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단칠정 논쟁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6.07.15 / 2016.07.15
  • 3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8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본문내용
사단칠정 논쟁
1. 사단칠정논쟁
사단(四端)은 맹자가 처음으로 사용한 개념으로 인간의 4가지 착한 본성, 순수한 선 (善)을 말한다. 그는 이를 바탕으로 성선설을 주장하였다.
측은지심(惻隱之心) : 인(仁)에서 우러나는 측은히 여기는 마음, 즉 곤경에 처한 사람을 측은하게 여기는 마음
수오지심(羞惡之心) : 의(義)에서 우러나는 부끄러워하는 마음, 즉 외롭지 못한 일에 대해서 부끄러워하고 미워하는 마음
사양지심(辭讓之心) : 예(禮)에서 우러나는 사양하는 마음, 즉 남을 공경하고 사양하는 마음
시비지심(是非之心) : 지(智)에서 우러나는 시비를 따지려는 마음, 즉 옳고 그름을 판단할 줄 아는 능력
칠정(七情)은 사단(四端)과는 차원이 다른 감정이다. ‘예기(禮記)’에서 처음으로 다뤄진 이 개념은 인간의 7가지 감정을 말하며, 완전한 선(善)인 사단(四端)과는 달리 칠정(七情) 은 유선유악(有善有惡)으로써 선악이 섞여있는 상태이다. ‘희(喜), 노(怒), 애(哀), 구(懼), 애(愛), 오(惡), 욕(欲)’ 이렇게 7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성리학자들이 문제 삼는 것 은 대체로 ‘중용(中庸)’에서 언급한 희(喜)·노(怒)·애(哀)·락(樂)의 네 가지 감정을 의미한 다. 물론 양자 간에 개념적인 차이는 없다. 네 가지로 나누든 일곱 가지로 나누든 인간의 감정 일반을 통칭했다는 점은 동일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심성(心性)론은 사람의 마음을 철학적으로 설명한 이론이다. 심성론에서는 성(性)과 정(情)을 다루고 있는데 여기서 성(性)은 인, 의, 예, 지를 지칭하고, 정(情)은 측은, 수오, 사양, 시비지심을 지칭한다. 주로 심성(心性)을 하나로 보는 일원론과 심(心)과 성(性)을 두개로 나눈 이원론으로 입장이 나뉜다. 사단칠정 논쟁은 기본적으로 이러한 입장의 차이에서 시작되었다.
이 논쟁은 주자학의 심성론으로 해결되지 않는 문제점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여기서, 기대승과 이황의 논지는 사단과 칠정의 관계를 어떻게 파악하느냐 하는 데서 갈라진다. 이황의 경우는 각각 리와 기에 분리 소속시킴으로써 이를 해결하려 했다면, 기대승의 경우는 분리를 인정하지 않은 선에서 해결점을 모색했다.
2. 사단과 칠정에 대한 이기론적(理氣論的) 해석을 중심으로 한 학설. 사칠론(四七論)이라고도 한다. 사단은 맹자(孟子)가 말한 인간의 착한 본성의 발로인 측은(惻隱)수오(羞惡)사양(辭讓)시비(是非)의 마음을 말하고, 칠정이란 《예기(禮記)》 <예운(禮運)>에 나오는 인간감정의 총칭으로서 희(喜)노(怒)애(哀)구(懼)애(愛)오(惡)욕(欲)을 말한다. 이처럼 처음에는 사단과 칠정이 구분되어 제기되었는데, 송대(宋代)에 성리학이 성립하고 사서(四書) 중심의 학풍으로 바뀌면서, 맹자의 사단설이 중시됨과 동시에 칠정도 논의하게 되었다. 한국에서는 이황(李滉)과 기대승(奇大升) 사이의 논쟁 이후로 이이(李珥)와 성혼(成渾)의 논쟁을 거쳐 조선 말에 이르기까지 많은 성리학자에 의해 한국성리학 이론논쟁의 중요 쟁점이 되어 왔다. 사단과 칠정을 구분해서 보는 견해는 이미 조선 초기 권근(權近)의 《입학도설(入學圖說)》 <천인심성합일지도(天人心性合一之圖)>에 나타난다. 그러나 사단과 칠정에 대한 이기론적 해석을 둘러싼 논의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게 된 것은 정지운(鄭之雲)의 《천명도설(天命圖說)》을 이황이 수정, 개작한 데서 비롯된다. 정지운은 <사단은 이에서 발현하고 칠정은 기에서 발현한다(四端發於理, 七靑發於氣)>고 하였는데 이에 대해 이황은 2년간의 숙고 끝에 <사단은 이가 발현한 것이고 칠정은 기가 발현한 것이다(四端理之發, 七靑氣之發)>라고 개정하였다. 이로부터 4년 후 1559년 기대승이 이황의 사단칠정설에 의문을 제기함으로써 8년간의 대논쟁이 시작되었는데, 기대승은 사단과 칠정이 구별되는 것은 사단이 부분적인 정이고 칠정이 전체적인 정이라는 차이밖에 없다고 하면서, 사단은 칠정의 범위를 벗어나 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고 하였다. 즉 사단과 칠정을 별개의 대립적인 것처럼 해석하는 것은 부당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반론에 대해 이황은 마침내 자신의 견해를 일부 수정하여 <사단은 이가 발함에 기가 따르는 것이고 칠정은 기가 발함에 이가 타는 것이다(四端理發而氣隨之七情氣發而理乘之)>라고 하였다. 이황은 사단과 칠정이 이발인가 기발인가에 따라 구별된다고 하면서 이 2가지는 결코 <동실이명(同實異名)>이 될 수 없다고 하여 기대승의 주장에 반대하였다. 이황에 따르면 이발기발이라는 것은 기와 이가 서로를 배제한다는 것을 표현한 것이 아니라, 단지 무엇을 위주로 표현되느냐의 차이일 뿐이다. 이황과 기대승간의 논변이 끝난 지 6년 후인 1572년 성혼이 이황의 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에 입각하여 이이에게 자신의 견해를 피력하면서 그 타당성을 물음으로써 다시 6년여의 논쟁이 시작되었다. 성혼에 의하면, 사단칠정은 성(性)에서 발하고 인심도심은 심(心)에서 발한 것이어서 발원처는 다르지만, 이미 성현(聖賢)의 말에 모두 주리(主理)주기(主氣)의 설이 있으니, 사단칠정을 <이에서 발하고> <기에서 발한> 것이라고 해도 무방하지 않겠느냐는 생각이었다. 그러나 이에 대해 이이는 사단칠정과 인심도심은 서로 분명한 의미의 차이가 있다고 하였다. 그에 따르면 칠정이란 인심의 움직임에 7가지가 있음을 합쳐서 말한 것이고, 사단은 칠정 중의 선한 쪽만을 택하여 말한 것이어서 이들 간의 관계는 인심도심이 서로 마주하고 있는 것과는 다르다는 것이다. 그는 사단칠정은 오히려 본연지성(本然之性)과 기질지성(氣質之性)의 구별과 같은데, 본연지성은 기질지성을 겸하지 않고 말한 것이지만, 기질지성은 본연지성을 포함하여 말한 것이어서 사단의 칠정에 대한 포함관계와 같기 때문이라고 설명하였다. 그리하여 결국 사단칠정이 모두 <기발이승일도(氣發理乘一途)>일 뿐이라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논변은 조선 후기 성리학의 발달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후 300여년 간 많은 성리학자들이 사단칠정에 대한 해석을 자기 철학의 중심문제로 삼았고 이러한 추세로 인해 학파가 분기(分岐)하게 되었다.
기대승과 이황의 1차 논쟁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사단칠정논쟁
  • 사단칠정논쟁◈이기론과 사단칠정의 개념(1)이기론∎이(理): 우주와 만물의 존재방식이자 그 근본 원리로서 보편적이며 정신적인 성격절대적으로 선하고 존귀한 것. 사단(四端)에 해당됨.∎기(氣): 동적인 기(양,陽)와 정적인 기(음,陰)의 결합으로 이루어짐.구체적이고 다양한 모습이며 감각적, 경험적, 물질적 성격.선악이 뒤섞여 있으며 비천한 것. 칠정(七情)에 해당됨.컴퓨터의 예)컴퓨터의 작동원리와 그것을 토대로 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

