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 18 장미자 편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5.06.27 / 2015.06.27
  • 5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8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본문내용
- 이 편은 전체적으로 통일성을 보여준다. 첫 번째로 사연은 제각각이겠지만 등장인물들은 하나같이 세상, 권력, 사람으로부터 비켜나 자기 세계를 일구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즉 이들은 책임을 조용히 내려놓은 인물, 은자들의 이야기이다. 두 번째, 세계관은 다르지만 공자도 조국을 떠남으로써 등장인물들처럼 이별의 고통을 겪게 된다. 공자는 이리저리 떠돌면서 그들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만나지만 그들로부터 조롱을 받고 모두로부터 고별을 알리고 새롭게 비집고 들어갈 틈새를 찾기 위해 광야로 나서지만 환대를 받지 못해 그는 만나는 것마다 떠나야만 했다.
<1> 微子(미자)는 去之(거지)하고 箕子(기자)는 爲之奴(위지노)하고 比干(비간)은 諫而死(간이사)하니라 孔子曰殷有三仁焉(공자왈은유삼인언)하니라
미자는 가고 기자는 종이 되고 비간은 간하다 죽었다. 공자 말씀하시기를, “은나라에 세 어진이가 있었다.”고 하셨다.
->서자인 형 미자는 그이의 곁을 떠났고 숙부기자는 노예가 되었고 숙부 비간은 반대 의견을 말하다 살해되었다. 공자는 “은나라에는 공동체의 평화를 위해 노력한 세 명의 인물이 있었다.”고 하였다.
* 은나라의 멸망을 구하기 위해 노력했던 세 사람의 사적을 간단히 기록하고 있다. 은나라의 현신인 세 사람은 주의 폭정을 끝내기 위해서 각자 여러 가지 방식으로 간언을 했지만 모두 실패하였다. 충간을 듣지 않아 미자는 망명을 하였다. 기자는 여러 차례 주임금의 폭정을 만류 했지만 소용이 없자 거짓으로 미친 체하며 노예가 되었다. 비간은 간언을 하다가 비참하게 죽음을 당하였다. 그 세 사람의 취한 행동은 서로 나라의 어지러움을 근심하고 백성들의 안위를 걱정한 마음은 모두 같은 것이기에 공자는 ‘인자’라 한 것이다. 망하는 나라에서 책임 있는 이라면 어떻게 해야 할지 생각해보게 만드는 구절이라고 생각한다.
<2> 柳下惠爲士師(류하혜위사사)하여 三黜(삼출)이어늘 人曰子未可以去乎(인왈자미가이거호)아 曰直道而事人(왈직도이사인)이면 焉往而不三黜(언왕이불삼출)이며 枉道而事人(왕도이사인)이면 何必去父母之邦(하필거부모지방)이리오
유하혜가 노나라 사사가 되어 세 번 내치니 사람들이, “당신은 아직 노나라를 떠나지 않았느냐.”고 묻자, “도를 곧게 하여 사람을 섬기면 어디를 간들 세 번 내치지 아니하며 도를 굽어서 사람을 섬기면 어찌 반드시 부모의 나라를 버리겠느냐.”고 하셨다.
->유하혜가 사법관이 되었다가 세 차례나 파직되었다. 주위 사람들이 수군거렸다. “당신은 이 나라를 떠나지 않으시오?” 그러자 유하혜가 대꾸하길, “국가의 나아갈 길(원칙)을 곧게 펼치면서 사람(상관)을 모신다면(돕는다면), 어디에 간들 세 차례 정도 쫓겨나지 않겠는가? 나아갈 길을 양보하면서 상관을 도울 생각이라면 무엇 때문에 부모의 나라를 떠나겠는가?”
* 유하혜는 원칙을 고수하다 보면 파면을 피할 수 없으므로, 그것에 신경을 쓰지 않는다고 말한다. 반대로 스스로 원칙을 허물다면 파면을 피할 수도 있고 망명을 떠날 필요도 없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유하혜는 특정 사람에게 충실한 것도 관직에 집착하는 것도 아니다. 이처럼 현실의 권력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있기 때문에 거듭되는 파면에 심리적으로 위축되지도 상처를 받지도 않았던 것이다. 자유로운 영혼을 가진 사람이 아닐까? 이 부분만큼은 우리나라의 정치인들이 읽어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항상 자신의 이익만을 위해 자신의 관직만을 위해 정치를 하는 그들에게 일침을 가해준다고 생각한다.
<3> 齊景公待孔子曰若季氏則吾不能(제경공대공자왈약계씨칙오불능)이어니와 以季孟之間待之(이계맹지간대지)하리라하고 曰吾老矣(왈오로의)라 不能用也(불능용야)라한대 孔子行(공자행)하시다
제나라 경공이 공자를 기다려 말하기를, “계씨처럼 대우하지는 못하지마는 계씨와 맹씨의 중간 정도 대우는 하리라.”고 하고 말하기를, “내가 늙었기 때문에 능히 쓰지 못하겠다.”고 하니 공자께서 떠나 가셨다.
->(공자는 세상을 구제할 기회를 얻기 위해 제나라로 갔다.) 제나라의 경공이 공자의 대우문제를 끄집어냈다. “나는 계씨 정도로는 대우해 줄 수 없습니다. 계씨와 맹씨의 중간 정도로는 대우할 수 있습니다.” (얼마 뒤 다른 소리가 흘러나왔다.) “나는 이미 늙어서 당신을 어디에 쓸 곳이 없구려!” 이 말로 공자는 그 길로 곧장 제나라를 떠났다. 즉 장기 계획으로 정치를 해야 할 공자 같은 인재는 자신은 늙었기 때문에 쓸 수 없다고 변명한 것이다.
<4> 齊人(제인)이 歸女樂(귀녀락)이어늘 季桓子受之(계환자수지)하고 三日不朝(삼일불조)한대 孔子行(공자행)하시다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삼의당 삼의당 생애 삼의당 시 문학적 배경 삼의당 시 내적 요인 삼의당 시가 문학적 전통
  • 편을 읽었고) 憎知家門政 (집안 다스리기 익히 알았네)”라는 구절로, 이미 삼의당은 내칙편을 읽어 부도(婦道)를 수행할 수 있는 바탕을 갖추었으며, 부분부분 시경의 소남편(召南篇)을 인용하여 시를 짓고 있어, 학문이 보통을 넘고 있음을 알게 한다. 이러한 모습은 에서도 나타난다. 그는 논어와 시경을 읽어 생활의 지침으로 삼는 동시에 시작(詩作)의 기틀을 미리 다져가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삼의당은 18세 되던 해에 같은 마을에서 같

