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문제와 농민복지정책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0.06.30 / 2019.12.24
  • 27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2,1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농업문제의 현황과 원인
1) 소득관련문제
2) 의료 및 주거조건 관련 문제

2. 농민복지정책의 현황과 개선방향
1) 농민복지정책의 현황과 문제점




Ⅲ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e. ‘농가부채동결법’제정 필요 (전업농신문 2006-11-20)
상당수의 농가들이 빚 때문에 파산위기에 몰려있는 현실을 감안해 ‘농가부채동결법’ 제정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지난 13일 국회 제13차 본회의에서 경제분야 대정부 질문에 나선 한나라당 홍문표 의원(사진, 충남예산, 홍성)은 “정부의 농정정책 실패로 농가부채가 급증해 지난해 가구당 평균 2700만원을 넘어섰다. 특히 젊고 영농규모가 큰 농업경영인들의 부채는 2006년 현재 가구당 평균 1억4820만원에 달한다”라고 주장했다.
또한, “농협은 지난해 농민과 조합원 7155명에 대해 가압류, 가처분 등 강제집행으로 3500억원의 재산을 몰수 했다. 농림수산업자신용보증기금의 대위변제 금액도 9185억원에 이르고 있다”라고 밝히며 “상당수의 농가들이 빚 때문에 파산위기에 처해 있다. 따라서 연체․신용불량 농민들의 추가적인 부채 원리금 부담을 덜기 위해 ‘농가부채동결법’ 제정이 필요하다”라고 법 제정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실질적으로 농가부채는 1995년 916만원에서 2000년 2000만원을 넘어서면서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정부는 2001년과 2004년, 2006년에 농가부채를 해결코자 대규모의 부채대책을 시행한 바 있다. 그러나 일선 농민들에게는 임기응변식 땜빵대책이라는 지적이다. 기존의 부채대책에는 신용불량자와 연체 농민들이 법의 사각지대에 있기 때문이다. 현재 농협, 농촌신용보증재단의 강제집행과 법원 경매 이후에도 부채를 다 갚지 못해 정상적인 경제활동을 할 수 없는 농민이 50만명에 이르고 있다.

f. 농가부채 여전히 심각하다 (농민신문 2005-04-25)
통계청의 지난해 농가경제 조사 결과 전년도보다 농가소득은 7.9%, 농가부채는 1%가 늘었다고 한다. 소득증가율에 비해 부채증가율이 낮으니 일견 농가경제가 나아진 것이 아니냐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소득증가에도 불구하고 부채가 늘었다는 관점에서 보면 ‘나는 부채’를 ‘뛰는 소득’이 따라가지 못한 결과인 것이다.
더욱이 주목할 대목은 2002년 일시적으로 감소추세를 보였던 농가부채가 이듬해부터 다시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아직도 농가부채가 지난 10년 사이 3.4배나 급증한 연장선상에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농가부채 문제는 여전히 심각한 상태에 있는 것이다.
소득이 빚을 따라잡지 못하는 이유가 있다. 농업용 부채는 전년보다 2.8% 줄었으나 생활비 등 농업용 이외의 부채가 8.4% 늘었다는 조사 결과가 이를 설명해준다. 이는 수입개방의 타격으로 농산물값이 떨어져 농업인들의 농업투자는 줄어든 반면 물가상승으로 농가의 영농 및 생활유지비는 늘어난 데 따른 것이라 하겠다. 그러하니 기존 빚을 갚기 위해 또 다른 빚을 내고, 살아가기 위한 새로운 빚까지 가세하는 부채의 악순환에서 벗어날 도리가 없는 것이 농촌의 현실이다. 농가소득이 도시근로자 가구 소득의 80%에도 못미치는 도·농 소득격차는 여전할 수밖에 없다. 농가부채의 해법은 기왕의 빚 부담을 줄여주는 부채 경감대책과 더 이상 빚을 지지 않도록 하는 두가지 방법이 있다. 정부의 차질 없는 농가부채 경감대책 추진도 중요하지만, 부채에 자생력을 갖도록 농가소득을 높이는 것이 보다 근본적인 대책이라는 것은 새삼스럽게 말할 필요도 없다. 열쇠는 이를 위한 정부의 구체적인 방안 마련과 부채의 수렁에서 벗어나려는 농가 스스로의 의지와 노력 여하에 달려 있다

(4) 인구의 연령별 분포
농민 빈궁화의 또 다른 측면은 인구구조의 변화와 관련되어 있다. 생산활동이 가장 왕성한 청장년층 인구가 정체 혹은 감소하고, 영농 후계자가 될 연령층의 인구가 급격히 감소하는 반면, 노령인구의 비중이 눈에 띄게 커지는 현상이 그것이다. 이러한 상황이 지속된다면 노후생활에 대한 생산활동 연령층의 부양부담은 계속 증가할 수밖에 없고, 영농후계자의 감축으로 이러한 부담은 더욱 가중될 것이다.



