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의 국가경영 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와 관련된 세종실록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5.06.27 / 2015.06.27
  • 9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8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본문내용
이달에 임금이 친히 언문(諺文) 28자(字)를 지었는데, 그 글자가 옛 전자(篆字)를 모방하고, 초성(初聲)?중성(中聲)?종성( 終聲)으로 나누어 합한 연후에야 글자를 이루었다. 무릇 문자(文字)에 관한 것과 이어(俚語)에 관한 것을 모두 쓸 수 있고, 글자 는 비록 간단하고 요약하지마는 전환(轉換)하는 것이 무궁하니, 이것을 훈민정음(訓民正音)이라고 일렀다.
【원전】 4집 533면
【분류】 *어문학-어학(語學)
《세종 113 28/09/29/(갑오) / 어제와 예조 판서 정인지의 서문 》
이달에 《훈민정음(訓民正音)》이 이루어졌다. 어제(御製)에,
"나랏말이 중국과 달라 한자(漢字)와 서로 통하지 아니하므로, 우매한 백성들이 말하고 싶은 것이 있어도 마침내 제 뜻 을 잘 표현하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내 이를 딱하게 여기어 새로 28자(字)를 만들었으니, 사람들로 하여금 쉬 익히어 날마다 쓰 는 데 편하게 할 뿐이다. ㄱ은 아음(牙音)이니 군(君)자의 첫 발성(發聲)과 같은데 가로 나란히 붙여 쓰면 규(?)자의 첫 발성( 發聲)과 같고, ㅌ은 설음(舌音)이니 탄(呑)자의 첫 발성과 같고, ㄴ은 설음(舌音)이니 나(那)자의 첫 발성과 같고, ㅋ은 아음(牙音)이니 쾌(快)자의 첫 발성과 같고, ㅇ은 아음(牙音)이니 업(業)자의 첫 발성과 같고, ㄷ은 설음(舌音)이니 두(斗)자의 첫 발성 과 같은데 가로 나란히 붙여 쓰면 담(覃)자의 첫 발성과 같고, ㅂ은 순음(脣音)이니, 별(霰)자의 첫 발성과 같은데 가로 나란히 붙여 쓰면 보(步)자의 첫 발성과 같고, ㅍ은 순음(脣音)이니 표(漂)자의 첫 발성과 같고, ㅁ은 순음(脣音)이니 미(彌)자의 첫 발 성과 같고, ㅈ은 치음(齒音)이니 즉(卽)자의 첫 발성과 같은데 가로 나란히 붙여 쓰면 자(慈)자의 첫 발성과 같고, ㅊ은 치음(齒音)이니 침(侵)자의 첫 발성과 같고, ㅅ은 치음(齒音)이니 술(戌)자의 첫 발성과 같은데 가로 나란히 붙여 쓰면 사(邪)자의 첫 발성과 같고, ㄴ은 후음(喉音)이니 읍(相)자의 첫 발성과 같고, ㅎ은 후음(喉音)이니 허(虛)자의 첫 발성과 같은데 가로 나란히 붙여 쓰면 홍(洪)자의 첫 발성과 같고, ㅇ은 후음(喉音)이니 욕(欲)자의 첫 발성과 같고, ㄹ은 반설음(半舌音)이니 려(閭)자의 첫 발성과 같고,  는 반치음(半齒音)이니 양(穰)자의 첫 발성과 같고, ?은 탄(呑)자의 중성(中聲)과 같고, ㅡ는 즉(卽)자의 중성과 같고, ㅣ는 침(侵)자의 중성과 같고, ㅗ는 홍(洪)자의 중성과 같고, ㅏ는 담(覃)자의 중성과 같고, ㅜ는 군(君)자의 중성 과 같고, ㅓ는 업(業)자의 중성과 같고, ㅛ는 욕(欲)자의 중성과 같고, ㅑ는 양(穰)자의 중성과 같고, ㅠ는 술(戌)자의 중성과 같고, ㅕ는 별(霰)자의 중성과 같으며 종성(終聲)은 다시 초성(初聲)으로 사용하며, ㅇ을 순음(脣音) 밑에 연달아 쓰면 순경음( 脣輕音)이 되고, 초성(初聲)을 함께 사용하려면 가로 나란히 붙여 쓰고, 종성(終聲)도 같다. ㅡ?ㅗ?ㅜ?ㅛ?ㅠ는 초성의 밑에 붙여 쓰고,ㅣ?ㅓ?ㅏ?ㅑ?ㅕ 는 오른쪽에 붙여 쓴다. 무릇 글자는 반드시 합하여 음을 이루게 되니, 왼쪽에 1점을 가하면 거성 (去聲)이 되고, 2점을 가하면 상성(上聲)이 되고, 점이 없으면 평성(平聲)이 되고, 입성(入聲)은 점을 가하는 것은 같은데 촉급( 促急)하게 된다." 라고 하였다.
