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정책론] 9.11 테러가 중국 안보정책 변화에 끼친 영향 분석 -국가체제수준으로 분석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0.08.31 / 2019.12.24
  • 22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2,1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1. 서론

2. 본론(국가체제 수준으로 분석)
(1) 9.11테러 이전 중국의 안보정책

1) 9.11테러 이전 중-미 힘의 분배양상
① 중-미 협력과 경쟁 병존관계
② 중국, 대만, 미국 삼각 갈등

2) 9.11테러 이전 중국과 주변국의 힘의 분배양상
① 9.11 테러 이전 중-러 관계 변화
② 9.11테러 이전의 중-일 관계
㈀ 냉전기 중일안보관계: 상호이익의 중첩
㈁ 탈냉전기 중-일 안보관계: 상호간 위협 인식
③ 9.11 테러 이전의 중-ASEAN 관계

3) 9.11테러 이전의 상호의존: 중국의 다자안보 체제 추구
① 9.11테러 이전 중국 다자주의 안보개념의 변화와 그 현황
② 다자안보 형성을 둘러싼 중·미 관계


(2) 9.11테러 이후 중국의 안보정책
1) 9.11테러 이후 중-미 힘의 분배양상
① 중-미 협력기조와 상호불신 잔존
② 중국, 대만 , 미국의 삼각 갈등의 변화된 양상

2) 9.11테러 이후 중국과 주변국의 힘의 분배양상
① 9.11 테러 이후 중-러 관계 변화
㈀ 9.11 테러 직후 2000년대 초반의 중-러 관계의 변화
㈁ 2005년도 중-러 관계의 변화
㈂ 중-러 전략연대의 강화배경 판단
② 9.11 테러 이후의 중-일 관계
③ 9.11 테러 이후의 중-ASEAN 관계

3) 9.11테러 이후의 상호의존: 중국의 다자안보 체제 추구
① 다자안보 체제의 중요성 강화와 중국 대외 정책의 변화
② 다자안보 협력체 내 중국의 안보 인식 변화: 상하이협력기구(SCO)를 중심으로


3.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② 다자안보 형성을 둘러싼 중·미 관계
앞서 표에서 보듯 중국은 1990년대 이후 다자간 정부 및 비정부간 안보 회의에 지속적인 참여의 태도를 보였다. 그러나 이러한 지속적인 참여 속에서도 중국은 중국외교정책의 독립적인 측면과 국가주권의 권리를 강조하였는데, 이는 상당한 부분이 지역 내 미국의 패권을 경계하는 중국의 반패권적 태도에서 기인하였다고 볼 수 있다. 중국의 국방백서는 지역 내 안보협력기구에 대해 다음과 같이 자국의 입장을 피력하였다.

"중국은 각기 다른 수준의 지역 내 안보대화와 협력을 지지하며, 그것은 다양한 형태와 채널을 통하여 점진적인 방식으로 진행되기를 기대하며, 차이점은 보류한 채 공통점을 추구하는 정신으로 이루어지는 의견교환과 동등한 위치에서 합의에 도달하는 원칙에 따라야 한다. (중략) 중국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다자간의 안보 대화와 협력은 약소국을 유린하기보다는 상호존중하고, 대결보다는 협력하며, 다른 국가에게 자신의 의지를 강요하기보다는 합의에 도달하는 방향으로 추진되기를 주장한다." 앞의 글.

여기서 중국은 대화와 협력은 상호존중에 근거해야 하며, 약소국을 유린하거나 자국의 의지를 강요하는 패권적인 개입을 반대한다고 밝히고 있다. 비록 명시적으로 어느 국가가 약소국을 유린하고 자국의 의지를 강요하는지 밝히고 있지 않지만, 이 지역의 정치 및 안보구조를 지배하고 있는 미국을 암시한 것이다. 중국은 국제질서에 대한 동양적 개념에 따라 지역 내의 문제들은 우선 양자간에 해결되어야 하는 것이 원칙이라고 믿으며 지역 내에 패권주의와 힘의 정치가 제거되어야만 지역안보가 확립될 수 있다고 믿고 있었다. Zhengyuan Guo, "Prospects for Security Cooperation in the Asia-Pacific Region," BeijingReview, Vol.37, No.28 (1994), pp. 20-22.
지역 내 안보에 대한 중국의 의혹은 미국의 지역 내 지배적인 역할에 기인하고 있으며, 중국은 다자주의를 통해 미국의 지역 내 군사동맹의 지배력을 잠식하고 상쇄하고자 하는 것으로 보인다. 즉 중국은 '다자주의'가 냉전시대 미국중심의 아시아 태평양 국가들의 안보체제를 대체하고, 탈냉전시대 미국의 영향력을 중화시키는 대체적 안보체제를 촉진하기 위한 도구가 되기를 기대하고 있었던 것이다.


