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의 불교(기화, 보우, 휴정)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0.02.24 / 2019.12.24
  • 45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2,8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1. 朝鮮佛敎 槪觀
2. 기화(己和)의 현정론(顯正論)
2.1 기화
2.2 현정론
3. 보우(普雨)의 일정론(一正論)
3.1 보우
3.2 일정론
4. 휴정(休靜)의 삼가귀감(三家龜鑑)
4.1 휴정
4.2 삼가귀감
4.2.1 유교(儒敎)
4.2.2 도교(道敎)
4.2.3 불교(佛敎)
본문내용
내가 출가하기 전에 해월(海月)이라는 스님이 나에게 『논어(論語)』를 배우다가 ‘널리 사랑과 은혜를 베풀어 뭇 사람을 구제하는 점에 있어서는 요임금 순임금도 오히려 부족하다고 생각하셨다’는 대목의 주(註)에 있는 ‘어진 사람[仁者]은 천지만물을 한 몸으로 여긴다’는 말씀에 이르러서 책을 놓고 나에게 물었다. ‘맹자(孟子)는 어진사람[仁者]입니까?’ ‘그렇다.’
‘닭(鷄)·돼지(豚)·개(狗)·암돼지는 만물(萬物)입니까?’ ‘그렇다.’ ‘어진 사람은 천지만물을 한 몸으로 여긴다' 하니, 이는 참으로 이치에 합당한 말씀입니다. 맹자가 진실로 어진 사람이고 닭·돼지·개·암돼지가 또한 만물이라면, 무엇 때문에 '닭·돼지·개·암돼지를 기름에 있어 그 때를 놓치지 않으면 70 노인이 고기를 먹을 수 있다'고 말씀하셨습니까? 나는 그때 말이 궁해 대답하지 못하고 모든 경전을 상고하였지만 생명을 죽이는 것이 이치에 맞다는 주장은 없었고, 선배들에게 두루 물어 보았지만 석연(釋然)히 의심을 풀어주는 자는 없었다. 늘 이 의문을 품은 채 오랫동안 해결하지 못하였는데, 그 뒤 병자(丙子)년 쯤에 삼각산(三角山)을 유람하다가 승가사(僧伽寺)에 이르러 한 노선사(老禪師)와 밤에 이야기를 나누게 되었다. 이야기를 나누던 차에 선사가 ‘불교에는 열 가지 큰 계율(十重大戒)이 있으니, 그 첫 번째는 불살생(不殺生)입니다’고 말씀하셨다. 나는 그때 의심이 풀리고 마음으로 복종하여 스스로 이렇게 말하였다. 이는 참으로 인인(仁人)의 행이며 깊이 인도(仁道)를 체득(體得)한 말씀입니다’. 그 때부터는 유교와 불교의 차이를 의심하지 않았고, 드디어 이런 시(詩)를 짓게 되었다. 예전엔 경사(經史) [유가의 경전과 사서(史書)를 말한다] 에서 정주(程朱) [북송 때의 학자였던 정자(程子)와 주자(朱子)를 가리킨다] 의 헐뜯음만 듣고 부처님의 옳고 그름을 알지 못했는데 되풀이해 곰곰히 생각한지 여러 해 비로소 진실을 알아 문득 귀의하네. (함허득통 대사의 출가시)

夫巢知風하고 穴知雨하며 蜘蛛는 有布網之巧하고 은 有轉之能하니 物皆如是同稟靈明하야 至於好生惡死之情하야도 亦何嘗異於人哉리오 方其然奏刀하며 然就死之時하야 然視하며 然鳴하나니 豈非含怨結恨之情狀也리오 而人이 自昧耳니라 所以로 人與物이 相作而不覺하며 相償而無休하니 安有仁人이 見其如是而忍爲之哉아 以我之嗜味로 較彼之忍痛하면 苦樂이 皎然而輕重을 可忖이니 報應之說이 如其妄也則一任其作이어니와 如其不妄인댄 來苦를 難當이니 可不愼歟아 夫春蒐夏苗와 秋冬狩는 雖先王之法制나 今有大山之中과 海島之間에 所不及之處에 人與物이 各遂其生하며 各安其所하야 而善終天年者하니 以此觀之則夫民也가 何必因其獵而遂其生也리오 古人이 敎以不合圍不掩群하니 此는 知其殺之不可而事出乎不得已也라 大抵不得已底事는 或中而不必合理也니 旣不合理인댄 何以爲大經乎아 易에 云古之聰明睿智가 神武而不殺夫인저하니 蓋四時之은 聖人이 托此하야 示之以神武야 預防其外寇爾라 豈以殺로 爲心哉리오 此乃爲天下者之大權者爾니라 以此觀之則夫也가 正同嫂溺이어든 援之以手之義하니 嫂溺手援은 暫時之用爾라 何以爲人間之常法也리오

