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과학 혜경궁 홍씨의 한의 세월을 적은 한중록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5.03.29 / 2015.03.29
  • 15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7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본문내용
혜경궁 홍씨(惠慶宮 洪氏)의 한(恨)의 세월을 적은
한중록(閑中錄)
믿을 수 있는 화자(reliable naator)와 믿을 수 없는 화자(unreliable naator)
ㅡ‘작가’와 ‘내포작가’의 관계를 중심으로
* 목차 *
Ⅰ. 머리말 ㅡ 한중록의 문학적 가치와 논의할 방향
Ⅱ. 제 1장 ㅡ 작가와 작품의 배경소개
1. 조선조 여성작가 ‘혜경궁 홍씨’
2. 작품의 역사적 배경
Ⅲ. 제 2장 ㅡ 작품 ‘한중록’ 분석
1. 한중록(恨中錄)의 구조
2. 주변인물과의 갈등 유형 분석
3. 내포작가의 목소리 (윤리관, 가치관)
1) 사도세자는 정신병자?
2) 벽파도 나쁘고 시파도 나쁘다?
3) 친정아버지만이 옳다?
4) 화협옹주는 미워했고 화평옹주만 사랑했다?
4. 혜경궁 홍씨(惠慶宮 洪氏)의 양면성(兩面性)
Ⅵ. 맺음말 ㅡ 한중록,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가?
Ⅰ. 머리말 ㅡ 한중록의 문학적 가치와 논의할 방향
혜경궁 홍씨의 저서 《한중록(閑中錄)》은 혜경궁 홍씨가 회갑이 되던 해부터 네 차례에 걸쳐 쓴 회고록으로, 모두 네 편으로 되어 있다. <한중록>은 피눈물의 기록이라는 뜻의 <읍혈록(泣血錄> 또는 <한중만록閑中漫錄>이라고도 불린다. 필사본 14종이 있으며, 국문본 · 한문본 · 국한문혼용본 등이 있다. 제1편은 작자의 회갑이 되던 해에 친정 조카의 요청으로 쓰여 졌고, 나머지 세 편은 아들 정조가 죽고 난 뒤 1801년(순조1) ∼ 1805(순조5) 사이에 쓰여 졌다.
한중록의 한자를 한문으로 읽어보면대부분의 사람들은 당연히 한탄할 한恨 이라고 생각하고 ‘한을 가지고 쓴 책이다.’ 라고 알고 있지만 이것은 사실이아니다. 막을 한閑 이라는 자를 사용하며(閑中錄) 이 책에 붙은 제목은 한가한 날의 기록이라는 뜻의 <閑中錄>이었다.피눈물의 기록과 한가한 날의 기록. 그 제목의 극단적 차이만큼이나 내용도 우리가 흔히 생각하고 있던 것과는 많이 달랐다. <한중록>은 혜경궁 홍씨가 남편인 사도세자의 죽음을 중심으로 자신의 한 많은 일생을 기록한 책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나, 이 글은 단순히 자기 고백적인 회상록이 아니다. 특이한 점은 바로 임오화변(壬午禍變 사도세자의 죽음)에 대해 자신의 친정에 유리한 정치적인 색채를 띠고 있다는 것이다.
<한중록>이 지니는 작품의 문학적 특질은 매우 독특하다. 이 책의 저자는 세자빈이라는 높은 지위에 있던 여성이라는 사실에 그 특수성이 인정된다. 「여자의 無學은 오히려 덕이 된다」는 송유의 속설처럼 여성의 교육의 균등을 저해하고, 간혹 재주 있는 여성들이 글을 쓴다 하더라도 가문의 밖으로 내어가지 못하게 하던 시대적 특성상 여성 문학이 인위적으로 도태를 면치 못해 찾아보기 힘든 여류문학의 유산이란 점이다.
또한「한중록」의 귀중성은 고어와 궁중용어의 보유이다. 어휘의 선택과 문장의 표현에서도 고상하고 우아한 면을 엿볼 수 있고 중세어로서 이미 자취를 감춘 고어라든가 음운의 변화, 특수한 궁중용어 등이 발견되고 있기 때문에 그 가치가 더 빛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4대에 이르는 장구한 역사를 골간으로 하여 임오화변과 자신의 친정을 둘러싼 시파와의 당파싸움까지 그 내력을 소상히 기술함으로써 정계야화로서도 중시되고 있으며, 또한 얼마 되지 않는 우리 순수 국문학이라는 점, 그리고 <인현 왕후전(仁顯王后傳> <계축일기(癸丑日記)>와 함께 우리나라 궁중 문학의 대표작으로 꼽히고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한중록에서 가장 눈길을 끄는 점은 바로 물 흘러가듯, 이야기하듯, 서두서부터 아무 꾸밈없이 독자를 놓지 않는 매력에 있다. 특히 인물묘사에 있어서 영조와 사도세자 부자지간의 성격적 특징의 부각을 매우 적나라하고 섬세하게 표현하여 사건의 배후에 자리 잡고 있는 이질적인 성격 갈등의 표출을 예리하게 서술한 점이 가장 인상 깊었다. 이점이 바로 작자가 독자에게 많은 호소력과 감동을 주었다. 그러니 후세 사람들이 그 한 서린 여인의 주장을 진솔하게 받아들인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하지만 그런 만큼 어쩌면 내용과 진실 사이의 거리도 먼 것은 아닐까?
한중록은 장르 설정 문제에 있어서 수필이다 소설이다 논란이 많았다. 또한 역사적 사실을 다뤘기 때문에 논픽션이라는 의견도 있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런 문제가 일어나게 된 원인인 작가와 내포작가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었다. 저자와 화자(내포작가)의 거리가 좁을수록 ‘나’는 극화되지 않은 화자이고 후자는 극화된 화자이다. 일반적인 소설이 저자와 화자의 언어가 갈라진 ‘갈림 언어’라면 한중록(閑中錄)의 경우 ‘나’의 음성이 곧 저자의 것이다. 독자는 일치하는 경우 그대로 서술을 따라가게 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두 사람의 틈새를 비집고 들어가 의미를 합성해내게 된다. 저자가 화자의 음성을 자신과 일치시키는가, 놓아주고 비판적 시선으로 보는가에 따라 극적인 효과가 달라진다. 권택영, <소설을 어떻게 볼 것인가>, 문예출판사, 1995, p189
따라서 본고에서는 혜경궁 홍씨가 내포 작가로서 작품에 어떠한 목소리를 드러내는지 알아보고 등장인물을 그렇게 묘사한 의도와 효과를 분석하고 비평해 보도록 하겠다. 또한 작가가 사건에 대해 바라보는 어조와 시각, 우리에게 전해주는 메시지를 분석하고 마지막으로 이 작품을 어떻게 보아야 할지 논의하며 마치도록 하겠다.
Ⅱ. 제 1장 ㅡ 작가와 작품, 배경소개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한국과 일본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국의 전통복식에 대한 인식에 대해 비교 분석
  • 한복은 일상의복보다는 경조사와 같은 ’특별한 ‘경우’에 한정되는 의복의 개념이 형성되어가고 있다. 한복이 그대로 과거의 전통복식으로 남아있다면 기모노는 현대 첨단문화들과 함께 살아 숨 쉬며 다양한 분야에 다양한 방식으로 진보해가고 있다. 더 나아가 세계패션문화에서도 일본의 기모노는 상당히 예술적이고 패셔너블한 의복으로 평가가 되고 있다. 한복도 동양적인 선의 미학과 과학이 어우러진 그 못지않은 예술품인데 기모노에 비해