2-2. 9.11테러 이후 중국의 안보정책

1) 9.11테러 이후 중-미 힘의 분배양상
① 중-미 협력기조와 상호불신 잔존
9.11 테러사태 이 후 중국은 대테러 전에 대한 즉각적인 지지표명과 협조로 중-미관계의 일대 조정 국면을 맞게 되었다. 10월 19일 상하이에서 개최된 APEC 정상회담을 통해 2001년 미중 정상 간의 첫 번째 만남이 이루어졌고 이 정상회담에서 미국 양국은 테러방지 및 응징에 대해 공동보조를 취할 것을 발표함으로써 중-미 관계는 갈등에서 협력으로 극적인 전환을 하였다. 중-미 간에는 아직 미사일 방어(MD), 대만문제, 인권문제 등으로 갈등이 남아 있지만 대량살상무기의 비확산, 테러방지 등 전 지구적인 문제에 대한 협력이 무엇보다 급박해졌기 때문이었다. 테러응징과 관련, 우방국들뿐 아니라 러시아와 중국과 같은 비우방국들과도 협력을 해야 하는 미국의 입장에서 대중전략은 테러 이전과는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중국 또한 마찬가지이다. 2001년 4월의 미정찰기 충돌사건 이후의 긴장은 1996년 대만해협위기시의 긴장보다 못하지 않았고 9.11 테러사태 이후의 중-미 협력은 1997년과 199년 미중정상회담 후의 중-미 협력 관계로의 전환보다 더 극적인 반전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다른 측면에서 본다면 몇 년 전과는 전혀 다른 국제적 상황 하에서 일어
참고문헌
김명소. 중국의 신안전개념과 반패권의 대외정책 전략, 성균관대대학원. 2006
김재두. 「니국의 초강국 지위 존속 가능성 평가」, 한국국방연구원 연구보고서. 2005
김성한. 미국부시 행정부의 동아태 전략. 2001
김흥규. 최근 상해협력기구(SCO의 발전과 중·러 관계 전망, 외교안보연구원. 2006
동북아 전략균형 2003(2003). 서울: 한국전략문제연구소
서창호. “탈냉전이후 중국과 미국의 관계”, 『한국동북아논총』, 제33집. 2004
이태환. 중국의 안보전략-9.11 테러 이후를 중심으로-, 세종연구소. 2003
여인곤, 김국신, 강한구. 미-일 동맹 강화에 따른 동북아 정세 변화와 한국의 안보정책
대응전략. 2007
외교안보연구원. 중국의 부상과 동아시아 전략환경의 변화: 중국 아세아 관계발전 동향을
중심으로. 2004
정은숙. 상해협력기구(SCO)와 미국 상호인식과 관계전망, 세종연구소. 2008
중국 국방부. 중국 국방백서(Chinese National Defense). 2000
Akira Iriye, "Chinese-Japanese Relationship, 1945-1990," Christopher Howe, ed.,
China and Japan: History, Trends, and Prospects. Oxford:
The Clarendon Press. 1996
“Euro-Scepticism". The Economist, February 14, 2002
Hongying Wang. Multilateralism in Chinese Foreign Policy: The Limits of
Socialization, Asian Survey, Vol.40, No.3. 2000
hengji Huang. Can big powers still dominate the world today?, Guoji Zhanlue
Yanjiu(International Strategic Studies), No.1. 1996
John C. K. Daly. "The Caspian oil fix," The Christian Science Monitor, Feb. 8, 2001;
" Guzzling the Caspian," The Christian Science Monitor, September
27, 2002
Jianwei Wang. Managing Conflicts: Chinese Perspectives on Multilateral Diplomacy
and Collective Security, China Views the World. 1999
June Tuefel Dreyer, "Sino-Japanese Relations," Journal of Contemporary China, Vol.
10, No. 28. 2001
Michael J. Green and Benjamin I., Self, op. cit, pp.43-45; 김성철, op. cit,pp 114-117
"Japan;s Changing China Policy: From Commercial
Leveralism to Reluctannt Realism" Survival, Vol.
38, No.2. 1996
Weixing Hu. Beijing's New Thinking on Security Strategy, Journal of Contemporary
China, No.3. 1993
Zhengyuan Guo. Prospects for Security Cooperation in the Asia-Pacific Region,
Beijing Review, Vol.37, No.28. 1994
“러-중, 합동군사훈련 주변국 우려 불식에 역점,” 「연합뉴스」, 2005년 8월 13일자
“중 ․ 러 사상 첫 연합 군사 훈련이 남긴 것,” 「동아일보」, 2005년 8월 26일자
「해방군보」, 2005년 11월 7일자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국제정치] 미국의 제국주의적 행보가 국제사회에 끼치는 영향
  • 외교정책의 기조를 이으면서, 새로운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거대 국가의 생존은 국제기구가 보장해줄 수 없고 스스로 힘으로 해결해야한다는 현실주의를 바탕으로 힘의 과시로 세계를 제압하고 관리하자는 네오콘이 정부 세력의 중심부에 있는 것이다. 온건파와 대립하던 이들에게 9.11테러는 명분이자 기회가 되었다. 9.11 이후 세계는 테러와 반테러로 나뉘었고, 웨스트팔리아 체제 작동 원리 무시되는 상황이 나타났으며 안보 개념에 중대한 변화를