예조 판서 정인지(鄭麟 ) 의 서문에, "천지(天地) 자연의 소리가 있으면 반드시 천지자연의 글이 있게 되니, 옛날 사람이 소리로 인하여 글자를 만들어 만 물(萬物)의 정(情)을 통하여서, 사방의 풍토(風土)가 구별되매 성기(聲氣)도 또한 다르게 된다. 대개 외국(外國)의 말은 그 소리 는 있어도 그 글자는 없으므로, 중국의 글자를 빌려서 그 일용(日用)에 통하게 하니, 이것이 둥근 장부가 네모진 구멍에 들어가 서로 어긋남과 같은데, 어찌 능히 통하여 막힘이 없겠는가. 요는 모두 각기 처지(處地)에 따라 편안하게 해야만 되고, 억지로 같게 할 수는 없는 것이다. 우리 동방의 예악문물(禮樂文物)이 중국에 견주 되었으나 다만 방언(方言)과 이어(俚語)만이 같지 않으므로, 글을 배우는 사람은 그 지취(旨趣)의 이해하기 어려움을 근심하고, 옥사(獄事)를 다스리는 사람은 그 곡절(曲折)의 통하기 어려움을 괴로워하였다. 옛날에 신라의 설총(薛聰)이 처음으로 이두(吏讀)를 만들어 관부(官府)와 만간에서 지금까지 이를 행하 고 있지마는, 그러나 모두 글자를 빌려서 쓰기 때문에 혹은 간삽(艱澁)하고 혹은 질색(窒塞)하여, 다만 비루하여 근거가 없을 뿐 만 아니라 언어의 사이에서도 그 만분의 일도 통할 수가 없었다.
계해년 겨울에 우리 전하(殿下)께서 정음(正音) 28자(字)를 처음으로 만들어 예의(例義)를 간략하게 들어 보이고 명칭을 훈민정음(訓民正音)이라 하였다. 물건의 형상을 본떠서 글자는 고전(古篆)을 모방하고, 소리에 인하여 음(音)은 칠조(七調)에 합하여 삼극(三極)의 뜻과 이기(二氣)의 정묘함이 구비 포괄(包括)되지 않은 것이 없어서, 28자로써 전환(轉換)하여 다함이 없이 간략 하면서도 요령이 있고 자세하면서도 통달하게 되었다. 그런 까닭으로 지혜로운 사람은 아침나절이 되기 전에 이를 이해하고, 어리석은 사람도 열흘 만에 배울 수 있게 된다. 이로써 글을 해석하면 그 뜻을 알 수가 있으며, 이로써 송사(訟事)를 청단(聽斷)하 면 그 실정을 알아낼 수가 있게 된다. 자운(字韻)은 청탁(淸濁)을 능히 분별할 수가 있고, 악가(樂歌)는 율려(律呂)가 능히 화합 할 수가 있으므로 사용하여 구비하지 않은 적이 없으며 어디를 가더라도 통하지 않는 곳이 없어서, 비록 바람소리와 학의 울음이든지, 닭 울음 소리나 개 짖는 소리까지도 모두 표현해 쓸 수가 있게 되었다. 마침내 해석을 상세히 하여 여러 사람들에게 이해하라고 명하시니, 이에 신(臣)이 집현전(集賢殿) 응교(應敎) 최항(崔恒), 부교리(副校理) 박팽년(朴彭年)과 신숙주(申叔舟), 수찬( 修撰) 성삼문(成三問), 돈녕부(敦寧府) 주부(注簿) 강희안(姜希顔), 행 집현전(行 集賢殿) 부수찬(副修撰) 이개(李塏)?이선로( 李善老) 등과 더불어 삼가 모든 해석과 범례(凡例)를 지어 그 경개(梗槪)를 서술하여, 이를 본 사람으로 하여금 스승이 없어도 스스로 깨닫게 되는 것이다. 그 연원(淵源)의 정밀한 뜻의 오묘(奧妙)한 것은 신(臣) 등이 능히 발휘할 수 없는 바이다. 삼가 생각하옵건대, 우리 전하(殿下)께서는 하늘에서 낳으신 성인(聖人)으로써 제도와 시설(施設)이 백대(百代)의 제왕보다 뛰어나시어, 정음(正音)의 제작은 전대의 것을 본받은 바도 없이 자연적으로 이루어졌으니, 그 지극한 이치가 있지 않은 곳이 없으므로 인간 행위의 사심(私心)으로 된 것이 아니다. 대체로 동방에 나라가 있은 지가 오래 되지 않은 것이 아니나, 사람이 아직 알지 못하는 도리를 깨달아 이것을 실지로 시행하여 성공시키는 큰 지혜는 대개 오늘날에 기다리고 있을 것인져."하였다.