연령
농가인구
남 (48%)
여 (52%)
전국

3,274,091
1,589,967
1,684,124

0 - 4세
65,352
34,461
30,891

5 - 9세
99,779
53,773
46,006

10 - 14세
142,615
77,570
65,046

15 - 19세
143,090
74,755
68,335

20 - 24세
104,046
51,434
52,612

25 - 29세
134,581
75,504
59,077

30 - 34세
102,958
60,044
42,914

35 - 39세
116,530
64,226
52,304

40 - 44세
154,702
74,790
79,913

45 - 49세
242,670
113,846
128,824

50 - 54세
283,346
131,049
152,297

55 - 59세
309,111
142,726
166,385

60 - 64세
323,611
156,590
167,020

65 - 69세
395,488
182,169
213,319

70 - 74세
337,844
162,212
175,631

75 - 79세
181,871
84,187
97,684

80세이상
136,498
50,631
85,867
단위:명

참고문헌
- 참고문헌
이호철. 1991. 『산업화와 농촌경제』. 서울: 한길사
최일섭․최성재. 1995.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서울: 나남출판


- 인터넷
국민연금관리공단 http://www.nps.or.kr/
대한민국정책포털 http://www.korea.or.kr/
통계청 http://www.nso.go.kr/


- 신문
강원일보 http://www.kwnews.co.kr/
농민신문 http://www.nongmin.com/
뉴시스 http://www.newsis.com/
연합뉴스 http://www.yonhapnews.co.kr/
전농업신문 http://www.palnews.co.kr/

- 신문출처
a.
http://www.nongmin.com/article/ar_detail.htm?ar_id=139278&key=&subMenu=dsearch
b.
http://www.asiae.co.kr/uhtml/read.jsp?idxno=273469§ion=S1N54§ion2=S2N235
c.
http://www.nongmin.com/article/ar_detail.htm?ar_id=108466&key=&subMenu=dsearch
d.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ec&sid1=102&sid2=257&oid=214&aid=0000074044
e.
http://www.palnews.co.kr/section/?fn=v&no=4398&cid=21010300&pg=1
f.
http://www.nongmin.com/article/ar_detail.htm?ar_id=110997&key=&subMenu=dsearch
g.
http://www.ffn.kr/detail.php?number=2697&thread=14r06
h.
http://www.nongmin.com/article/ar_detail.htm?ar_id=103702&key=&subMenu=dsearch
i.
http://www.nongmin.com/article/ar_detail.htm?ar_id=114053&key=&subMenu=dsearch
j.
http://www.nongmin.com/article/ar_detail.htm?ar_id=154527&key=&subMenu=dsearch
k.
http://www.nongmin.com/article/ar_detail.htm?ar_id=110974&key=&subMenu=dsearch
l.
http://www.kwnews.co.kr/view.asp?aid=208080500091&s=501
m.
http://www.nongmin.com/article/ar_detail.htm?ar_id=129992&key=&subMenu=dsearch
n.
http://www.nongmin.com/article/ar_detail.htm?ar_id=154524&key=&subMenu=dsearch
o.
http://www.nongmin.com/article/ar_detail.htm?ar_id=148009&key=&subMenu=dsearch
p.
http://www.nongmin.com/article/ar_detail.htm?ar_id=138397&key=주거환경&subMenu=dsearch
q.
http://www.nongmin.com/article/ar_detail.htm?ar_id=156301&subMenu=readcnt
r.
http://www.nongmin.com/article/ar_detail.htm?ar_id=126075&key=농촌%20주거환경&subMenu=dsearch

s.
http://www.nongmin.com/article/ar_detail.htm?ar_id=126075&key=농촌%20주거환경&subMenu=dsearch
t.
http://www.korea.kr/newsWeb/appmanager/portal/news2?_nfpb=true&portlet_categorynews2_2_actionOverride=%2Fpages%2Fbrief%2FcategoryNews2%2Fview&_windowLabel=portlet_categorynews2_2&portlet_categorynews2_2newsDataId=148651684&portlet_categorynews2_2category_id=p_mini_news&portlet_categorynews2_2currPage=&_pageLabel=policyinfo_page_03
u.
http://www.nongmin.com/article/ar_detail.htm?ar_id=132638&key=&subMenu=dsearch
v.
http://www.nongmin.com/article/ar_detail.htm?ar_id=132653&key=&subMenu=dsearch
w.
http://www.nongmin.com/article/ar_detail.htm?ar_id=151167&key=&subMenu=dsearch
x.
http://www.nongmin.com/article/ar_detail.htm?ar_id=146969&key=국민연금&subMenu=dsearch
y.
http://www.ktv.go.kr/ktv_contents.jsp?cid=272526
z.
http://www.palnews.co.kr/section/?fn=v&no=4151&cid=21010400&pg=1
A.
http://www.nongmin.com/article/ar_detail.htm?ar_id=152864&key=&subMenu=dsearch
B.
http://www.nongmin.com/article/ar_detail.htm?ar_id=145676&key=&subMenu=dsearch
C.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2237231
D.
http://www.korea.kr/newsWeb/appmanager/portal/news2?_nfpb=true&portlet_categorynews2_2_actionOverride=%2Fpages%2Fbrief%2FcategoryNews2%2Fview&_windowLabel=portlet_categorynews2_2&portlet_categorynews2_2newsDataId=148651239&portlet_categorynews2_2category_id=p_mini_news&portlet_categorynews2_2currPage=&_pageLabel=policyinfo_page_03
E.
http://www.palnews.co.kr/section/?fn=v&no=4115&cid=21040100&pg=1
F.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98&aid=0002009422


