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 불교철학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6.07.15 / 2016.07.15
  • 4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8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본문내용
고려시대 불교철학
1. 고려시대 불교
고려 불교는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와 달리 교종(敎宗)과 선종(禪宗)의 조화 문제를 새로운 과제로 하였고, 그 영향은 현대 한국 불교에서도 지속되고 있다. 따라서 고려 불교는 한국 불교사에서 최대 변혁기에 해당한다.
고려 불교가 교종(敎宗)과 선종(禪宗)의 통합을 절실한 과제로 한 것에는 정치적 사회적 배경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므로 고려 불교의 교종, 선종 통합 노력은 불교 안의 문제로부터였다기 보다는 의무적 영향이 더 컸다고 말할 수 있다. 교종과 선종의 통합은 사상계의 분열과 함께 정치세력의 분열을 통합하는 길이었다.
고려 불교는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교종과 선종의 대립과 그 극복과정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교종과 선종의 갈등과 화해는 중요한 철학적 문제로 등장하여, 교종과 선종간의 갈등을 해결하려고 노력한 사람이 지눌이다.
2. 지눌
지눌(知訥, 1158~1210)은 수행에 전념하다가 명종 20년(1190)에 이르러 이전의 동지 몇 명과 함께 정혜사(定慧社)를 결성하고, 그 취지가 담긴 ‘권수정혜결사문(權數定慧結社文)’을 발표하여 큰 걸음을 내딛게 된다. 지눌은 정혜결사문에서 우선 명리(名利)를 버리고 산림에 은둔하여 세속에 물들지 말 것이며, 선정(禪定)과 지혜를 아울러 닦기에 힘쓰고, 예불과 독경 및 노동까지도 스스로 담당하면서 심성(心性)을 수양하여 불자(佛子) 본연의 자세로 돌아가기를 기약하였다. 이러한 그의 결사운동은 무엇보다 정치적 오염으로부터 교단의 순정성(純正性)을 지키고자 한 것이었다. 한국철학사연구회, 『한국철학사상사』,한울아카데미, 1997, p.99~100
고려 후기에 이르면 보조 국사(普照國師) 지눌이 나와서 한국 불교의 가장 큰 종파인 조계종을 세우게 된다. 한국철학사상연구회, 『이야기한국철학』, 풀빛, 1996, p.111
3. 돈오점수
깨침과 닦음에 관한 바른 길을 제시하는 것이 지눌의 돈오점수설이다. 즉 지눌에 의하면 올바른 수심의 길은 먼저 마음의 성품을 분명히 깨치고, 그 깨침에 의거하여 점차로 닦아 가는 선오후수(先悟後修)라는 것이다. 돈오(頓悟)를 지눌은 이렇게 말한다.
“돈오란 범부가 미혹했을 때 사대(四大)를 몸이라 하고 망상을 마음이라 하여, 제 성품이 참 법신임을 알지 못하여 마음 밖에서 부처를 찾아 헤매다가, 갑자기 선지식의 지시로 바른 길에 들어가 한 생각에 빛을 돌이켜(一念廻光) 제 본성을 보면 번뇌없는 지혜의 참 성품이 본래부터 스스로 갖추어져 있어 모든 부처님과 털끝만큼도 다르지 않음을 아나니 그 때문에 돈오라 한다.”
돈오란 ‘마음이 부처’ 라는 사실에의 눈뜸이며, 자기 존재에 대한 명확한 파악이다. 그것은 ‘일념회광’ 이라는 자기 존재에 대한 돌이킴으로 가능하다. ‘심즉불(心卽佛)’ 이라는 사실을 돈오했으면 수심을 마친 것인가? 지눌은 그렇지 않다고 한다. 그것은 아직 완성인 부처의 경지는 아니라고 한다. 돈오를 기본으로 점차로 닦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것이 점수(漸修)이다. 깨쳤으면 그만이지 왜 점수가 필요한가. 지눌에 의하면 깨치기 전 오랫동안 익혀 온 나쁜 습기는 즉시 제거되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한다.
“점수란 비록 본래의 성품이 부처와 다르지 않음을 깨달았으나, 오랫동안의 습기는 갑자기 버리기 어려우므로, 깨달음에 의해 닦아 차츰 익혀 공이 이루어져서 성인의 태를 길러 오랫동안을 지나 성인이 되는 것이므로 점수라 한다.”
돈오가 자기 존재의 실상에 대한 눈뜸이요, 앎이라면, 점수는 그 앎이 생활속에 일여하게 하는 실천과정이요, 닦음이다. 즉 돈오가 미(迷)에서 오(悟)로의 전환이라면, 점수는 범인(凡人)이 성인(聖人)으로 탈바꿈하는 과정이라고 보는 것이며, 점차적으로 보는 것이다. 지눌에 관하여 동유 (석림, Vol.40 No.-, [2006]) p.4~6
4. 정혜쌍수 정혜결사
지눌은 ‘마음이 곧 부처’라는 자각을 통해 타락한 고려불교를 재건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릭 그러한 깨침에 즉하여 현실 속에서 구체적인 방법으로 제시한 것이 바로 ‘정과 혜를 함께 닦자’는 이념이다. 마음이 곧 부처라는 자각을 통해 고려불교의 모습을 일신하자는 계기를 마련하고 선교융회의 이념을 통해 이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그 구체적인 실천이 정과 혜를 함께 닦자는 정혜쌍수의 이념으로 나타난다.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고려 시대의 불교 철학
  • 고려 시대의 불교 철학고려시대의 불교사상삼국시대에 중국으로부터 유입된 불교는 고려조를 통해 그 절정을 누렸다. 고려시대 불교의 중요성은 사원이 갖는 사회경제적인 측면 때문이기도 하다. 고려 왕실과 귀족들은 원당(願堂)이라는 이름으로 불교사원을 경영하였고, 거기에 토지를 투탁하는 형식으로 재산을 증식하였다. 불교는 사회통합이라는 긍정적 기능을 한 측면도 있지만, 대규모 불교 의례와 주술의 도입은 잡다한 신앙행태와 불교의 수

