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문학(日本文學) - 일본 문학사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3.12.23 / 2019.12.24
  • 19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2,5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하고 싶은 말
목차
1 개요
2 상대(야마토 시대)
2.1 〈만요슈 萬葉集〉의 성립
2.2 한시문(漢詩文)
3 중고( 헤이안 시대)
3.1 한시문의 융성
3.2 모노가타리 문학[物語文學]
3.3 일기문학(日記文學)
3.4 수필․설화 문학
4 중세(가마쿠라․무로마치시대)
4.1 〈신코킨와카슈 新古今和歌集〉 시대
4.2 후기 한시문과 와카․렌가[連歌]
4.3 기코 모노가타리[擬古物語]와 레키시 모노가타리[歷史物語]
4.4 군키 모노가타리[軍記物語]
4.5 설화․일기․수필, 기타 문학
4.6 노[能]․교겐[狂言]
5 근세(에도 시대)
5.1 고쿠가쿠[國學]운동과 와카
5.2 하이카이[俳諧]의 흥륭
5.3 교카[狂歌]․센류[川柳]
5.4 근세소설의 탄생
5.5 에도의 소설
5.6 조루리[淨瑠璃]․가부키[歌舞伎]
6 근대(도쿄 시대)
6.1 계몽기의 문학과 근대문학의 여명
6.2 사실주의의 제창
6.3 낭만주의 문학의 여러 양상
6.4 자연주의 문학의 성립
6.5 탐미파의 문학
6.6 모리 오가이와 나쓰메 소세키[夏目漱石]
6.7 시라카바파[白樺派]의 문학
6.8 신시초파와 사소설의 완성
6.9 신감각파와 프롤레타리아 문학
6.10 문화 통제하의 문학
6.11 전후의 문학
6.12 근대시
6.13 단카
6.14 하이쿠
6.15 근대의 연극
7 참고문헌

본문내용
1 개요
상대(上代)에서 현대까지 약 1,400년 동안 일본인이 일본어로 쓴 문학의 총칭.일본문학은 원시사회의 제사나 종교적인 행사와 결부되어 발생했다. 고대 일본민족에게는 문자가 없었으므로 문학은 구송적(口誦的)인 형태로 발생․성장해왔으며 6세기말에서 7세기초에 대륙으로부터 한자가 들어오고 표기방법이 발전하면서 기재문학의 시대가 열려 현대에까지 이르게 되었다. 따라서 문학의 전개양상을 서술하는데 적절하게 시대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종래 일본문학의 시대구분은 문학형성의 지역적 기반과 배경이 되고 있는 정치․문화의 중심지에 따른 구분, 계급에 의한 구분, 순수한 시대별 구분 등 여러 가지 구분법이 시도되어왔다. 이 구분법에는 각각의 장단점이 있으나, 여기서는 상대․중고․중세․근세․근대(현대 포함)의 5기로 구분하여 서술하기로 한다.
2 상대(야마토 시대)
794년 헤이안쿄[平安京 : 지금의 교토 시[京都市]]로 천도하기까지 대체로 야마토[大和 : 지금의 나라 현(奈良縣)]가 일본의 정치․문화의 중심이었으므로 이 시대를 야마토 시대라고 부른다.7세기 초엽 중국문화와 더불어 들어온 한자의 음훈(音訓)을 원용한 표기방법이 고안․발전됨에 따라 구송되어오던 문학을 문자로 기록할 수 있게 됨으로써 기재문학이 일본에 출현하게 되었다. 8세기 이후에 성립된 문헌 〈고지키 古事記〉․ 〈니혼쇼키 日本書紀〉․ 〈후도키 風土記〉 등에 남아 있는 구송문학의 흔적에서 일본문학의 원형을 찾아볼 수 있다. 국가의 강력한 의지에 의해 기재문학이 싹트게 되었다. 일본 최고의 문헌인 〈고지키〉․〈니혼쇼키〉는 국가통일이라는 정치적 목적을 위해 황실 중심으로 기록․편찬된 것으로, 여기에 기재된 많은 신화․전설․가요는 원시사회의 유산이 아니라 율령국가(律令國家)의 정치적 의지에 의해 인위적으로 체계화된 것이다. 〈고지키〉는 712년 겐메이 천황[元明天皇]의 명을 받아 오노 야스마로[太安萬侶]가 찬록(撰錄)한 것인데 일본의 국문체를 살린 한문으로 기록되어 있다. 상․중․하 3권 중 상․중 2권은 거의가 신화․전설이고 하권 끝에 역사적인 기술이 있
참고문헌
7 참고문헌
참고문헌 (일본문학) 
일본문학사 : 신현하, 학문사, 1985
현대일본문학사 : 吉田精一 편, 유정 역, 정음사, 1984
일본문학개론 : 敎學硏究社, 이영구 역, 1983
근대일본문학 : 박훈주, 형설출판사, 1983
일본문학사 : 정재인, 한일출판사, 1973
近代文學 全10卷 : 竹盛天雄, 三好行雄 編, 有斐閣, 1977 - 78
現代文學史 全2卷 : 小田切秀雄, 集英社, 1975
新版日本文學史 全8卷 別卷 : 久松潛一 編, 至文堂, 1971
中世文學硏究入門 : 東京大學中世文學硏究會, 至文堂, 1965
日本古代文學史 改稿版(岩波全書) : 西鄕信綱, 岩波書店, 1963
日本の現代小說(岩波新書) : 中村光夫, 岩波書店, 1962
日本文學全史 全15卷 : 佐佐木信綱 外, 東京堂, 1935 - 53
日本近世文學史 : 重友毅, 岩波全書, 1952
日本文學大辭典 全8卷 增補改訂版 : 藤村作 編, 新潮社, 1950 - 52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일본문학의흐름4D)전후에서 현대까지의 문학특징과 시대배경에 대하여0k
  • 일본을 연구하는데 필수 불가결한 조건이다. 그러한 역사의 뿌리에 근거하고 있다.전후의 문학은 패전 후의 혼란한 사회정세를 배경으로 하면서 언론의 자유를 되찾은 문단은 종합잡지문예잡지의 복간 및 창간과 함께 새롭고 다채로운 출발을 시작했는데 대별하면 노대가(老大家)를 중심으로 한 기성작가의 활동에 의한 사소설(私小說)풍속소설을 주축으로 한 전전(戰前)문학의 부활과, 신일본문학회(新日本文學會)를 결성한 구프롤레타리아 작