  • 이라크 파병 찬반론과 평가 및 의의
  • 외교안보‧경제‧국민생활‧대테러 전반에 걸쳐 대비책을 마련하였다.3월 20일, 이라크 전쟁이 발발하자 즉시 국가안전보장회의와 비상경제장관회의, 사회관계장관회의를 개최하여 정부 비상대책을 공표하고 종합상황실을 가동하였다.정부는 먼저 재외국민의 안전과 이라크 전쟁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면밀히 분석하여 상황 진전에 따라 조치를 취해 나가고 있다. 또한 만에 하나 발생할 지도 모르는 테러위협에 대비하여 국내외 테

  • 미국의 이민정책과 이민정책이 경제에 미친 효과와 다른나라에의 적용 효과 논의
  • 정책을 시행해왔고 현재도 반 이민적인 담론들이 강하게 부각되고 있다. 특히나 지난 9.11 테러 이후 반이민 정서는 더욱 악화되어 미국의 이민법은 점점 더 규제 위주의 정책이 되어가는 실정이다.그러나 이민은 세계경제통합의 핵심적인 요소이었으며 초기 미국의 경제 발전에도 상당 부분 공헌한 것으로 대부분 경제학자들이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미국의 상황에서 이민자들의 존재가 미국의 경제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 [전쟁] 9 11테러와 이라크전쟁
  • 테러 응징을 위한 긴급 지출 안 400억 달러(약 52조 원), 재난극복 연방 원조액 111억 달러(약 52조 원) 외에 각종 경제활동이나 재산상 피해를 더하면 화폐가치로 환산하기 어려울 정도이다.4) 9.11테러의 영향 (1) 세계질서의 변화 - 외교․정치․사회적 영향 테러 안보 질서의 확립9.11테러는 탈냉전 이후 전 세계적으로 만연했던 경제우선주의 및 세계화 지상주의를 퇴조시키고 국가안보의 중요성을 재인식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경제적 상호의존관계

  • 냉전 이후 일본의 국제관계
  • 외교관계 3. 일북외교관계Ⅲ. 1972년 - 1996년 : 일미동맹을 중심으로 중국, 북한과 교류시작1. 일미외교관계2. 일중외교관계 3. 일북외교관계Ⅳ 1996년 - 2001년 : 중국의 부상 및 일미 안보재정의1. 일미외교관계2. 일중외교관계3. 일북외교관계Ⅴ. 2001년 - 2006년 : 고이즈미 정권의 리더십1. 국내 상황1) 일본 통치 구조의 특징2) 고이즈미 정권 리더십의 특징2. 외교 정책1) 일미외교관계2) 일중외교관계3) 일북외교관계Ⅵ. 2006년 - 2011년 : 잦은 수상교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