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인의 한국 북한에 대한 인식의 변화 리포트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5.06.27 / 2015.06.27
  • 9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8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본문내용
2002년 9월, 일본의 고이즈미가 평양을 방문하여 조일정상회담이 개최되었다. 거기서 역사적인 평양선언이 발표되고, 그 후 10월에 제12차 조일 수교회담이 개최되었다. 그러나 김정일이 일본인 납치사건을 시인했기 때문에, 일본 국내에서 북한에 대한 이미지는 최악의 상태로 빠지게 되었다. 대포동 미사일, 괴선박 사건 등, 원래 북한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인식밖에 없었지만, 김정일에 의한 납치 사건의 인정은 더욱 북한에 대한 이미지를 악화시켰다.
한편 한국의 경우는 2002년 6월 한일 공동개최의 월드컵을 경계로 한국과 일본의 교류는 민간 차원에서도 활발해지고, 한국에 대한 일본인의 인식에 변화가 보여지게 되었다.
이처럼 현재 일본 국내에서의 남북한에 대한 인식이 확실히 나뉘어져 있지만, 전후 일본인이 한국북한을 보는 시각은 어떻게 변화되어 왔을까? 그리고 그렇게 된 원인은 무엇인가? 특히 일본에서 북한을 칭찬하는 목소리가 비판의 목소리로 바뀌어 간 90년대 초반까지의 변화과정을 추적해보고자 한다. 여기서는 전후 일본인의 북한관에 큰 영향을 미친 사상적 상황을 1)사회주의 우세 시기(50년대 말-70년대) 2)사회주의 후퇴 시기(80년대) 3)냉전후의 시기(90년대 전반) 永田正治,「북한관련 일본서적의 내용분석:1988-1996년」(서울;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1996).
으로 나누어 그 당시 화제를 불러일으킨 저서를 참고하여, 역사적인 사건을 추적하는 방식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2. 전후에서 1990년대까지의 한국북한에 대한 이미지
1) 사회주의 우세 시기(1950년대 말-1970년대)
① 50년대-60년대
우선 전후부터 60년대에 걸친 일본과 한국, 북한과의 관계를 살펴보기로 하자. 일본과 한국의 국교정상화 교섭은 1951년 10월, 국교재개를 위한 최초의 한일회담이 예비회담의 형태로 개최되었고, 나아가 이듬해 1952년 2월부터 한일교섭이 시작되었다. 그후 14년이 지난 1965년 한일기본조약이 체결되는데, 그 사이 여러 가지 문제가 제기되었다.
한국 측은 일본에 대하여 배상의 청구를 요구하였던 것에 반해, 일본 측이 “그 구체적인 방법 등은 교섭을 통해 결정하고자 한다”며 그에 응하지 않자, 한국 측은 이승만 라인을 긋고, 그것을 넘어들어와 조업한 일본 어선을 납포하였다. 이 때문에 막 개시되었을 뿐인 한일교섭은 곧 난항에 봉착하게 되었다.
게다가 53년에는 한일교섭은 이른바 ‘구보다 망언’(久保田妄言)이라는 사태로 인해 중단되고, 한일관계는 상당히 험악한 상태에 빠졌다. 구보다 망언이란 일본 외무성 참여()였던 구보다 칸이치로우(久保田貫一)가 1953년 10월 15일 재산청구권위원회 제2차회담에서, 대략 다음과 같은 요지의 내용으로 발언한 것을 말한다. 1) 36년간, 일본이 한국을 점령한 것은 한국 국민에게 유익한 것이었다. 2)한국 민족을 노예화했다고 한 카이로선언은 연합국의 전시 히스테리의 표현이었다. 3)과거 재한 일본인의 재산을 미군정법령33호에 의해 처리한 것은 국제법 위반이다. 4)연합국이 일본 국빈을 한국으로부터 송환한 것은 국제법 위반이다.
이후 1953년 10월부터 1958년 4월까지 한일회담은 4년 반에 걸쳐 중단되었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鄭大均、『韓のイメジ後日本の燐』(中央公論社、1995年).
山本武利『日韓新時代韓人の日本』(同文館出版株式社、1994年).
澤田洋太『科書がえない日韓係2002年地域史としての日本と韓』(彩流社、2002年).
池明五十嵐正博岡田正則名古道功編『日韓の相互理解と後補償』(平文社、2002年).
池明『日韓係史究』(新出版社、1999年).
『北朝鮮利の』(島社、2003年).
姜尙中水野直樹李鐘元編『日韓交課題と展望』(岩波書店、2003年).
小島康敬M.W.スティル『鏡の中の日本と韓』(ペリカン社、2002年).
朴順愛『日本大衆文化と日韓係:韓若者の日本のイメジ』(三元社、2002年).
李庭植『後日韓係史』(中央公論社、1989年).
<신문>
『朝日新聞』
<석사논문>
永田正治『북한관련 일본서적의 내용분석 1988~1996』(숭실대학교,1996년).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동북아국제정치] 21세기 북한과 일본의 관계와 수교 전망
  • 북한과의 관계정상화를 통해 자본․기술을 제공함으로써 자국이 구상하고 있는 환일본해경제권(環日本海經濟圈) 형성에 있어 주도권을 장악하고, 또한 북․일 관계정상화는 동북아시아에서 자신의 정치적 영향력 확대를 가능하게 해줄 것이며, 특히 남북한에 대한 등거리외교의 구사가 용이할 것이므로 자국의 이익상 불가피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입장차이를 염두에 두면서, 90년대 이후의 북한과 일본을 세계적 차원, 동북아

