 동지는 24절기 중 가장 먼저 제정된 것 중 하나로 양력 12월 22일 혹은 23일 사이이다.
동지를 세는 풍속은 한(漢)대에서 기원하였으며, 당송(唐宋)시기 가장 왕성하였고, 지금까지 계속 되고 있다. 한대에는 동지를 동절(冬節)이라고 하여 정부에서 ‘하동(賀冬)’이라 부르는 경축의식을 거행하였으며 휴일로 규정하였다.《후한서(後漢書)》의 기록에 의하면 ‘동지전후에 군자는 몸을 편안히 하고 모든 관리는 일을 멈추었으며, 정사(政事)를 처리하지 않았고, 길일을 택했으며, 일처리를 뒤로 미루었다 冬至前後, 君子安身靜體, 百官絶事, 不聽政, 擇吉日, 後省事 《中国期刊全文數据庫》2007, 01 재인용
.’고 하였다.
참고문헌
사전류
《漢語大詞典》, 漢語大詞典出版社, 1994

단행본
국립민속박물관,《중국대세시기Ⅰ》, 국립민속박물관, 2006
蕭放,《중국인의 전통 생활풍습》, 국립민속박물관, 2006
李露露,《中國節圖說民間傳統節日》, 福建人民出版社, 2005
趙容萬 編繹, 《杜詩選譯》, 高麗大學校出版部, 1986
信應擧, 《杜詩新補注》, 中州古籍出版社, 2002
정범진, 이성호 옮김, 《두보시 300수》, 문자향, 2007
孫建軍, 陳彦田, 《全唐詩 選注 肆 第四冊》, 線裝書局, 2002
이영주, 강성위, 홍상훈 譯解, 《杜律分韻 完譯 杜甫律詩》, 明文堂, 2005
오세주 옮김, 백시나 엮음, 《琶琶行 白樂天詩集》, 다산초당, 2005
김경동 편저, 《白居易詩選》, 문이재, 2002
진경환 편저, 《서울 ․ 세시․ 한시》, 보고사, 2003

논문
高洪興, 〈中國鬼節與陰陽五行〉, 複旦大學學報, 2005

CAJ 문건
《中国期刊全文數据庫》2007, 01

인터넷 사이트
http://www.china.org.cn/ch-jieri/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절기, 세시풍속, 24절기] 절기의 세시풍속 및 24절기에 관한 분석(입춘, 우수, 경칩, 춘분, 청명, 곡우, 입하, 소만, 망종, 하지, 소서, 대서, 입추, 처서, 백로, 추분, 한로, 상강, 입동, 소설, 대설, 동지, 소한, 대한)
  • 풍속에서는 이 날 밤을 해넘이라 하여, 콩을 방이나 마루에 뿌려 악귀를 쫓고 새해를 맞는 풍습이 있다. 절분 다음날은 정월절(正月節)인 입춘의 시작일로, 이 날은 절월력(節月曆)의 연초가 된다.참고문헌- 구영본, 한국의 전통문화와 예절, 서울:형설, p.107-124, 2003- 김광언, 우리문화가 온 길, 서울:민속원, p.409-422, 1998- 김의숙이창식, 민속학이란 무엇인가, 서울:북스힐, p.79-98, 2003- 고려대학교 민족문화 연구원, 한국 민속의 세계 5-전승놀이세시풍

  • 북한민속의 이해 정리노트
  • 중국과 한국의 장례풍습의 비교).비교민속의 방법은 비교민속학과 같으나, 그 대상은 지역간 비교이다(예: 서울과 인천의 비교). 비교민속학의 목적은 자국의 국가특성을 더 잘 알기 위함이나, 비교민속의 목적은 지역차를 통해(지역의 변천모습을 통해) 새로운 것과 옛 것을 알기 위함이다.우리 비교민속학은 1980년대가 그 시작이라고 한다. 여행자유화정책의 시작으로 외국문화를 이해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시작되었다.비교민속은 60년대부터 시작

  • 방송통신대학교/한국문화자원의 이해2/강의 1강에서 학습한 세시풍속 중 봄, 여름, 가을, 겨울을 대표하는 세시풍속을 각각 1개씩 선택하여 초등학교 고학년에게 설명한다는 가정 하에 재미있고 쉽게 서술하세요.
  • 중국의 설화가 우리나라에 넘어와서 토착화된 것 같은데, 앞으로 동짓날에 팥죽을 먹는 학생들은 처용이라는 인물에 대해서 한 번쯤이라도 찾아보길 바란다.Ⅲ. 결론지금까지 사계절이 뚜렷한 국가와 생기는 이유, 세시풍속의 뜻과 각 계절에 행하는 세시풍속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정월대보름의 경우, 역사와 엮지 못했지만 단오는 삼촌에게 왕위를 찬탈당하고 살해당한 왕 ‘단종’과 추석은 민족의 영웅 ‘이순신’, 동지는 처용설화와 함께 알아

  • 윷놀이의 세계문화유산 등재 주장
  • 중국 발음은 뉴이기도 하지만, 소의 우리 옛말은 늋 또는 윷으로 발음했을 수도 있다. 그런 한편 윷은 다섯가지 동물을 의미하는 다섯에 그 뜻이 닿아 있다. 고구려말에서 다섯은 于次(우차)로 표현되어 있다. 그것은 우츠로 발음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일본어에서 그 잔재가 남아 있다.고구려어에서 셋은 밀(密)이고 일본어에서는 미, 고구려말 칠은 난은(難隱)에서 일본어 나나가 나왔고 고구려말 십은 덕(德)인데 일본어에서는 도가 되었

  • [중국역사] 명청시대 신사의 형성과 그 기능
  • 풍속의 방여휘편(方輿彙篇), 제왕․백관의 기록인 명륜휘편(明倫彙篇), 의학․종교 등의 박물휘편(博物彙篇), 문학 등의 이학휘편(理學彙篇), 과거․음악․군사 등의 기록인 경제휘편 등의 6휘편으로 되어 있다. 이를 다시 32전(典) 6,109부(部)로 세분하였다. 각 부는 휘고(彙考)․총론․도표․열전(列傳)․예문(藝文)․선구(選句)․기사(紀事)․잡록(雜錄) 등으로 구분된다. 중국 최대의 백과사전으로, 당시에는 이를 유서(類書)라고 하였다. 등이었다. 건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