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미술사] 불상에 대하여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0.01.14 / 2019.12.24
  • 9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4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1. 불상의 정의

2. 불상의 유래

3. 불상의 출현

4. 불상의 구조와 세부명칭

5. 불상의 종류

①석가여래상(釋迦如來像)

②비로자나불상(毘盧遮那佛像)

③아미타여래상(阿彌陀如來像)

④약사여래상(藥師如來像)

⑤ 미륵불상(彌勒佛像)

6. 불상의 수인(手印)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

전법륜인(轉法輪印)

설법인(說法印)

선정인(禪定印)

시무외인(施無畏印) · 여원인(與願印)

지권인(智拳印)

미타정인/아미타구품인(九品定印)

결론
본문내용
4. 불상의 구조와 세부명칭
[육계 肉髻] 부처의 머리 위에 혹과 같이 살이 올라온 것이나 머리뼈가 튀어나온 것. 지혜를 상징. 원래는 인도의 귀족들이 긴 머리카락을 위로 올려 묶었던 형태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임.
[나발 螺髮] 오른쪽으로 말린 꼬불꼬불한 나선형 모양의 머리카락.
[백호 白毫] 부처의 양 눈썹 사이에 오른쪽으로 말리면서 난 희고 부드러운 털.
[삼도 三道] 불상의 목 주위에 표현된 3개의 주름. 생사를 윤회하는 인과를 나타냄.
[광배 光背] 불, 보살의 머리나 몸체에서 발하는 빛을 조형화한 것.
[대좌 臺座] 불상을 받치는 받침대. 원래는 부처가 보리수 아래에서 불도를 깨달았을 때 앉았던 풀방석에서 유래.
[화불 化佛] 변화한 부처. 응신불 또는 변화불이라고도 한다. 불, 보살이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서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나타나는 것으로 작은 여래형으로 표현된다.
[법의 法衣] 부처나 승려가 입는 의복.

5. 불상의 종류
①석가여래상(釋迦如來像)
석가여래상은 모든 불상의 근본이 되는 석가모니 부처님을 지칭한다. 석가모니란 석카족 출신의 성자란 뜻으로 세상에서 가장 존귀한 분이라는 의미이다. 석존이라고도 하며 여러 종류의 부처들 중에서 유일하게 역사적으로 존재했던 인물이었다. 석가여래상은 인간으로 출생한 석가모니가 수행을 통하여 부처가 된 과정과 이후 여러 설법과 관련된 상의 모습을 하고 있다. 대부분의 석가여래상은 득도하기 직전 마귀들의 유혹을 물리치는 항마촉지인의 수인을 하고 있다. 우주에서 제일 존귀한 분이라는 의미에서 세존(世尊)이라고도 한다.
☞감상: 여러 종류의 부처들 중 유일하게 역사적으로 존재했다는 점에서 불교를 믿는 사
람들에게 하나의 증거자료와 같은 역할을 하여 더 믿음이 간다는 측면에서 가장 널리 퍼
졌을 것 같다.

②비로자나불상(毘盧遮那佛像)
비로자나불은 세상의 모든 곳에 두루 광명을 비춘다고 한다. 이부처는 무량한 광명을 지니고서 설법하고 있으며 청정한 부처로 오직 한마음으로 생각하고 맑은 믿음으로 의심하지 않으면 나타난다고 한다. 비로자나란 ‘빛나는 것’을 의미한다. 원래는 태양의 빛을 의미하였으나 후에 불교의 근원적인 부처라 하였다. 이 부처는 무한한 과거로부터 끈임 없는 수행을 통해 깨달음을 얻은 상이며 그 경지를 표현한 상이다. 수인은 지권인을 하고 있다. 대일여래라고도 불리며, 비로자나불은 불교의 본원적인 불상이며 법신불이라고 한다.
☞감상: 비로자나 불상은 통일신라 말기에 구산선문이나 밀교의 유입과 동시에 유행한 불상이라고 한다. 중생과 부처가 사실은 같은 것이어서 중생도 부처가 될 수 있고, 부처도 원래는 중생이었다가 깨달음을 얻은 것이라는 사상이 통일신라말기, 귀족들에게 수탈로 고생하며 현실의 고통을 벗어나고자하던 민중에게 먹혀든 것은 아닐까 생각해본다.

