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체 신심의 의미와 실천적 활동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6.04.16 / 2016.04.16
  • 3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8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본문내용
성체신심의 의미와 실천적 활동
성체 신심
빵과 포도주의 외적인 형상 속에 실제로, 본질적으로 현존(現存)하는 예수 그리스도의 몸과 피를 말한다. 어원적으로는 희랍어 eucharistia에서 유래되었는데 이 말의 본래의 뜻은 감사하다는 것이다. 이는 하느님이 인간에게 주신 최고의 은혜에 감사함을 의미한다. 구약성서에는 성체에 대한 많은 예표(豫表)들이 나오는데 창세기 14장 18절의 떡과 술의 표현이 그 한 예이다. 또한 예수는 스스로 "나는 하늘에서 내려 온 살아 있는 빵이다. 이 빵을 먹는 사람은 누구든지 영원히 살 것이다"(요한 6:51)라고 하셨으며, 최후만찬 때 하신 말씀(마태 26:26-28, 마르 14:22-24, 루가 22:19-20, 1고린 11:23-25)을 통하여 성체성사(聖體聖事)를 설정하신 것이다. 따라서 성체에 대한 확신은 예수의 강력한 말씀에 근거하므로 성체에 대한 믿음은 그리스도교 신앙의 기본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성체는 미사 중 성찬의 전례 부분에서 축성되어 그리스도의 몸과 피로 변해져 한 가지 신비를 세 가지 측면에서 보여준다. 우선 성체는 세상 끝날까지 인간과 함께 계시기 위한 그리스도의 사랑에서 비롯된 실재적이며 신체적인 현존이다. 또한 성체는 인간을 구원하기 위한 그리스도의 희생이다. 즉, 미사성제를 통해 이 희생이 계속됨으로써 그리스도는 모든 인류를 구원하시는 것이다. 그리고 성체는 사랑의 일치를 보여준다. 즉 신자들은 성체를 받아 모심으로써 하느님과의 일치라는 영혼의 초자연적 생명을 기르게 되는 것이다. 인터넷 가톹릭 대사전(http://info.catholic.or.kr/dictionary)
하느님의 신비나 하느님과 연관된 어떤 창조적 실재에 마음을 향함으로써 하느님을 섬기고 예배하려는 인간의 자세. 이는 하느님만을 찾고 그리스도만을 추종하려는 헌신적 생활태도로 나타나며 희생과 봉사, 기도와 사도적 활동으로 표현된다. 신심은 하느님의 선하심과 사랑을 묵상하거나, 죄와 고통과 죽음 등 인간의 한계상황을 자각함으로써 무한히 완전하신 하느님께 의지하겠다는 깊은 체험에서 생기나 신심의 일차적 원인은 이 체험에 앞서 인간 안에 활동하시는 하느님이시다. 하느님은 또한 모든 신심의 궁극적인 대상이다. 그것은 하느님만이 참된 의미로 예배의 대상이며 하느님의 신비와 연관된 다른 모든 신심의 하느님에 대한 예배를 촉진시키고 증진시키는 것이 그 목적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하느님의 풍요한 신비는 하느님께 나아가는 다양한 길을 열어 놓고 있다.