  • 사단칠정논쟁을 통한 조선 사회의 가치관 분석
  • 사단칠정논쟁을 통한 조선 사회의 가치관 분석1.사단칠정(四端七情)이란?인성(人性)을 설명하는 조선 때 송 나라 성리학의 학설. 사단(四端)은 맹자가 주장한 것으로 사덕(四德)의 원천인 인(仁)의 단인 측은지심(惻隱之心), 의(義)의 단(端)인 수오지심(羞惡之心), 예(禮)의 단(端)인 겸양지심(謙讓之心=사양지심.辭讓之心), 지(智)의 단(端)인 시비지심(是非之心)을 가리키며, 칠정(七情)은 와 자사(子思)의 에 나오는 인간의 7가지

  • 이황과 기대승의 사단칠정논쟁
  • 이황과 기대승의 사단칠정논쟁1. 고봉(高峯) 기대승(奇大升/1527-1572) 기대승은 정치가로서보다는 학자로서 더 높은 평가를 받는다. 퇴계와의 사이에 벌어진 ‘사단칠정논쟁은 조선후기의 성리학을 주리파로 주기파로 나누는 연원이 되었고, 또 율곡과 우계와의 논쟁도 이에서 발단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정작 논쟁의 당사자였던 퇴계와 고봉은 서로 예의를 갖추어 정중하게 대하였으며 서로가 묻고 배우는 입장이었다고 한다. 퇴계가 고봉보다 2

  • 레포트 - 사단칠정논쟁
  • 사단칠정논쟁☻배경지식 : 성리학(性理學)중국 송 대의 유학을 말한다. 성리학은 ‘신유학’이라고도 칭해지며 흔히 ‘주자학’이라고 한다. 이는 송 대에 들어서서 도가와 불교의 영향을 받은 유학자들이 선진(先秦)의 유학을 체계화하고 이론화 하려는 움직임에서 시작되었다. (여기서 선진은 주나라 말기부터 춘추전국시대를 거쳐 진나라의 분서갱유로 유가가 억압 받기 전까지의 유가사상을 말한다.) 이러한 성리학의 사상체계는 이기론 (理氣論,

  • [사칠논쟁, 철학의 이해]사칠논쟁
  • 한국사상의 이해- 사단 칠정 논쟁5조1998109034 원상필Part 1. IntroductionPart 2. 사단칠정논쟁의 내용과 전개Part 3. 사단칠정논쟁의주자학에서의 의의Part 4. ConclusionBody ⅠBody ⅡIntroductionConclusion ConclusionPart 3OutlinePart 2- * -OutlineIntroductionPart2OutlinePart1Part 3Conclusion- * -미혼 청춘남녀퇴계 이황율곡 이이순수도덕주의‘남녀 칠세 부동석’도덕 물건너간 행위!범도덕주의선(善)일수도 있고악(惡)일수도 있다.CASE 1IntroductionPart2OutlinePart1Part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