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 체언의 형태 교체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2.01.17 / 2019.12.24
  • 6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5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하고 싶은 말
특수 체언의 형태 교체 연구 리포트입니다.
A+ 받은 자료입니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목차
Ⅰ.머리말

Ⅱ. 기존의 연구 검토
1. 기존의 연구
2. 기존 연구의 문제점

Ⅲ. 체언의 형태 교체(특수 어간 교체설)
1. 자동적 교체
2. 비자동적 교체

Ⅳ. 맺음말

Ⅴ.참고자료


본문내용
Ⅰ.머리말

(1)단독형 및 공동격조사 앞에서,
(가)나모 (나)노/노로 (다) (라)아
(1’)기타 격조사 앞에서,
(가’) (나’)놀ㅇ (다’)ㄹ (라’)ㅇ
(2)자음형어미 앞에서,
(가)시므- (나)다- (다)모- (라)-
(2’)모음형어미 앞에서,
(가’)- (나’)달ㅇ- (다’)몰ㄹ- (라’)ㅇ-
중세 국어의 체언과 용언의 양쪽에서 다음과 같이 특수한 형태 교체를 보이는 예들이 있어서 주목되어 왔다.

(1)과 (1’)는 체언 어간의 곡용시에 나타나는 형태 변화이며 (2)와 (2’)는 용언 어간의 활용시에 나타나는 형태 변화이다. 이러한 형태변화는 중세 국어에 있어 특이한 사실들 중에서도 가장 두드러진 것으로 공인된 것이다. 여기에서는 이러한 현상에 대한 기존의 논의들을 간략히 소개하고 이 논의의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에 대한 논의를 종합하여 체언에 있어서 특수한 형태 변화를 보이는 현상에 대해 제시해 보았다.

Ⅱ. 기존의 연구 검토
1. 기존의 연구
(1-2)의 자료에 대한 최초의 학문적 암시는 람스테트(Ramstedt, 1928)에서 있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람스테트(1928)에서는 근대 한국어에 대한 기원형에 대한 암시만 담았을 뿐 그들에 대한 본질적인 설명에까지 이르지는 못하였다.
양주동은 향가의 향찰자를 해독하는 과정에서 이들이 계열어를 형성하는 것으로 보았고 이것이 음전(音轉)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하야육랑은 이 때의 ‘ㄱ’을 어간의 일부로 처리하고 ‘남〉나〉나모〉나무’의 발달을 상정하였고 이에 대해 남광우는 이 때의 ‘ㄱ’을 곡용시의 접미사로 처리하였으며 허웅(1975)은 ‘ㄱ’을 기본형 ‘나모, 구무, 불무, 녀느’가 홀소리토씨(모음형 조사)앞에서 끝홀소리(말모음)이 줄어들면서 덧나는 것으로 보았다.