  • [고전문학사] - 매월당 김시습의 시와 문학사적 의의 연구
  • 18쪽이를 다음의 시에서 살펴보겠다.飽食飽食今朝臥土牀 오늘 아침 포식하고 흙마루에 누웠거니陶然扣腹傲羲皇 즐거워서 배를 두드리며 복희씨에 거만 떠네.頗知食肉憂無盡 고기를 먹음엔 근심이 한없는 줄 알거니頓覺飯蔬樂未央 나물 먹는 즐거움이 끝없음을 깨닫네.石鼎換添新澗水 돌솥에 새로이 냇물 갈아 붓고瓦爐初擿舊焚香 질화로엔 피우던 향 새로이 들추네.閑人放浪由來事 한가한 이의 방랑은 본디 그렇거니那計淸貧拙與狂 청빈의

  • [독후감상문] 정약용의 목민심서를 읽고
  • 편차는 부임6조. 율기6조. 봉공6조. 애민6조. 이전6조. 호전6조. 예전6조. 병전6조. 형전6조. 공전6조. 진황6조. 해관6조의 23편 각 6씩이니. 72조로 구성되어 있다. 이 내용들은 목민관이 수령이 지켜야 할 행정윤리와 목자로서 갖추어야 할 경륜을 제시한 것이다.정약용은 「목민심서」서문에서 이 책은 처음과 나중의 두편을 제외한 10편만도 60조가 되므로 진실로 양식이 있는 직분을 다하고자 하는 생각만 있다면 아마도 갈피를 못잡지 않을 것이라고 하였

  • 조선 세종대왕 레포트
  • 18남 4녀의 자녀를 두었다. 그 중 정비인 소현왕후 심씨와의 사이에서 8남 2녀를 보았고 첫째 아들이 제5대 임금인 문종이고 문종의 아들이 제6대 임금인 비극의 왕 단종이다. 그리고 세종의 둘째 아들이 조카를 죽이고 왕위에 오른 제7대 임금 세조, 수양대군이다. 세종의 속을 썩인 문제의 며느리는 문종의 아내였다.세종은 첫째아들 문종의 몸이 부실하고 심성이 심약하여 많은 걱정을 했다고 한다. 태종이나 세종 모두 장자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왕위

  • 군자와 시민 유가적 인간과 근대적 인간
  • 18권 3호, 한국철학사상연구회 위의 자료에서 필자는 현대 사회에서 개인주의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적 문제를 유교적 관점, 특히 ‘공동체’의 관점에서 비판가능하며 또 문제를 해결하는데있어서 효과적일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이것을 군자와 시민의 개념의 대립으로 생각해본다면 시민의 개념의 확산으로 인해 생긴 문제를 군자의 개념으로 비판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군자의 개념이 더 우월하다고 볼 수 없고 앞서 말했듯이 군자의 개념이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