  • [일본 근세 작가]夏目漱石와 坊っちゃん
  • 일본 문학의 흐름∏」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p862) 작가의 탄생漱石는 일본 문학사에서 가장 빛나는 존재였으며 일본 최고의 영문학자이자 진정한 일본의 지성인이었다. 漱石의 작품은 지금도 일본의 중학교, 고등학교의 국어 교과서에 실려서 일본의 중․고등학생들에게 의무적으로 읽혀지고 있으며, 현재도 일본의 어느 근대 작가보다 많은 독자들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일본 근대문학의 평론가들 사이에서 가장 활발하게 그의 생애와 작품에 대

  • [국어] -한국 낭만주의시의 특질
  • 문학의 근원을 찾고 민족정신을 앙양하려는 뜻에서였다고 말하고 있다.요한이 자유시에서 민요시로 전환한 것은 이러한 시대적 요구와 더불어 조선의 시가 서구의 시와 같은 운율, 고저, 강약이 없어서 그 시형의 완성을 기하기 힘들어서이다. 그래서 바람직한 조선의 시가로 정형률의 시형인 시조나 민요를 지향하게 되었다. 그는 민요를 간단한 어귀에 많은 뜻을 포함하여 민중생활의 보편적 경험을 주제로 한 노래로 언급하기도 했다. 마찬가지로

  • 일본문학의흐름4H)요코미츠리이치, 가와바타야스나리의 신감각파문학의특징과 문예부흥기활동00
  • 일본 소설 문단에 등장한 새로운 소설적 경향의 하나로, 문학사적으로는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신현실주의의 자연주의적 관찰과 묘사를 지양하고, 사소설(私小說)의 경향에 반발하면서 복잡한 근대 사회의 현실과 자아의 해체를 주제로 심리주의 방법에 입각한 주관적`감각적 표현 기술과 새로운 문체를 확립하려는 운동이었다. 이러한 새로운 표현 기술을 중심으로 한 예술지상주의운동은 프로레타리아 문학 운동과 대조를 이루며 쇼와문학(昭和文學)

  • [일본문학]일본문학의 특징,자연주의, 일본문학과 신감각파,오에 겐자부로, 일본문학과 소설 나는 고양이로소이다,소설 파계 분석
  • 일본문학과 신감각파1. 大正13년(1924)2. 片岡鉄兵3. 中河与一4. 佐々木茂索ささきもさくⅣ. 일본문학과 오에 겐자부로1. 大江健三郞의 성장과정1) 근대청년의 자기발견 과정2) 문학세계의 형성2. 大江健三郞의 문학세계1) 감금상태로서의 현실 2) 현실에 대한 도전3. 大江健三郞의 문학사적 위치1) 전후문학의 계승자2) 제3신인 작가Ⅴ. 일본문학과 소설 나는 고양이로소이다1. 고양이와 작가의 관계2. 작가의 탐정(探偵)인식3. ‘고양이’가 본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