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학] 신화 속에 담긴 제주인의 우주관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0.04.16 / 2019.12.24
  • 9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4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목차>

1. 들어가며

2. 우주의 생성

3. 우주의 형태
1) 시간관
2) 공간관

4. 우주를 구성하는 가치체계
1) 세계에 대한 인식
2) 삶과 죽음에 대한 인식

5. 나오며
본문내용
태초에 우주는 혼돈 상태였다. 하늘과 땅이 금이 없이 서로 맞붙고 암흑에 휩싸여 한덩어리가 돼 있었다. 갑자(甲子)년 갑자월 갑자일 갑자시에 하늘의 머리가 자방(子方)으로 열리고, 을축(乙丑)년 을축월 을축일 을축시에 땅의 머리가 축방(丑方)으로 열려 하늘과 땅 사이에 금이 생겨났다. 이 금이 점점 벌어지면서 땅덩어리에 산이 솟아오르고 물이 흘러내려 하늘과 땅의 경계는 점점 분명해졌다.
이때 하늘에서 푸른 이슬이 내리고 땅에서 검은 이슬이 솟아 서로 합치더니 음양이 상통해 만물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태초의 우주는 하늘과 땅이 맞붙어 있는 암흑과 혼돈의 세계였는데, 하늘과 땅 사이에 금이 생겨 갈라지면서 그 사이에 인간 세상이 생겨났다는 이야기다.
우주의 생성과 만물의 형성, 그리고 인간의 탄생에 대한 제주인의 사유는 관련 의례인 <초감제>에서도 드러난다. 초감제는 <베포도업(配布都邑)>으로부터 시작되는데, 도업이란 하늘과 땅, 그리고 굿을 하는 장소가 이루어진 태초의 시간을 말한다. 그러므로 도업은 하늘과 땅이 구분되지 않는 천지혼합의 캄캄한 어둠으로부터 대명천지가 밝아오는 천지개벽의 과정을 춤과 무악으로 진행해나간다. 굿의 초감제에 천지혼합에서 하늘과 땅이 나누어지고, 인간이 태어나고, 해와 달을 조정하여 우주의 질서가 잡혀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은 인간사회의 혼돈, 즉 갈등이나 질병을 화해하고 조정하여 새로운 질서의 세계, 성(聖)의 세계로 환원시키는 힘으로 작용한다. http://art.jejusi.go.kr/gallery1/tradition/Contents/Shamanism/Shamanism_0.php

또한, 굿판 서두에 태초에 천지가 개벽하고 사람이 생겨서 지금 여기까지 이르렀다는 전개과정을 압축하여 노래하는 것은 한 인간의 삶이 우주의 생성과 지구촌의 역사와 유기적으로 연관되어 있다는 인식에서 비롯되었다 임재해, 「민속문화의 생태학적 인식- 제3의 민속학」, 당대, 2002, 128쪽.
고 볼 수 있다.

천황(天皇) 닭이 목을 들고, 지황(地皇) 닭이 날개를 치고, 인황(人皇) 닭이 꼬리를 쳐 크게 우니, 갑을 동방(甲乙 東方)에서 먼동이 터오기 시작했다. 이때 하늘의 옥황상제 천지왕이 해도 둘, 달도 둘을 내보내 천지는 활짝 개벽했다. 하지만 천지의 혼돈이 아직 완전히 바로 잡힌 것은 아니었다. 하늘에는 해도 둘, 달도 둘이 떠있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고대경, 「신들의 고향」, 중명, 1997.
문무병 외, 「제주의 민속Ⅴ」, 제주도, 1998
세르기우스 골로빈ㆍ미르치아 엘리아데ㆍ조지프 캠벨, 이기숙ㆍ김이섭 옮김, 「세계 신화 이야기」, 까치글방, 2002.
신동흔, 「살아있는 우리 신화」, 한겨레신문사, 2004.
안진태, 「신화학 강의」, 열린책들, 2001
임재해, 「민속문화의 생태학적 인식- 제3의 민속학」, 당대, 2002.
조동일, 「동아시아 구비서사시의 양성과 변천」, 문학과지성사, 1997.
현용준, 「제주도 무속연구」, 집문당, 1986.
현용준, 「무속신화와 문헌신화」, 집문당, 1992.
현용준, 「제주도 무속과 그 주변」, 집문당, 2002.
현용준, 「제주도 신화의 수수께끼」, 집문당, 2005.


