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 `설공찬전` 작품분석 및 문학사적 의의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1.11.28 / 2019.12.24
  • 7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1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Ⅰ.서론

Ⅱ.설공찬전

1. 최초의 국문본 소설

2. 작자 채수(蔡壽, 1449~1515)의 행적

3. 「설공찬전」(薛公瓚傳)의 줄거리 및 해설

4. 「설공찬전」(薛公瓚傳)의 파동

5. 「설공찬전」(薛公瓚傳)의 의의


본문내용
「설공찬전」의 국문본 발견의 의의를 살펴보면 첫째, 김시습(金時習)이 지은 한문소설집 『금오신화』(金鰲新話) 이후 신광한(申光漢)의 『기재기이』(企齋記異) 수록된 작품은 모두 4편으로 〈안빙몽유록(安憑夢遊錄)〉과 〈서재야회록(書齋夜會錄)〉이 각각 꽃과 문방사우를 의인화한 몽유담 계통의 작품이라면, 〈최생우진기(崔生遇眞記)〉와 〈하생기우전(何生奇遇傳)〉은 주인공이 신선 또는 영혼과 만나는 명혼담(冥婚談) 계통의 작품. 김시습의 《금오신화》를 충실히 계승한 전기소설(傳奇小說)



가 나오기 까지 80여 년에 이르는 소설사의 공백을 메울 수 있게 되었다. 둘째, 그동안 추측과 심증 차원만 제기되어 온 허균(許筠)의「홍길동전」(洪吉童傳) 이전의 국문소설의 존재가 입증 되어 본격적인 국문소설이 등장하게 하는 길잡이 역할을 수행했다고 할 수 있다.

2. 작자 채수(蔡壽, 1449~1515)의 행적

조선 초기의 문신 채수(蔡壽, 1449~1515)의 본관은 인천(仁川), 자는 기지(耆之), 호는 나재(懶齋)이며 남양부사 신보(申保)의 아들이다. 채수(蔡壽)는 1468년 세조대에 문과에 장원 급제한 후 관직에 올라 1470년 성종대에 청요직을 두루 거치며 젊은 언관으로 명성을 떨쳤다. 그는 학문에도 능력이 보여 『세조실록』과 『예종실록』의 편찬에도 주도적으로 참여하였다. 1477년 폐비 윤씨의 존휼(存恤)을 청하다가 성종의 노여움을 사서 벼슬에서 물러났다. 연산군이 왕위에 오른 이후 줄곧 외직을 구하여 무오사화(戊午士禍) 1498년(연산군 4) 김일손(金馹孫) 등 신진사류가 유자광(柳子光) 중심의 훈구파(勳舊派)에게 화를 입은 사건이다. 사초(史草)가 발단이 되어 일어난 사화(史禍)로 조선시대 4대사화 가운데 첫 번째 사화


를 피하였다. 갑자사화 때는 앞서 정희대비(貞熹大妃)가 언서(諺書)로 적은 폐비윤씨의 죄상을 사관(史官)에게 넘겨준 것이 죄가 되어 경상도 단성으로 장배(杖配)되었다가 얼마 후 풀려났다.『중종실록』에 실린 채수(蔡壽)의 졸기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돼 있다.

채수(蔡壽)는 사람됨이 영리하여 글을 널리 보고 기억을 잘하여 젊어서부터 문예로 이름을 드러냈고, 성종조에서는 폐비의 과실을 극진히 간하여 간쟁하는 신하의 기풍이 있었다. 그러나 성품이 경박하고 조급하며 허망하여 하는 일이 거칠고 경솔하였으며, 늘 시주와 음률을 가지고 즐겼다. 일찍이 「설공찬전」(薛公瓚傳)을 지었는데 떳떳하지 않은 말이 많기 때문에 사림이 부족하게 여겼다. 반정 뒤에는 관직을 맡지 않고 늙었다 하여 고향에 물러가기를 청해서 5년 동안 한가하게 휴양하다가 졸하였는데 뒤에 양정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훈구파인 채수(蔡壽)는 58세때인 1506년 중종반정이 일어나자 여기에 가담하고 인천군(仁川君)으로 봉군되었다. 그 후 관직에서 은퇴하여 58세 때부터 67세를 일기로 세상을 뜰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고소설 작품론] 금오신화, 구운몽
  • 작품이며, ,은 용궁세계에 대한 묘사를 통해 작가자신의 철학적 및 사회 정치적 이상을 보여주고 잇는 작품이다. 그리고 이 두 작품은 작가의 진보적 견해와 사회 정치적 이상을 이해하는 데서 의의를 가진다. 여기서는 《금오신화》에 실려 있는 다섯 편의 작품들을 크게 두 개의 주제로 구분하여 각각 작품의 줄거리와 플롯, 등장인물의 묘사방법을 바탕으로 문학사적 의의를 알아보도록 하자. 남녀간의 자유로운 사랑을 주

  • [문학] 지귀 설화에 관하여..
  • 국문학의 갈래 이론』 1992년 집문당조동일 『한국문학통사 1』 1982년 지식산업사김현양 등 공저 『수이전일문』 1996년 박이정『금오신화』 1 『금오신화(金鰲新話)』 개관들어가며『금오신화』는 한국 소설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의의를 지니는 작품이다. 이 작품집이 소설의 효시이냐 아니냐를 떠나, 기존의 문학적 토양과 외래의 영향 아래서 나온 한국 소설의 산맥의 하나이기 때문이다. 비록 이 작품이 후대에 영향을 미치지 못해 소설사의 영

  • [한국고소설교육연구] 구운몽. 김씨열행록. 김학공전. 금방울전. 심청전. 임진록. 장끼전. 전우치전. 춘향전. 홍길동전
  • 및 작품의 비교문학적 영향 관계 등이 이 방면의 연구 방법이 제기할 수 있는 거의 모든 문제가 망라되었다. 이명구의 는 이본 고찰에서 더욱 본격적인 탐구가 되어 있고, 작가의 물리적 환경과 관련된 작품의 이해에 있어서 더욱 심화된 것이었으며, 특기할 것은 일찍이 천태산인에 의해 발언된 의 국문 원본설을 국문본인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본으로 확정, 추론하였다는 것이다. 이 국문 원본설은 대부분의 국문학 및 고대소설

  • 공무원 국어 기출문제(국가직7급,국가직9급,국회8급,경찰공무원,군무원)
  • 설공찬전 ② 창선감의록 ③ 최도통전 ④ 민옹전정답 및 해설 ④위 작품은 박지원의 ‘광문자전’으로, 비천한 인물을 주인공으로 삼아 고대소설의 재자가인적 주인공과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① 설공찬전 : 조선 중종 때 ‘채수’의 한문소설② 창선감의록 : 김도수가 중국의 ‘영렬연의’를 번안한 소설③ 최도통전 : 신채호의 군담 소설④ 민옹전 : 박지원의 한문소설문 2 향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① 4구체 향가로 서동요, 도솔가, 헌

  • 학습지도안 7 문학과 사회 1 홍길동전 PPT 홍길동전 학습지도안 홍길동전 수업
  • 설공찬전』 (薛公瓚傳)의 국문본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국문소설의 효시로 알려진 『홍길동전』의 원작이 국문본이었다는 증거가 없어 아직도 논란 중임을 고려할 때 이 작품이 지니는 비중은 대단하다. 비록 번역체 국문소설이지만 이 작품이 1511년 당대에 이미 국문으로 번역되어 유통되었다는 사실이 공식기록으로 나와 있어 국문표기 소설로는 최초의 것이기 때문이다. - 월간중앙 1997년 6월호기사에서 이복규-감사합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