대개 둥지 틀고 사는 짐승은 바람 불 줄을 미리 알고, 구멍 속에 사는 짐승은 비 올 줄을 미리 알며, 거미는 그물을 치는 재주가 있고, 쇠똥구리는 쇠똥을 동그랗게 굴리는 능력이 있다. 만물이 모두 이와 같이 신령스러운 밝음[靈明]을 받았으니, 살기를 좋아하고 죽기를 싫어하는 심정에 있어서 또한 어찌 사람과 다르겠는가? 그 획획 놀리는 백정의 칼에 벌벌 떨면서 죽음으로 나아갈 때를 당하면 힐끗힐끗 바라보며 구슬프게 울부짖으니, 어찌 원망을 품고 원한을 새기는 정상(情狀)이 아니겠는가? 사람이 스스로 모를 뿐이다. 이런 까닭으로 사람과 만물이 서로 업을 지으면서도 깨닫지를 못하고 서로 빚을 갚으면서도 쉼이 없으니, 어찌 어진 사람이라면 이와 같음을 보고도 차마 그런 짓을 하겠는가? 내가 좋아하는 입맛으로써 저들이 참아 내야 할 고통에 비교한다면 고통과 즐거움이 분명하여 어느 것이 사소하고 어느 것이 중요한지 헤아릴 수 있을 것이다. 보응(報應)의 설(說)을 거짓말이라 한다면 그저 짓는 대로 맡겨두겠지만, 만일 거짓말이 아니라면 다가올 고통을 감당하기 어려울 것이니 삼가하지 않아서야 되겠는가? 춘수(春蒐)·하묘(夏苗)·추선(秋)·동수(冬狩)가 비록 선왕의 법제(法制)라고는 하나, 지금 큰 산속과 바다와 섬 등 사냥이 미치지 못하는 곳에서도 사람과 만물은 각기 그 생(生)을 이루고 각기 그 곳에 안주하며 하늘이 준 수명을 온전히 누리고 있다. 이로써 살펴본다면 백성이 어찌 반드시 그 사냥을 의지해야만 그 생(生)을 이룬다고 하겠는가? 옛 사람은 ‘포위하지 말고 무리를 한꺼번에 덮치지 말라’고 가르쳤으니, 이는 살생(殺生)이 잘못인 줄을 알면서도 어쩔 수 없어서 그런 일이 나온 것이다. 무릇 부득이(不得已)한 일은 혹 맞기도 하지만 반드시 이치에 합당한 것은 아니다. 이미 이치에 합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한국사 레포트
  • 시대 사관의 변천고려초기고구려 계승의식유교사관* 7대실록 * 삼국사기고려중기신라 계승의식무신집권기고구려 계승의식자주사관* 동명왕편 * 삼국유사* 제왕운기대몽항쟁기고조선 계승의식고려말성리학적 사관* 고려국사(3) 불교(1) 불교의 흐름시기특징초기(1) 5교 9산의 사상적 대립이 계속됨(2) 광종 - 불교계의 대립을 해소하기 위해 천태종에 관심(3) 제관 - 천태사교의 저술(4) 의통 - 중국 천태종 13대 교조중기의천 ① 천태종

  • 고려말 신진사대부의 등장과 조선건국
  • 조선중기 청허휴정(淸虛休靜)와 그의 문도에 의하여 태고보우와 그의 문도를 불교계의 정통 법맥으로 삼으면서 대사의 위상은 가리워지게 되었다.그러한 가운데에서도 사찰의식에서는 지공․나옹․무학으로 이어지는 삼화상을 받들고 있었으며 서울의 랜드마크라고 할 남산의 정상에 있었던 국사당(國師堂)에는 나옹과 더불어 대사가 신승(神僧)으로 받들어지고 있었다. 더욱이 조선후기에 제 2의 건국운동이라고 할 ‘국가재조(國家再造)’가 활발

  • 한국사 요약정리
  • 시대조선시대구성원향, 부곡, 성(成:수공업)천민향, 부곡, 소(所)하층 양인점(店)양인국역 담당15세 이상 남자16세 이상 남자구분고구려백제신라시조주몽(동명성왕)온조박혁거세국가기틀태조왕: 2C고이왕: 3C내물왕: 4C부자상속고국천왕: 2C근초고왕: 4C눌지왕: 5C불교공인소수림왕(372)침류왕(384)법흥왕(527)율령반포소수림왕(373)고이왕(262)법흥왕(520)한강차지장수왕: 5C고이왕: 3C진흥왕: 6C고구려(B.C. 37-668)1. 유리왕(B.C. 19-A.D. 18)

  • 위대한 한국의 위인들A+
  • 조선 일보 에, 노다지 가 중앙 일보 의 신춘 문예에 각각 당선되어 문단에 올랐다. 그는 불과 2년 남짓한 작가 생활을 통하여 30여 편의 단편과 1편의 미완성 장편, 그리고 1편의 번역 소설을 남길 만큼 왕성한 창작 의욕을 보였으나, 30세의 짧은 나이로인생을 마쳤다. 토속적인 어휘, 전통적인 유머 등을 사용하여 서민들의 인간상을 잘 그려 냈다.작품집으로는 동백꽃 , 김유정 전집 등이 있다.김육(1580∼58) 조선 시대의 문신. 호는 잠곡. 1605년 사마시

  • [불교 선(禪)][선종][원각경][초의][회화사상][위빠사나][성품오득]불교 선(禪)과 선종, 불교 선(禪)과 원각경, 불교 선(禪)과 초의, 불교 선(禪)과 회화사상, 불교 선(禪)과 위빠사나, 원불교 선(禪)과 성품오득
  • 기화 이후의 휴정(休靜, 1502-1604) 등에 이르러서도 ꡔ원각경ꡕ의 인기는 여전하였다. 특히, 휴정의 ꡔ삼가귀감三家龜鑑ꡕ의 「선가禪家」 장에서는 ꡔ원각경ꡕ을 아주 많이 인용하고 있었으며, 이 경은 특히 18세기 이후에는 조계종단의 필수과목의 하나가 되었다.Ⅳ. 불교 선(禪)과 초의1. 초의는 ꡔ선문사변만어ꡕ를 통해 백파의 ‘삼종선’을 비판하고 그 대안으로 이종선을 주창하였다당시의 보수적 선문에서 풍미하고 있던 백파 선사의 ꡔ선문수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