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사회] 초정 박제가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07.01.17 / 2019.12.24
  • 8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7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1. 들어가면서
2. 박제가의 생애
3-1. 박제가의 사상적 이해
(1) 북학파와 북학사상
(2) 문학관
(3) 자연관
(4) 경제관
ㄱ. 국내 상업 발전론
ㄴ. 통상개국론
(5) 철학관
(6) 중국인식
3-2. 북학의의 성격 및 의의
4. 나가면서
본문내용
1. 들어가면서

일반적으로 영조와 정조 시대를 조선시대의 중흥기라 한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으로 인한 상처도 어느 정도 아물었고, 끊임없던 당쟁도 영조의 탕평책(蕩平策)으로 표면적으로나마 일단락 된 듯하였다. 그러나 임진왜란 때 조선을 구원하여준 명나라에 대한 감사와, 병자호란 때 효종이 인질로 청나라에 잡혀갔던 것에 대한 복수심이 합쳐져서 배청숭명(排淸崇明)이라는 엉뚱한 주장을 명분으로 삼고 있던 때이기도 했다. 즉, 18세기 명이 멸망하고 청이 등장함에 따라 명 중심의 중화주의(中華主義)적 세계관이 근본적으로 흔들리고 현실적으로는 청나라에 대하여 사대관계를 맺고 있었으면서도 국내에서는 청나라를 오랑캐라 멸시하고 국제질서의 변화를 무시한 채 조선은 천하에 유일하게 명나라의 문물을 계승하여 중화의 문화를 간직한 국가라는 조선중화주의(朝鮮中華主義) 의식이 팽배해있었다. 또한 내부적으로는 전화(戰禍)로 인해 문란해진 국가질서와 파괴된 생산력으로 야기된 재정난을 타개하고자 실시한 농지의 개간 장려와 각종 제도의 개혁 역시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봉건 지배층의 토지 겸병(兼倂)을 허가하여 부익부 빈익빈의 분화현상을 가속화시키는 계기가 되었기 때문이다. 상공업에 있어서도 대동법의 실시와 금속화폐의 보급으로 인한 상인의 자본 축적은 사회분화를 촉진시켰다. 그러나 국가재정의 궁핍과 도탄에 빠진 민생에도 이른바 위정자들은 아무런 대책도 강구하지 못한 채 북벌(北伐)이라는 허언(虛言)을 일삼는, 비생산적이며 허무맹랑한 명분을 좇고 있었다.
한편, 이때에 새로운 학문연구로써 시의(時宜)를 잃은 정치제도를 비판하고, 비교적 진보적인 개혁 방안을 제시하는 풍조가 움트고 있었는데, 이러한 학문연구의 대표적 인물 중 한 명이 바로 박제가(朴齊家)이다.

2. 박제가의 생애

박제가(朴齊家 1750~1805)는 밀양 박씨로서 자(字)는 차수(次修)라 하고, 호(號)는 정유(貞蕤), 위항도인(葦杭道人) 또는 초정(楚亭) 등이 있는데 보통 초정이라 불린다. 영조 22년(1750) 우부승지 박평(朴坪)의 서자로 서울에서 태어난 그는 사회적으로 천대받는 서얼이었지만, 부친의 자상한 배려 덕분에 비교적 행복한 유년 시절을 보낼 수 있었다. 그러나 열한 살 되던 해에 부친을 여의고 홀어머니 밑에서 어렵게 지내게 되었으나, 15세에 시서화(時書畵)로 이름을 날리고 1776년에는 이덕무(李德懋), 유득공(柳得恭), 이서구(李書九)등과 함께 『건연집(巾衍集)』이란 사가시집(四家詩集)을 내어 중국에 ‘조선의 시문사대가(詩文四大家)’로 일려질 정도로 그 총명함이 남달랐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나우권, 「박제가의 실학사상」『실학의 철학』, 예문서원, 1996
이상태, 「朴齊家의 通商開國論」『조선후기논문선집 상공업(8)』, 삼귀문화사, 1994
박제가 지음, 안대희 옮김 『북학의』, 돌베개, 2003
박제가 지음, 이익성 옮김, 󰡔北學議󰡕, 한길사
박성순, 『박제가와 젊은 그들』, 고즈윈, 2006
송재소, 『박제가의 문학관』, 한국 한문학회, 1980
한국사상사연구회, 『실학의 철학』, 예문서원, 1996
박제가, 「答金大雅正喜」『정유각전집(貞蕤閣全集)』
이광호, 「朴齊家와 養虛說」『泰東古典硏究(10)』, 1993
한국철학사연구회, 『한국실학사상사』, 도서출판다운샘, 2002
김용덕, 「박제가의 사상」『한국실학사상논문선집10』, 불함문화사, 1970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박제가의 실학적 사상(박제가 산문선-궁핍한 날의 벗)
  • 조선의 시문 4대가’의 한 사람으로 이름을 날리기도 했다.1773년 3월 정조는 사회 모순을 완화하기 위하여 서얼허통법을 발표하고 서얼들을 하급 관리에 임용하였다. 1779년 3월 박제가는 규장각의 검서관으로 임명되었고, 후에 부여 현령, 오위장영평 현령 등을 역임하였다. 그러나 그는 보수적 집권파의 눈 밖에 나면서 1801년 경원으로 유배당했고, 1805년 10월 박지원의 죽음을 애통해 하다가 병석에 누운 뒤로는 다시 일어나지 못했다.2. 박제가의 성