- 방송
한국정책방송 http://www.ktv.go.kr/
MBC http://www.imbc.com/
YTN http://www.ytn.co.kr/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한국 사회복지정책의 진단과 실태 및 문제점에 대한 올바른 방향 모색
  • 정책 등으로 인한 민중의 고통스러운 삶과 그로 인한 사회적 갈등의 만연은 우리의 문제를 개인적, 심리적 원인에서 인식하기 보다는 사회적, 국가적, 심지어 국제적 차원에서 인식해야 한다는 것을 깨닫게 했다.결국 근대화이론은 한국 사회에는 적용되기 힘든 서구 중심부 자본주의적이며 비역사적 미시적인 이론으로서 우리와는 거리가 먼 추상적인 모델일 뿐이다. 따라서 근대화이론이 함의(含意)하는 사회복지 정책, 즉 경제발전과 사회변화는 생

  • [사회복지정책론] 스웨덴의 사회정책
  • 정책 발달∙19세기: 유럽에서 가장 가난한 유럽의 주변국 중의 하나. 일찍이 유럽 대륙의 국가들이 산업혁명을 경험하여 빠르게 발전하고 있었지만, 북유럽의 스웨덴은 19세기말에 이르러서야 본격적인 산업화 과정을 겪음. 농촌인구의 폭발과 그에 따른 자영농민의 분해는 농촌의 빈곤화와 프롤레타리아트화를 촉진∙1870년: 농민들의 가난, 노동자들의 불결한 주택, 위생, 빈곤, 실업자와 걸인들의 문제 등 농업사회에서 나타나지 않았던 새로운 사

  • 스웨덴 주택정책 스웨덴 주거복지정책 주거복지정책 역사 주택 소유유형 및 주택
  • 복지정책의 역사1) 1940년 이전스웨덴은 원래 농업국가로 유럽에서는 외곽에 위치한 매우 가난한 국가였다. 스웨덴에서 본격적으로 산업화가 이루어진 것은 1870년대 이후이며, 산업화과정에서 농민층의 광범위한 붕괴가 있었다. 농민층 중 다수는 이민을 가기도 하였지만 도시로 유입됨에 따라 이들의 주택, 위생, 빈곤, 실업 등의 문제는 매우 심각한 양상을 나타냈다. 이 때 사회민주주의 경향을 가진 정치인들이 사회복지의 중요성을 제기하였으며, 1

  • [사회복지정책론] 사회복지정책이 등장하게 된 사회적, 시대적 배경에 대해 설명하시오
  • 복지정책에 대한 접근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사회복지정책이 등장하게 된 사회적, 시대적 배경을 빈민법 시대, 자선조직협회와 인보관운동 시대, 사회보험 시대, 복지국가 시대로 나누어 설명해 볼 수 있다. Ⅱ. 본 론1. 빈민법 시대① 빈민법 이전빈민법의 기원이 되는 것은 영국에서 빈곤문제를 다룬 1349년 에드워드 3세가 제정한 노동자 법에서 찾아볼 수 있다. 당시 봉건사회의 피지배층인 농민들 대부분은 낮은 농업 생산성으로 인해 만성적인

  • [사회복지정책론] 스웨덴 사회복지제도의 형성과정
  • 정책에 부분적인 수정을 가져오고 있기도 하다. 재정적자의 폭이 커지고 경제침체가 장기화함에 따라 복지 지출에 대한 엄격한 통제와 공공부문의 고용제한 등의 새로운 규제가 등장한 것이다. 그러나 사민당의 긴축정책은 사회복지에 대한 축소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복지를 위한 재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도입된 것으로 보아야한다. 현재 스웨덴 사회복지제도는 조정국면을 맞고 있으며, 이러한 과정을 어떻게 경험하고 이 결과들을 퉁하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