교회 안에는 신앙의 전체적 내용과 일치하는 교회의 본질적 신비에 대한 신심들이 있다. 구원의 상징인 십자가가 사랑의 표현인 예수성심, 성인이나 성모 등에 대한 신심이 그것이다. 이는 교회가 장려해 왔고 그 실천도 보편적이다. 한편 신앙의 본질적 신비들의 어떤 부수적 문제들에 중점을 두는 특별한 신심이 있다. 예를 들어 예수의 오상(五傷), 성인의 유해나 성상 등에 대한 신심들은 교회의 인준 아래 개인적인 요구와 준비 정도에 따라 그 가치가 나타나는 것으로 사적(私的) 신심이라 할 수 있으므로 모든 신자들에게 일괄적으로 요구되지 않는다. 신자들의 기도생활을 전례와 연관시켜 볼 때 성체현시, 참회예절 등 준전례적 예배행위와 로사리오, 십자가의 길 등 비전례적 예배행위가 있다. 이들은 완전한 예배인 전례를 지향하는 것으로 하느님에 대한 본질적인 예배행위들이다. 신심은 또한 자신의 성화와 교회의 쇄신을 위한 신심행위를 실천하고 전파하려는 조직적인 신심운동으로 나타난다. 인터넷 가톹릭 대사전(http://info.catholic.or.kr/dictionary)
성체대회
성체에 대한 신심(信心)을 앙양(昻揚)하기 위한 성직자와 수도자, 평신도들의 성대한 모임. 성체대회는 성체 속에 현존하는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고백을 통하여 하느님께 영광을 드림을 그 목적으로 한다. 성체대회의 시작은 프랑스 누린(Touraine)에서 마리 마르트 에밀이아 타미지에(Marie Marthe Emilia Tamisier, 1834-1910)가, 성체와 관계된 기적(奇蹟)이 일어난 성지(聖地)를 순례할 것을 권장하면서부터다. 성체대회는 특정한 주제와 함께 개최되며 성체와 관계된 제반문제에 관한 강연과 세미나 등이 함께 이루어진다. 또한 성체대회는 4년마다 세계 모든 국가가 참여하는 국제 성체대회와 한 국가 내에서 열리는 크고 작은 대회로 나뉘어지는데 한국에서는 성체거동(聖體擧動)의 이름으로도 행해진다. 1893년 예루살렘에서의 국제 성체대회부터는 로마 교황청에서 교황 사절을 파견하였고 1964년 인도 봄베이에서 개최된 대회에는 교황 바오로 6세가 참석하여 역사적인 의미가 있었는데 이는 로마가 아닌 다른 지역에서 개최되는 성체대회에 교황이 참석한 최초의 일이기 때문이다. 1981년 7월에는 제42차 국제 성체대회가 예수 그리스도, 세계를 위해 떼어 나누어진 빵이란 주제로 프랑스의 루르드(Lourdes)에서 개최되었다. 인터넷 가톹릭 대사전(http://info.catholic.or.kr/dictionary)
성시간
예수성심(聖心)에 대한 신심의 하나로 한 시간 동안 특별히 겟세마니(Gethsemane)에서의 예수의 고통을 묵상하며 지내는 것을 말한다. 예수가 제자들에게 "너희는 나와 함께 단 한 시간도 깨어 있을 수 없단 말이냐"(마태 26:40)라고 한 성서 말씀에 근거가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성시간은 성녀 마르가리타 마리아(St. Margarita Maria, 1647-1690)에 의해서 비로소 시작되었고, 1829년 프랑스 파레 르 모니알(Paray-le-Monial)에서 예수회 신부 로베르 드브로스(Robert Debrosse)에 의해 이 신심을 전파하기 위한 단체가 창설되어 널리 퍼졌다. 성시간은 성체현시(聖體顯示)와 예수 수난에 대한 묵상, 장엄기도, 성가, 성체강복 등으로 이루어지는데, 공동체에 의해서 또는 개인적으로 행해진다.
일반적으로 교회는 매월 첫 금요일 저녁 시간에 성시간을 가져 고통의 신비를 묵상하며 예수 성심께 위로를 드리고 죄인들을 위해 기도한다. 깊이 통회하는 마음으로 성시간에 참여하는 이에게는 10년의 한대사(限大赦)가 주어지며, 1933년 교황 비오 11세는 성시간에 참여한 자로서 고해성사와 영성체를 하고 교황의 지향대로 기도하는 이에게 전대사(全大赦)를 허락하였다. 인터넷 가톹릭 대사전(http://info.catholic.or.kr/dictionary)
성체조배
성체 앞에서 특별한 존경을 바치는 신심행위. 가톨릭 교회는 신자들이 성당에 와서 감실에 모셔진 성체 앞에 무릎을 꿇고 성체조배를 함으로써 성체에 현존하는 그리스도께 흠숭(欽崇)과 사랑을 표현하고 성체의 신비를 더욱 깊이 깨달을 수 있기를 권장하고 있다.
