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전시기와 탈냉전시기의 NATO의 형성과 변천 과정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1.03.04 / 2019.12.24
  • 10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4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목 차

Ⅰ. NATO의 개념과 형성의 배경·과정

1. 북대서양 조약기구(NATO, 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의 개념

2. NATO 형성의 배경과 과정

※ 서방 진영의 대응

Ⅱ. 냉전시대의 NATO

1. NATO 전략 개념의 변화

① 제1단계전략

② 제2단계전략: 대량보복(Massive retaliation)

③ 제3단계전략: 유연반응(Flexible Response)

④ 전략개념 변화에 따른 국제안보의 특징

2. NATO의 안보딜레마

① 미국과 서유럽 국가들 간의 지정학적 상이성에서 연유

② 소련의 군사력 증강에서 연유

Ⅲ. 탈냉전시기의 NATO

1. NATO의 확대

① NATO의 확대정책
② 미국 주도의 NATO의 확대
③ NATO의 확대과정
④ NATO의 확대전략
⑤ NATO의 확대에 따른 미국과 서유럽의 관계

⑥ 소결

Ⅳ. 탈냉전 후 NATO의 전략 변화

1. 탈냉전 후 신전략개념의 형성

2. 신전략개념의 내용

① 동맹의 목적과 임무
② 전략적 시각
③ 21세기 안보에 대한 접근 방법
④ 동맹의 전력을 위한 지침

3. 탈냉전시대 NATO의 신전략개념과 냉전시대의 전략개념과의 차이점

① NATO의 군사적 역할에 있어서의 집단방위와 집단안보

② NATO의 방위능력구상

③ 탈냉전시대 NATO의 방위능력구상은 연합작전의 극대화를 위한 방안

Ⅴ. 결어 및 앞으로의 전망

<참고 문헌>


본문내용

② 미국 주도의 NATO의 확대
-이러한 맥락에서 냉전 이후 NATO의 확대는 미국에게 있어 통일된 독일을 통제하고, 러 시아의 부상을 견제하며, 유럽에서의 지리적·이데올로기적 영향력 확대를 위해서 필요했 다.
-NATO의 확대정책의 이중적 의미
ⅰ) 단순히 지리적으로 중·동유럽지역과 발칸지역으로의 확대
-미국의 핵심가치인 자유시장경제와 민주주의를 확산을 통한 NATO의 확대 모색
ⅱ) 냉전시기: NATO의 방위영역을 지키는 집단방위의 성격이 강함
↔탈냉전시기; 방위영역을 넘어서는 군사적 임무의 확장을 의미하는 집단안보의 성격이
강해짐
→이러한 미국의 NATO 확대는 지리적·이데올로기적 확장을 통해 유럽에서의 미국의 영향 력을 강화, 확장하기 위함이라고 할 수 있음

③ NATO의 확대과정

<표1-NATO의 확대 과정>
일시
주요내용
비고
1990년 6월
런던선언 : NATO와 중동유럽 국가들과의 정치/군사적 협력관계 증진 모색

1991년 11월
로마 정상회담 : 북대서양협력이사회(NACC) 수립

1994년 1월
브뤼셀 정상회담 : 평화를 위한 동반자관계 출범
제4차 NATO 확대시작
1994년 6월
러시아, 평화를 위한 동반자관계 문서에 서명

1997년 5월
유럽-대서양 동반자관계이사회(EAPC) 출범
NATO-러시아 기본협정 체결

1997년 7월
마드리드 정상회담 : 비제그라드 3개국(헝가리, 폴란드, 체코)의 NATO 가입 약속

1999년 4월
워싱턴 정상회담 : 비제그라드 3개국의 NATO 가입 회원자격 행동계획(MAP) 출범
제4차 NATO 확대완성
2002년 11월
프라하 정상회담 : 중동유럽 8개국 초청
가입회담시작
2003년 3월
가입의정서 체결

2003-4년
NATO 회원국가들, 가입의정서 비준

2004년 3월
8개국 중동유럽 국가들의 NATO 가입
제5차 NATO 확대완성


참고문헌

<참고 문헌>

-저서-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NATO의 실상과 이해 (2007)
이수형, 북대서양조약기구와 유럽안보 (2004)