③아미타여래상(阿彌陀如來像)
서방정토인 아미타세계를 주재하는 여래로 감로왕여래, 무량광불, 무량수불이라고도 부른다. 모든 중생을 제도하겠다는 큰 기원을 품고 있는 부처이다. 일반 민중들이 이 부처를 염하면(나무아미타불) 죽은 후 극락인 서방정토에 다다를 수 있다고 한다. 설법인
참고문헌

장준식, (테마별로 읽는) 한국의 문화유산, 학연문화사, 2003.
엄기표 외, (그림과 명칭으로 보는) 한국의 문화유산, 시공테크 : 코리아비주얼스, 2003.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문화사] 한국의 불교조각
  • 대하여 불화로서는 팔상도라 하여 그 유작(遺作)을 많이 남기고 있으나 불상으로는 탄생불과 설법교화상의 석가상만을 조상(造像) 하였다.② 비로자나불상비로자나불은 불교의 진리, 곧 법 그 자체를 상징하는 추상적인 개념이므로 원래는 형상화하지 못하였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표현형식이 확립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통일신라시대에 화엄사상의 융성과 더불어 비로자나 불상이 특히 9세기 중엽경에 유행 하였다. 불국사의 비로자나불, 자지산

  • 한국의 탑 레포트
  • 한국석탑이 발생국>으로서의 榮譽를 지니게 되었다. 또 백제의 名工 아비지가 신라의 초청으로 왕도 경주에 가서 「皇龍寺木造9層塔」을 건립한 것은 『三國遺事』에 보이는 사실이다. 이토록 불교문화가 찬란하였던 백제를 가리켜 중국으 기록에서 의 나라라 하였다. 그러나 이렇던 백제도 오늘 지상에 남겨 놓은 탑은 오직 익산 「미륵자사지석탑」과 부여의 「정림사지5층석탑」등 2기뿐이고, 절터의 木塔址에 사리장치 상황을 짐작할

  • [불교] 불교와 불교사상 및 한국불교의 특징
  • 한국불교의 특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한국불교의 21세기적 과제에 대해서 말하려면 먼저 한국불교의 정신을 점검해보는 것이 좋을 듯하다. 그것을 위해 먼저 일반적으로 한국불교의 특징으로 거론되는 두 가지에 대해 검토하고 점검해보는 것이 필요할 듯하다. 한국불교가 호국불교와 통불교(또는 회통불교)의 전통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많은 사람들이 동의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전통이 있다는 것은 필자가 보기에도 상당히 근거가 있는

  • [석굴암] 석굴암의 배경, 역사, 유래, 구조와 예술적 가치 고찰
  • 미술사적 의의신라시대의 불상조각은 그 이전의 것과 견주어 볼 때 다양한 면에서 그 상이한 점을 포착할 수 있겠지만 가장 중대한 상이점의 하나는 통일신라 이전의 불상조각에는 그 표현에「신관적(神官的) 공리화」가 인정되는데 반하여 통일신라시대의 것에 있어서는 「이상적」경향이 현저하다고 하는 사실이다.미술사적 사실에 대해서 말하자면 고대시대 모든 불조각은 고대인의 미적의식에 있어서 가장 신위적이고 신의에 통달하는 것으로

  • [조각][예술][미술][불상]조각(미술 조각)과 한국예술, 조각(미술 조각)과 가동성, 조각(미술 조각)과 사물의 상보적 관계, 조각(미술 조각)과 도시환경, 조각(미술 조각)과 불상, 조각(미술 조각)과 폐품 분석
  • 흘러넘칠 정도였다. 이를테면 자동차 폐차장은 연기로 덮인 거대한 쓰레기장과 마찬가지로 미국적 풍경의 친숙한 일부분이 된다.참고문헌유성웅 - 세계조각사(HISTORY OF WORLD SCULPTURE), 한국색채문화사, 1997전영탁 - 알고쓰는 미술재료, 미술문화, 1999하버트 리드, 이희숙 역 - 조각이란 무엇인가?, 열화당, 2001한국의 불상, 문예출판사, 1989현대조각의 재료영역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993E.H. - 곰브리치, 서양미술사, 예경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