  • 독후감 모음집-73권
  • 독후감 모음집(73권)순 서목 차순 서목 차내 안에서 나를 만드는 것들라틴어 수업소크라테스의 변명프레임말의 품격알리바바 마윈의 12가지 인생강의최고의 공부인생에서 너무 늦은 때란 없습니다코스모스초격차혼불용의자 X의 헌신아몬드보노보노처럼 살다니 다행이야딥러닝 레볼루션말 그릇포노 사피엔스잡담이 능력이다(자아성찰 ver)언어의 온도무례한 사람에게 웃으며 대처하는 법실리콘밸리의 팀장들가르시아 장군에게 보

  • [커뮤니케이션학] 출판
  • 한 유통 조직을 만들어 그 거래 방법을 개설하기도 했다. 이러한 책들은 대체로 양피지에 필사된 것들이었음은 물론이다.이상과 같이 오랜 역사를 가진 책은 중세 이후부터 대중매체로서의 기능을 지니게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책은 그 영향력 면에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교육, 과학, 사상 등 어느 분야와도 관련되어 있을 만큼 문화의 발전과정에 큰 영향을 담당해 온 것이다.2-3 책의 존재론적 의의1) 정보매체로서의 의의책은 인쇄에

  • [소설교육] 작품 `한중록` 분석
  • 혜경궁 홍씨(惠慶宮 洪氏)의 한(恨)의 세월을 적은한중록(閑中錄)믿을 수 있는 화자(reliable narrator)와 믿을 수 없는 화자(unreliable narrator)ㅡ‘작가’와 ‘내포작가’의 관계를 중심으로* 목차 *Ⅰ. 머리말 ㅡ 한중록의 문학적 가치와 논의할 방향Ⅱ. 제 1장 ㅡ 작가와 작품의 배경소개1. 조선조 여성작가 ‘혜경궁 홍씨’2. 작품의 역사적 배경 Ⅲ. 제 2장 ㅡ 작품 ‘한중록’ 분석1. 한중록(恨中錄)의 구조2. 주변인물과의 갈등 유형 분석 3. 내포작가

  • 실기문학(實記文學) 작품으로서의 `한중록` -작품의 사료적 성격과 어문학적 가치를 중심으로
  • 실기문학(實記文學) 작품으로서의 《한중록》- 작품의 사료적 성격과 어문학적 가치를 중심으로 -= 목차 =Ⅰ. 들어가며Ⅱ. 본론1. 작품 개략1) 작품의 줄거리2) 작품의 명칭2. 작품의 사료적 성격1) 당시의 역사적 배경2) 작품의 사료적 가치3) 작품의 한계3. 작품의 어문학적 가치1) 어학적 가치2) 문학적 가치3) 비교문학적 가치Ⅲ. 나오며Ⅰ. 들어가며《한중록》은 혜경궁 홍씨가 쓴 이후로 오랜 세월 동안 수많은 사람들에게 읽혀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