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장][악장 개념][악장 형식][악장 전래][악장 의의][악장과 용비어천가][악장과 월인천강지곡][용비어천가]악장의 개념, 악장의 형식, 악장의 전래, 악장의 의의, 악장과 용비어천가, 악장과 월인천강지곡 분석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3.07.28 / 2019.12.24
  • 9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5,0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Ⅰ. 개요

Ⅱ. 악장의 개념

Ⅲ. 악장의 형식
1. 기본형
2. 변조형

Ⅳ. 악장의 전래

Ⅴ. 악장의 의의

Ⅵ. 악장과 용비어천가
1. <제1장>
2. <제2장>
3. <제4장>
4. <제48장>
5. <제67장>
6. <제125장>
7. 고사 성어
1)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2) 해동 육룡(海東六龍)
3) 곶 됴코
4) 仁(누인)
5) 卜年(복년)

Ⅶ. 악장과 월인천강지곡
1. 작품 정리
1) 연대
2) 작자
3) 형식
4) 구성
5) 주제
6) 출전
2. 감상
3. 본문 감상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개요

풍악은 정치에 뿌리를 두고 있기 때문에, 정치가 잘되면 백성이 평안하게 되어, 天下의 마음은和平하게 된다고 하였다. 生民之道는 풍악이 근본이 되고 聲音之道는 治政之道는 中樞가 되기 때문에, 풍악은 온 世界를 和平하게 하고, 禮는 世界의 질서를 바로 잡게 한다. 그러므로 좋은 정치는 禮樂을 앞세우고, 形政을 뒤로 하여야 한다고 하였다.

樂章의 定意: 鬼神과 聖人에게 稱頌을 올리는 글을 말한다고 할 수 있다. 樂章은 神德과 聖德을 찬양하는 글을 말한다. 즉 자연을 支配하는 神과 나라를 다스아는 聖人에게 바치는 노래다. 神에게 바치는 글들은 주로 四音節을 한 토막씩 잘라 이어가는 韻文형식을 取하고 있는 것이, 예삿 글과 다른 점이다.

禮는 會禮라고, 요샛말로 會食이라고 할 수 있다. 차례를 크게 나누어 보면
①人事를 나눔.
②登歌와 文舞를 演進.
③ 俗歌와 俗舞를 演進.
④ 卓子를 철거하고 王世子의 <罷宴>
모든 사람들이 배례를 할 때 → ?安曲을 연주하고,
殿下가 자리에서 뜨면→안지악을 연주한다.
이상과 같이 네 과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樂章의 形式처럼 四言體를 가지지 않고 宋詞의 詞?와 같은 形式을 취하고 있어 그 形式이 多樣하다.

近世 朝鮮王朝의 뿌리는 性理學者들의 哲學에서 피어 난다. 朝鮮王朝가 세워질 兆朕은 李成桂의 꿈으로 나타난다. 夢金尺과 受寶의 노래는 天地의 同參 속에서 밝은 世上으로 널리 번져 가게 되고, 이리하여 꿈은 현실 세계의 꿈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그러므로 朝鮮王朝의 樂章은 天地人의 同參 속에 夢金尺과 受寶으로써 문을 연다. 役事는 性理學을 토대로 하여 조선왕조의 터전을 굳건하게 쌓아 올리는 役事를 시작했다. 그리고 東方의 倭와 北쪽 野人의 納氏를 처부수어 나라의 소란을 안정시켜 놓았다.
龍飛御天歌는 夢金尺과 受寶 納氏曲과 東方曲을 밑에 깔고 시작한다. 그리고 性理學의 理念을 具顯하는데 盡力하였다.
참고문헌
▷ 김세종(2009), 세종대 용비어천가의 창제배경과 음악화 과정 연구, 한국고시가문학회
▷ 김승우(2006), 월인천강지곡의 주제와 형상화 방식, 고려대학교
▷ 성호주(1986), 경기체가 및 악장시가 개관, 수련어문학회
▷ 이다현(2009), 경기체가·악장의 갈래 특성을 고려한 교육 방향 모색, 성균관대학교
▷ 이유경(2006), 문학교과 장르의 편제문제 : 경기체가와 악장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 원선희(2004), 조선조 창작 별곡체 악장연구, 계명대학교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고전시가론] 악장
  • 목 차1. 악장의 개념과 명칭12. 악장의 성립과 전개과정23. 악장의 형태와 분류134. 주요 작가와 작품- 주요작가와 작품들15- 용비어천가30- 월인천강지곡445. 부 록576. 참고 문헌71樂 章Ⅰ악장의 개념과 명칭1. 악장의 개념과 위상1-1) 악장의 개념악장의 기본적인 성격은 음악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조선왕조 초기에 형성된 것으로 보이는 악장은 황실을 중심으로 한 궁중의 공식행사에 쓰인 음악들 중 노래로 불려진 것을 가리킨다. 악장의

  • [고전문학사] 악장
  • 악장 창작이 성종 때까지 이어졌다. 그러나 악장은 끝내 문학적인 안정을 얻지 못했다. 음악을 선결조건으로 삼아야 했던 점이 계속 불리하게 작용 했다. 이미 있는 악곡에다 가사를 맞추어 넣으려 하니 문학으로서는 독자적인 형식을 창조하기 어려웠다. 그래서 악장은 끝내 문학적인 안정을 얻지 못했다. 부처의 은총과 덕화를 노래한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이 창작된 이후 악장은 차츰 쇠퇴의 길로 접어들다 조선의 제도 문물이 완전히 갖

  • [고전시가론] 악장
  • 용비어천가-347.월인천강지곡46▣ 부 록 ▣ 50 【참고문헌제 6 장 樂 章】-65 제 6 장 樂 章6.1. 악장의 개념과 명칭악장의 기본적인 성격은 음악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조선왕조 초기에 형성된 것으로 보이는 악장은 황실을 중심으로 한 궁중의 공식행사에 쓰인 음악들 중 노래로 불려진 것을 가리킨다. 악장의 범주를 이

  • [국문학] 한국문학통사 제 3판 7.1~7.9 <조선전기>요약
  • 의의 대상이 된다. 태조는 예악을 관장하는 부서를 두어 예악의 정치적 기능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이렇게 하는 데 주도적인 구실을 맡은 사람은 물론 정도전이었다. 정도전은 건국의 이념과 제도를 갖추는 작업의 일환으로 태조의 공적을 찬양하고 새로운 왕조의 위엄을 드높이는 악장을 스스로 지었다. 새로운 왕조 창건을 칭송하는 노래를 짓는 사업은 광범위하게 전개되었다. 과 는 길게 이어지는 서사시여서 단형의 교

  • [한국문학] 교술적 갈래 -악장, 창가, 기술ㆍ의론류의 산문문학
  • 악장, 창가, 산문문학을 소개하기로 하였다. ② 악장1. 악장의 개념악장은 나라에서 거행하는 공식적 행사에 소용되는 노래이다. 목적이나 내용은 아주 뚜렷하지만, 독자적인 형식을 갖추지 못했기 때문에 하나의 문형으로 인정하기 어려워 독자적 생명을 가지기 힘들었다. ① 광의적 개념 : 고대부터 개국 이념을 알리고 위업을 찬양하며, 번영을 기원하기 위하여 궁중 의식과 연희에서 궁중 악곡에 실려 가창 및 음영된 시가(어떤 국가이든 이념을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