  • 6자회담에 임하는 북한의 입장 전략과 대안
  • 북한 핵의 폐기라는 데 합의했다고 한다. 한국 측 회담 관계자의 말을 빌리면 본 회담에서는 핵폐기의 첫 단계로서 검증을 수반하는 동결에 관해 구체적인 논의가 계속 진행돼야 한다는 데 의견의 일치를 보았다. 북핵과 관련하여 북한의 각국에 대한 입장-북한 vs 미국6자 회담 참가국 중 북한 최대의 관심국은 단연 미국이다. 미국과의 회담을 어떠한 방식으로든 이끌어야 하기 때문에 북한이 6자 회담에 참석한 것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실제

  • 북한의 대외관계와 한반도 평화전략
  • 대한 분석과 언급을 차치시켜두고)에 의해 파생된 한반도 전쟁과 남북문제의 근본적 기원을 알아보고, 6자회담의 당사국들의 동북아 국제관계에서의 단극-다극 체제에 대한 전략과 대북 전략을 통한 한반도에서의 입지강화 행태들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탈냉전과 현실사회주의의 붕괴 이후 북한 내 정치 지형의 변화가 가져온 다자간 협상, 양자간 협상에 대한 인식과 외교적 안목에 의한 6자 회담을 바라보고, 준비하는 이면을 도식화 해 보고자 한

  • 방송저널리즘에서 기자와 프로듀서의 역할에 관한 연구
  • 대한 비교분석을 통해, 한국 방송 저널리즘이 한 단계 도약하는 형태의 새로운 저널리즘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현재까지 진행된 저널리즘 변화 양상에 대한 역사적 고찰과 앞서 기자 저널리즘과 PD저널리즘의 비교분석을 「시사매거진 2580」과 「PD수첩」의 사례를 통해 두 프로그램의 제작과정 및 제작인력, 아이템 영역, 영상기법 등 여러 영역에서 비교 설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나타나는 두 시사고발 프로그램의 장단점을 추출해 내

  • 중국의 정치구조와 외교
  • 변화의 방향과 속도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집단은 체제 상층부이다. 이 때 기층은 직접적으로 국가정치에 참여하기보다는 지배세력에 대한 여론의 압력으로 작용할 뿐이다. 사회주의 국가 중 소련, 중국, 북한은 그 체제가 매우 유사하다. 중국은 건국 당시 레닌의 사회주의를 받아들여 소련을 모델로 삼아 정치제도를 구성하였다. 레닌주의는 공산당에 권력이 집중되나, 체제의 정당성을 획득해야하는 현실적 필요성으로 인해 국가기구의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최근 판매 자료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