성체강복
라틴전례의 가톨릭 교회에 있어서 성체에 대한 신심의 표현으로, 성체를 현시(顯示)하여 신자들이 조배(朝拜)하게 하고 사제가 성체로써 강복해 주는 것을 말한다. 전통적으로 사제는 중백의(中白衣)를 입고 영대(領帶)를 두르고 깝바를 어깨에 걸친다. 성체를 성광(聖光)에 모셔 제대 위에 놓고 향을 피운다. 이 때 찬미가가 불려지고 조배와 묵상이 뒤따른다. 두 번째로 향을 피우면서 사제는 어깨보(humerale)로 두 손을 감싸고 성체 현시대를 높이 받들고 십자(十字)의 형태로 신자들에게 강복한다. 이 때 신자들의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해 작은 종을 울린다. 사제와 신자들에 의해 성체 찬미가가 불려지면서 성체는 다시 강보에 모셔지고 이로써 의식은 끝이 난다. 성체강복은 주요 축일(祝日)과 일요일, 사순절, 피정(避靜), 40시간의 성체조배 중에 행해지며, 각 주교들이 지정하는 다른 날에도 행해진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에 전통적 의식이 단순화되었고 신자들이 좀 더 주의깊게 성체를 조배할 수 일도록 기도와 성가, 낭독 등의 다양한 방법 등이 허용되었다. 또한 사제가 없는 가운데서도 수도자나 평신도들에 의해 성체가 현시되는 것이 허용되었다. 단 강복은 사제만이 할 수 있다. 인터넷 가톹릭 대사전(http://info.catholic.or.kr/dictionary)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고전시가] 향가
  • 의미 있는 노래이다.ꊳ 작가 소개得烏谷(?~?) 득오(得烏), 득곡(得谷), 급간(級干)이라고도 한다. 신라 효소왕 때의 화랑. 700년(효소왕 9)에 신라 향가(鄕歌)인 《모죽지랑가(慕竹旨郞歌)》를 지었다. 《삼국유사(三國遺事)》 권2 에는 화랑 죽지랑의 낭도로서 득오가 당전모량익선아간(幢典牟梁益宣阿干)에게 볼모로 붙잡혀가서 벼슬이 신라 아홉 번째 등급인 급간(及干; 창고지기)으로 고생할 때 죽지랑의 도움을

  • [기독교]현대목회에서 요구되는 기독교적 영성
  • 의미하며 설득으로 풀릴 수 있는(삿8:3), 사그러질 수 있는 격노, 흥분상태를 의미한다.② 영이 인간의 영을 의미하는 둘째 영역은 인간의 의지(意志, 뜻)이다. 영이란 대체로 의 의미와 관련이 있는 마음의 태도, 느낌의 움직임을 묘사함과 동시에, 인간 의지의 힘있는 활동을 의미하기도 한다. 램51:11에서 하나님이 메데왕들의 영을 휘저으셔(개역:마음을 격발하여.) 자멸을 초래케 하였다 한 것은 영이 인간내재의 동력(윤리적으로 중립적인)

  • [종교이론]종교 다원주의와 삼위일체론에 입각한 비판
  • 성체 성사의 충만한 친교 생활에로 단계적으로 상승되어야 함을 전제하고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인간의 구원은 크리스천 신앙(信仰)과 하느님의 보편적 구원 의지(救援 意志)에 의해 이루어진다. 라너의 초월적 신학(超越的 神學)에 의하면 하느님은 인간에게 자신을 전달하시고 당신을 알 수 있는 은총을 선험적(先驗的)으로 부여하셨기 때문에, 인간은 자신의 자유를 보전하면서도 하느님을 알 수 있고 당신을 수용할 수 있는 바탕이 마련되어 있는

  • 정전 공부의 도움글-단어 숙어 중심으로-
  • 활동 할 때를 동, 심신을 움직이지 않고 쉴때를 정, 곧 심신이 활동할 때가 동 쉴 때가 정. ③경계를 당해서 마음이 움직이면 동, 경계 앞에서도 마음이 움직이지 않으면 정. /용어당하다:①닿아서 만나다. 처하다. ②일을 만나다. 겪다. /새국어:(어떤 시기나 사태, 환경 등에) 다달으거나 이르러 처하다. /조선말발견:(남이 미처 찾아내지 못하였거나 세상에 널리 알려지지 않은 것을) 먼저 찾아냄. /새국어:이제까지 찾아내지 못하였거나 세상에 알

  • [기독교] 한국 가족의 사회적 변화 따른 결손가정그룹홈의 현실
  • 활동 방안으로 모색해야 할 것으로 본다.참고 자료강완숙, “한국 가족의 변화와 교회의 역할”, 도전받는 가정공동체, 가톨릭여성연구원, 2004. 1-13.강완숙, “가톨릭 가정 및 가정 사목의 현실에 대한 고찰: 2000년 서울대교구 실태조사 결과를 중심으로.”강영옥, “역사적 과정 안에서의 가족 변천”, 강의록. 2005.김광수, 김재환, 나형규, 그룹홈의 이해와 실천, 전국 아동ㆍ청소년 그룹홈 협의회, 2003. 김광수, “아동ㆍ청소년 그룹홈의 이론적 근거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