  • 민족의 빛과 얼 정약용
  • 회를 지탱하기 어렵게 되었다. 이러한 조선 후기 사회에서 기존의 학문과 사상으로는 시대의 질곡을 풀어나갈 방법이 없다고 여기며 새로운 학문과 사상의 탐색에 마음을 기울인 일군의 학자들을 우리는 실학자라고 부르고 있다. 다산 정약용이야 말로 반계와 성호의 학문과 사상을 계승하여 더 높은 단계의 사상과 학문으로 대성하였으며, 연암 박지원, 담헌 홍대용, 초정 박제가 등의 북학파, 즉 이용후생의 논리를 극대화 하던 실학자들의 학설까지

  • 박제가의 생애와 사상, 경영철학 현대적 재해석
  • 조선 후기 이용후생 실학자 가운데 상대적으로 저평가되어온 박제가를 통해 동양의 경영전략에 대해 배워보고자 한다. 또한 박제가의 사상을 현대적으로 해석하여 경영전략으로 배워보는 시간을 갖는다. 그리고 현대의 기업 사례를 통해 동양의 경영전략을 더 쉽게 이해한다.Ⅱ. 박제가의 생애와 시대적 배경1. 박제가의 생애조선시대의 서출양반으로서 당시 정치사회제도의 모순점과 개혁방안을 제시하였고, 또한 신분적인 차별타파와 상공업을

  • 실학 사상 레포트
  • 박제가의 견해는 결국 조선의 문호를 여러 나라에 개방하자는 주장이나 다름없었으니, 당시로서는 무척 혁명적인 주장이었다. 이 때문에 조선 말기의 개화파 사상가들의 사상적 연원을 박제가를 비롯한 실학자들에게서 찾는 경우마저 없지 않다.박제가는 전문성을 띤 철학 논문은 본격적으로 쓰지 않았다. 그는 풍수설을 비판하며, 사람들의 생각과 사회 기풍에 영향을 끼치는 것은 풍수가 아니라 사회 환경이라고 하였다. 그에 따르면 놀기만 좋아하

  • [경제사상사] 북학파의 경제사상 -초정 박제가와 연암 박지원의 경제사상
  • 북학파의 경제사상 - 초정 박제가와 연암 박지원의 경제사상Ⅰ. 도입이번 리포트를 하기 위해 동양의 경제사상에 관해 살펴보던 중, 이와 관련하여 생각나는 것이라고는 국사시간에 배웠던 실학사상이었기에 청의 문물을 받아들이자 주장하였던 북학파에 대해 써보기로 하였다. 조선 후반에 농업뿐만 아니라 상공업의 진흥과 기술의 혁신을 주장하는 실학자들이 나타났고 이들은 공리공담이 아니라 실제적이고 실질적인 것을 추구하는 학문으로 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