【원전】4집 702면
【분류】*어문학 - 어학(語學)
《세종 114 28/12/26/(기미) / 이과와 이전의 취재에 훈민정음을 시험하게 하였다》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정보화 사회 관점에서 바라본 세종대왕
  • 세종대왕이 행한 업적으로 봐도 정말 뛰어난 인물이었고, 역사상 나올까 말까한 인재이다. 세종대왕을 통해 정보화 지식 사회에서 갖추어야 할 요건을 깨닫고 훌륭한 인재가 되길 노력한다면 나 자신의 가치가 급상승 할 것이고, 미래의 인력시장에서 투자 가치 높은 상품이 될 것이다.※ 참고문헌 및 사이트• (교재) 세종대왕의 국가경영 / 김영수• 한 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 / 박영규• 조선왕조실록 홈페이지 http://sillok.history.go.kr/ • 다음 카

  • 노무현 정부와 세종의 행정학적 비교 분석 ★ 노무현 정부와 세종 인재
  • 세종실록 中③분석복지 정책과 같은 경우, 대표적인 공공성을 띄는 국가 정책이다. 이러한 정책은 국가 수준의 강제력과 규모를 가진 조직이 아니고는 그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어렵다. 이처럼 국가차원의 복지정책은 필요하나, 효과적 시스템 구축이 근본적으로 갖춰지지 않으면 위의 노무현 정부처럼 깨진 항아리에 물 붓기처럼 적자재정이 계속되고 사태가 더 악화 될 수도 있다. 노무현 정부의 경우, 서민의 지지에 힘입어 당선된 만큼 서

  • 세종대왕의 정치에 대한 평가
  • 실록」,「세종실록」 등의 사서편찬․주해사업과 「효행록(孝行錄)」,「삼강행실(三綱行實)」 등의 유교윤리서 편찬, 「오례의주상정(五禮儀注詳定)」,「세종조상정의주찬록(世宗朝詳定儀注撰錄)」 등의 의례제도의 정리사업, 「운회언역(韻會諺譯)」,「용비어천가주해(龍飛御天歌註解)」,「훈민정음해례(訓民正音解例)」 「동국정운(東國正韻)」 등의 훈민정음 관련서적을 편찬, 간행하였다. 집현전은 비록 37년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존속되었던

  • 광고 학도가 바라본 세종대왕
  • 국가로서의 정치적 독자성을 유지 발전시켜 올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창제 당시의 의도를 훌쩍 뛰어넘은 결과로서 오늘날 훈민정음의 위상이 한 층 더 높여 주고 있다. 창제 초기부터 반대파에 의해 존재를 인정받지 못했던 훈민정음. 세종대왕은 훈민정음을 어떻게 홍보하고 알리어 오늘날의 위치를 만들 수 있었을까? 또한 훈민정음이란 제품은 세계 언어시장에서 어떠한 마케팅적 지위를 가지고 있을까? 이는 오늘날 광고홍보학적 입장에서 살펴

  •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 세종의 의도(허춘강 2000)에서 나왔다는 여러 입장이 있다. 우선 이우성의 입장을 보자면 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역사적 배경이 국어학적인 측면과 같이 설명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그리하여 조선 왕조의 정치․사회적 구조와 결부시켜 당시 국가 정책으로서의 훈민정책을, 그리고 훈민정책 수행을 위한 국자 재정의 불가피성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훈민정음과 국어연구(역락출판. 이상혁저) 中-농민을 훈도해야 할 사정의 절실함과는 반대로 농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