http://art.jejusi.go.kr/gallery1/tradition/Contents/Shamanism/Shamanism_0.php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금오신화(만복사저포기, 이생규장전) 연구
  • 한국학논총, 한양대학교한국학연구소, 1982.김용덕, 朝鮮傳記 小說 硏究, 漢陽大學校, 1986.金鉉龍, 「李生窺墻傳」과 鄭顯組 奴女 설화, 건국어문학, 건국대국어국문학연구회, 1985.박희병, 『韓國傳奇小說의 美學』, 돌베개, 1997.禹玉子,「金鰲新話」현장 敎育的 方案 硏究, 仁川大學校 敎育大學院, 2000.田溶午, “이생규장전의 비교문학적 고찰” 배재대학교, 1996.鄭學成, 한국문학 연구 입문, 서울 : 지식산업사, 1982.陳武鉉, 李生窺墻傳의 原型批評

  • 2000년대 국내외 패션디자인에 표현된 한국적 복식미 사례 연구
  • . 그렇기 때문에 유교적인 전통은 복식을 매우 중시한다. 유교의 본래적인 복식 개념은 옷의 화려함보다는 단정함에 주안이 있다. 그것은 형식으로 내면을 규제하려는 예 사상, 안분지족의 검약사상과도 일맥상통한다. 유교적 복식 관념은 토착적인 생활 의식, 미의식과 결합하였다.서울대학교 규장각에 소장되어있는 책으로, ‘을유중춘난속도연이(乙酉仲春蘭俗徒然耳)’이라는 낙관이 있어서, 대략 1855년이거나 1825년경의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 구술사의 연구동향, 연구쟁점, 연구방법론
  • 한국학중앙연구원 www.aks.ac.kr국사편찬위원회 www.history.go.kr20세기민중생활사연구단 www.minjung20.org국가기록원 www.archives.go.kr민주인권평화센터 내 5.18연구소 http://altair.chonnam.ac.kr/~cnu518/biard518/main/main,htm성공회대학교 사회문화연구원 노동사연구소 www.laborhistory.or.kr한국문화예술위원회 아르코예술정보관 http://library.arko.or.kr제주 4.3 연구소 www.jeju43,org일제강점하강제동원피해진상규명위원회 www.gangje.go.kr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www.womenandwar.net민

  • 홍익인간 이념과 21세기 한국교육 연구
  • 신화에서 유래하는 것에 대해 알레르기반응을 보였으며, 그것이 가지는 포괄적이고 추상적인 특성 또한 장점 아닌 단점으로만 부각시켰다. 그리하여 교육과정 개편이 논의될 때마다 이 홍익인간이념에 대한 도전이 되풀이 제기되었다. 사회 전반이 경제적 가치를 우선시하며 세속화가 진전되면서 홍익인간 같은 정신적-윤리적 명제는 배척되었다. 민족의 일원으로의 삶보다 세계시민으로의 정체성을 중시하는 세계화가 외쳐지면서는 민족적인 것이

  • 고전문학 -불교사상
  • 속적 노래에서 소박한 구애(求愛)의 노래. 육욕적인 성애(性愛)의 알레고리/인간과 자연의 갈등을 해결하려는 상징 형식의 노래라는데에 이른다는 견해가 있다. 다음으로는 노인의 존재를 인간의 차원을 넘어선 신비의 인물로 간주할 때, 이 노래는 신화적 인물이 여성의 아름다움에 바치는 사랑의 노래이며, 신들이 인간의 아름다움에 바치는 아름다움의 예찬이라는 해석도 있다. 마지막으로는 무속적 제의와 관련된 굿 노래로 보는 견해도 있는데 삼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최근 판매 자료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