참고문헌
고영근(1997), 『표준 중세 국어 문법론』, 집문당
김무림(1994), “쌍형어간의 발달에 대하여”, 『어문론집』34
김성규(1995), “‘사다’류의 파생어”, 『한일어학논총』,국학자료원
김성규(1996), “ ‘드틀’과 ‘듣글’의 공존”, 『이기문교수정년퇴임기념논총』, 동아출판사
김양진(2000), “특수 어간 교체설 재고”, 『21세기 국어학의 과제』,간행위원회 편
남광우(1993), “명사 곡용에 있어서의 ‘ㄱ’의 고찰”, 『일석 이희승 선생 송수기념 논총』
이기문(1962), “중세 국어의 특수어간 교체에 대하여”, 『진단학보』23
이기문(1972/1983), 『국어사 개설』, 탑출판사
이숭녕(1957/1984), “어간 쌍형설의 제기”, 서울대학교논문집6/『국어조어론』(1984)재록
이숭녕(1961/1983), 『중세국어문법』, 을유문화사
허 용(1997), “특수 어간 교체어 재고: 단일형일 가능성에 대한 탐구”『국어학』30, 국어학회
허 웅(1975), 『우리 옛말본』, 샘문화사
황용주(2000), “쌍형어의 어휘사적 연구”, 전북대 석사학위논문
G. J. Ramstedt(1928), "Remarks on the Korean language", Mémories do la Société Finno-Ougrienne 58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발표문, 중근세 국어 강독 수업] [중세국어] 석보상절 형태소분석 및 풀이
  • 교체 >第똉八땡願은 내 來世솅예 菩뽕提똉 得득 時씽節에 ( = 제팔대원은 내가 내세에 보리를 얻은 시절에)다가 겨지비 겨지븨 온가짓 어려 이리 다와다  싀틋야 겨지븨 모  리고져 거든 ( = 만일 여자가 여자의 온갖 어려운 일이 다그치어 매우 물려서 싫증이나, 여자의 몸을 버리고자 하거든 )겨지비 = 여자가 ; 겨집+이(주격 조사)겨지븨 = 여자의 ; 겨집 +의(속격 조사)어려 = 어려운 ; 어렵 +은다와다 = 다그치

  • [일본어] 현대 일본어경어의 구조적 특성
  • 특수한 형태의 겸양동사普通語謙讓語會うお目にかかるえる(やる)あげる/ さしあげる言う申す/ 申し上げるいるおる思う存ずる來るまいる行くまいる聞くうかがう知る存じ上げる/ 存じる食べる/飮む頂戴する/ いただくたずねる/訪問するうかがう/ あがるもらう頂戴する/ いただく/ 拜受する見せるお目にかける/ ご覽に入れる見る拜見するするいたす3) 호칭관계의 경어교체;일본어에 있어서도 사람의 호칭관계는 근본에

  • 고전문법 정리 레포트
  • 체언의 끝소리 종류에 의해서만 형태가 바뀌는 조사주격조사서술격조사자음이이라ㅣ모음ㅣㅣ라ㅣ모음 외 모음∅∅라▶초성이 ‘ㄱ’인 조사 중 모음이나 ‘ㄹ’로 끝나는 명사 앞에서 ‘ㅇ’으로 교체되는 조사체언의 끝소리접속조사 or부사격(동반, 비교)조사단독의 보조사의문 보조사자음과곳가모음 & ‘ㄹ’받침와옷아(1) 격조사1)주격조사 ‘이/ㅣ/∅’형 태환 경보 기ㅣ‘ㅣ’모음 이외의 모음으로 끝난 체언 뒤에 쓰임

  • [국어문법] [국어문법론] 국어문법론
  • 형태(form)와 기능(function)의 관점에서 형태가 변화하는 변화사와 형태가 변화하지 않는 불변화사로 나뉜다.(어미변화를 하는 단어군과 그렇지 않는 단어군) 변화사에는 명사류와, 동사류가 있고 불변화사에는 관형사류와 부사류가 있다. 여기서 명사류는 체언이라고도 부르고 동사류는 용언, 관형사류는 부체언, 부사류는 부용언이라고 부른다. 이렇게 나뉘어진 어류는 의미의 관점에서 품사로 세분화된다. 명사류는 상황지시소에 따라 명사와 대명사로

  • 형태론
  • 형태가 특정한 형태소와 어울릴 때 교체되는 것.예>‘읽-었-다’의 ‘었’은 양성모음으로 된 ‘보다’의 어간 뒤에서는 ‘았’으로 교체되므로 두 형태는 음운론적으로 제약된 이형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하다’ 뒤에서는 ‘였’으로 교체되므로 음운론적인 조건으로는 설명되지 않는다. 같은 ‘ㅏ’로 끝난 말 뒤에서는 ‘가았다(>갔다)’에서 보는 것처럼 ‘았’이 붙으나 ‘하다’에서는 ‘였’으로 실현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교체는 특수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