  • 고려시대의 철학사상
  • 고려시대의 철학사상1. 한국 불교의 특징우선 의천과 지눌의 불교관을 살펴보기 전에 우리나라의 불교관의 특징을 살펴보고 넘어가도록 하자.현재 대승불교권에서 티벳과 더불어 전통적인 수행전통을 간직하고 있는 나라는 우리나라이다. 중국과 일본의 불교가 있긴 하지만 올곧게 선원(禪院)에서 전통적인 수행전통을 이어가고 있는 것은 한국의 선(禪)이다. 선방(禪房)에 앉아 전통적인 간화선(看話禪) 화두(話頭)를 근거로 수행하는 참선법. 화(話)

  • [동양][동양 인물화][동양 예술][동양 서예][동양 무도][동양 철학][동양 불교][동양 법가][인물화][예술]동양의 인물화, 동양의 예술, 동양의 서예, 동양의 무도, 동양의 철학, 동양의 불교, 동양의 법가 분석
  • 동양의 인물화, 동양의 예술, 동양의 서예, 동양의 무도, 동양의 철학, 동양의 불교, 동양의 법가 분석Ⅰ. 동양의 인물화1. 벼타작2. 대장간3. 자리짜기4. 서당5. 길쌈6. 씨름7. 주막8. 미인도9. 연상의 여인Ⅱ. 동양의 예술1. 삼국 이전의 고대 무속2. 삼국 시대의 춤1) 고구려의 춤2) 백제의 춤3) 신라의 춤3. 고려시대의 춤4. 조선시대의 춤Ⅲ. 동양의 서예1. 개념2. 가치Ⅳ. 동양의 무도Ⅴ. 동양의 철학Ⅵ. 동양의 불교Ⅶ. 동양의 법가참고문헌

  • 고려시대 사상 고려시대 불교사상 고려시대 유교사상 고려시대 도교사상 고려시대
  • 고려시대의 불교의 뼈대가 될 수 있는 것은 종단의 성립과 변화라 할 수 있다. 신라의 단일한 승정에 토대를 둔 각 종단의 독자성을 어느 정도 인정한 종파불교로의 전환은 고려불교의 중요한 특징이다. 유교가 고려의 정치이념이 되었는데 비하여 불교는 정신계의 지도이념이 되어 현실에 큰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왕실․귀족들의 두터운 보호 속에 번성하였는데, 수도 개성을 비롯하여 전국에 많은 사찰이 있었다. *1왕건 : 여러 신앙관과 통치철학을

  • 레포트 - 고려시대의 철학사상
  • 고려시대의 철학사상고려시대는 유교, 불교, 도교가 각기 사상들의 활동이 왕성했던 시기라 할 수 있겠다. 이 중에서 우리의 수업주제이기도 한 불교의 진행은 균여가 이끌었던 1기와 의천이 이끌었던 2기, 지눌이 이끈 3기, 태고 보우가 이끌었던 4기로 나누어진다. 우리는 이 중에서 주제이기도한 지눌과 의천으로 나누어 그들의 핵심 사상을 살펴보기로 한다. 특징은 교종과 선종의 상호균형, 갈등과 화해로 생각 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최영진 「한국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