-논문-
이수형,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의 전략개념 변화에 관한 역사적․이론적 고찰 (2001)
이승근, 유럽안보환경의 변화와 NATO의 확대 (1998)
이승근, 탈냉전 시대, 유럽통합과 유럽의 안보질서: 현황과 전망 (2008)

-웹사이트-
위키피디아, http://www.wikipedia.org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일본의 동북아 정책 동북아 지역협력 일본의 동아시아 지역주의 오부치 정부 고이즈미 정부 하토야마 정부 동아시아 지역화
  • 탈냉전기+경제&문명의 초국가적 상호작용→신지역주의 질서인만큼 동아시아 지역정치의 새로운 거버넌스 방식이 중점맺음말:지역이라는 아포리아지역주의는 주권국가간의 상호교섭으로 이루어진 국제관계에 대한 대안 초기에 시장의 역동성에 의한 국가중심세계가 동아시아공동체 형성의 기반→사회의 힘, 즉 시민사회의 초국가활동이 동아시아의 공동체화에 일조시민사회의 지역화야말로 동아시아지역성의 원천이며 동아시아 공동체의 지속

  • [외교]미국의 대외정책과 방향
  • 냉전의 종식과 함께 대항 적을 상실한 미국은 패권유지 수단으로 또 다른 적을 창출해 냈다. 즉 이전의 공산주의적 적대세력이 비민주적, 반미 이데올로기적 적대세력으로 전환되었고 이에 따라 동맹국들을 규합하고 세계질서를 주도해 나갔다. 미국은 미래의 모든 잠재적 경쟁국의 부상을 봉쇄하고 있다. 미국은 우방이나 과거의 적을 불문하고 어느 지역에서나 강대국으로서의 패권을 행사하는 것을 봉쇄하고 미국을 세계에서 유일한 초강대국으로

  • [지역학] 터키 내 쿠르드 족의 분열양상과 그 원인에 관한 연구
  • 냉전체제를 중동지역에 확산시키기 시작하였다. 특히 한국전쟁 발발 이후 미국은 중동 지역의 대소 방위보장을 위한 전략지구로서 터키를 지목하였다. 결국 1952년 미국의 주도하에 터키의 북대서양조약기구 가입이 이루어졌다. 따라서 터키는 냉전체제하에서 중동지역의 유일한 북대서양 조약기구의 회원국으로서 또한 중동 지역 내 소수 서방 동맹국의 하나로서 활동해 왔다. 그러나 탈냉전의 새로운 세계 질서 하에서 터키는 냉전시기의 전략적 중

  • [남북통일외교정책] 남북통일외교정책의 변화상과 남북통일외교정책의 개선 과제 및 남북통일을 위한 남북통일외교정책의 방향 분석
  • 과정은 한편의 드라마와 같다. 20세기 안에는 결코 이루어질 수 없으리라고 독일 국민뿐만 아니라 독일에 관심을 가졌던 대부분의 외국인들까지, 믿을 만한 근거를 제시하면서 단정했던 독일의 통일이 이루어진 것이다.따라서 이 같은 독일의 통일과정, 특히 불리한 주변 상황을 국가 목표에 맞게 유도한 독일의 통일외교정책에서 우리는 절실한 교훈을 얻을 수가 있다. 한반도의 경우보다 훨씬 어려운 조건을 갖고 있던 독일이 통일된 것은 아무리 유

  • [아랍지역연구]냉전체제와 아랍지역정치(보수, 혁신관계에 조명하여)
  • 탈냉전의 시대인 1990년대에 접어들면서 미국의 클린턴 행정부의 정책전환의 중요한 지점이 된다. -2. 시기정권별 중동정책 변천사냉전시대 미국의 중동정책이 소련의 봉쇄, 석유 확보, 이스라엘 안보의 3가지 전략적인 목표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는 사실을 앞서 살펴 보았는데 이번 장에서는 미국의 시기정권별 중동정책 변화와 주요내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자.ㄱ. 트루만 독트린(Truman Doctrine)과 바그다드 조약기구(Baghdad Pact)제2차 세계대전 종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