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개혁개방과 분파주의 -베트남, 중국과의 비교 분석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0.03.19 / 2019.12.24
  • 20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8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I. 문제 제기

2. 중국, 베트남의 개혁 개방과 지배 엘리트 내의 분파

1) 중국의 개혁 개방과 지배 엘리트 분파의 대립과 타협

2) 베트남의 도이머이(쇄신․renovation)와 개혁 분파

3. 김정일 체제의 지배 엘리트 통제방식

4. 도이머이와 북한의 개혁개방

5. 결론 - 북한의 개혁개방과 지배 엘리트 내의 분파

<참고문헌>

본문내용
2) 베트남의 도이머이(쇄신․renovation)와 개혁 분파

도이머이가 시작된 뒤 1990~97년까지의 10년간 베트남은 매년 평균 8%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세계에서 가장 빠른 성장 국가 중 하나가 됐다. 특히 농업생산은 2배로 늘어나 식량수입국에서 세계 제2위의 쌀 수출국과 제3위의 커피 생산국이 됐다. 빈곤률도 1992년 인구의 58%가 빈곤인구였지만, 1997년에는 37%로 감소되었다.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The Vietnam-U.S. Normalization Process," Updated November 28, 2003. p.10.


그러나 정치개혁은 여전히 불투명하고 평가하기 어렵다. 비록 국회가 예전보다 눈에 띠는 역할을 하고 있지만 의원 후보는 대부분 당원들로 사전에 주의깊게 선택된 사람들이다. 1992년 개정된 헌법에 따라 민주적 관행에 따른 권리가 보장됐지만 개인의 행동이 해당 행위가 될 때는 언제든 개인의 권리는 묵살될 수 있다. 2006년 6월 10차 당 대회 이후 베트남에서는 정치개혁의 진전 가능성이 전망되지만, 여전히 불확실성이 엄존하고 있다. Sophie Quinn-Judge. “Vietnam's Bumpy Road to Reform,” 『Current History』 Philadelphia: Sep 2006. Vol. 105, Iss. 692; p.284,


베트남의 개혁 주체는 중국의 덩샤오핑과 같은 구심적 인물이 없는 집단지도체제 성격이 더욱 강했다. 호치민 이후 베트남의 지도체제는 집단지도체제 원칙에 따라 여러 분파가 경쟁하는 체제를 유지해왔다. 이런 분파주의는 강경파와 온건파, 친중국파와 친소련파, 남부인과 북부인 간의 분립으로 나타났다. 보수파는 당 이데올로그, 보안기구와 군, 국영기업 지배인들로, 개혁파는 테크노크라트와 당 원로 등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베트남의 개혁은 사회주의 체제의 붕괴에 따른 빅뱅식 개혁이 진행된 동구 모델과 큰 차이를 보이며, 중국식 개혁 모델에 따라 정치보다는 경제 개혁에 중점을 두면서 단계적이고 점진적인 이행전략을 추진해 왔지만 중국이 걸어왔던 점진주의의 길과도 차이를 보인다. 베트남의 개혁 과정은 지도부 내 보수파와 개혁파의 끊임없는 긴장의 산물이기도 했다. 개혁의 속도와 범위에 관해 점진보수파와 급진개혁파는 이견을 보였다.

일례로 소유권 개혁 분야에서 이데올로기적 다툼은 더 이상 사적부문이 허용돼야 하느냐의 여부가 아니라 과연 사적부문이 국가부문보다 더 발전해야 하느냐는 것이었다. 그러나 힘의 균형은 당시 의사결정과정을 지배하던 군과 보안기구와 연합한 보수파에 기울어져 있었고 특히 정치개혁 분야에서는 보수파의 입김이 강했다. 그렇지만 한편으로 개혁파는 체제안보와 안정이 위협받지 않고 근본원칙이나 정책노선에 위반되지 않는 한 경제개혁에서 보다 분명한 역할을 하는 권한이 주어졌다. 도이머이의 전 과정은 이런 긴장과 권력관계에 따라 형성 결정됐다. 보수파의 강력한 저항에 개혁파는 조심스럽게 타협안을 모색했다. 개혁의 방향과 범위, 속도, 깊이를 둘러싼 불일치는 많은 구조적 문제 해결을 지지부진하게 만들었다. 그 결과는 문제점과 도전에 대한 점진적, 부분적, 단계적 대응이었다. Sujian Guo, 앞의 글. pp.398-400.


경제를 둘러싼 논쟁은 노동당(1976년까지 공산당의 전신) 시절인 1960년대 혼합경제와 순수공산주의경제의 상대적 장점에 관한 내부 논쟁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호치민(Ho Chi Minh)과 레 주안(Le Duan), 보응엔지압(Vo Nguyen Giap) 등 온건파는 통일 전쟁이 계속되는 한 경제적 변화는 천천히 추진할 것을 선호했다. 그들은 정부와 군대에서 지식인과 중산계급 출신을 숙청하는 문제 등 계급투쟁에 대해서도 보다 온건한 태도를 취했다. Sophie Quinn-Judge. 앞의 글. p.285,


사회경제적 발전에 관한 정책 논쟁은 경제적 고난의 시기인 1979-80년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응엔 두이 찐(Nguyen Duy Trinh)은 보수적 입장에서 시장에 의존하는 범위는 계획에 따르는 필요에 의해 한정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응엔 람(Nguyen Lam)은 보다 급진적 시장 우선의 입장에서 모든 계획에 반대하며 시장을 선호했다. 장기간의 전쟁으로 경제가 완
참고문헌
Sophie Quinn-Judge. “Vietnam's Bumpy Road to Reform,”『Current History』, Philadelphia: Sep 2006. Vol. 105, Iss. 692.
Sujian Guo, "Economic Transition in China and Vietnam: A Comparative Perspective,"『Asian Profile』 October 2004, Vol. 32, No. 5.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The Vietnam-U.S. Normalization Process,"Updated November 28, 2003.
Martin Gainsborough. “Corruption and the politics of enconomic decentralisation in Vietnam”『Journal of Contemporary Asia』 Manila: 2003. Vol. 33, Iss. 1.
Jorn Dosch, "Vietnam's ASEAN Membership Revisited: Golden Opportunity or Golden Cage?"『Contemporary Southeast Asia』 Vol. 28, No. 2 (2006)
Kenneth E. Gause, "The North Korean Leadership: System Dynamics and Fault Lines,"『North Korean Policy Elites』 (Washington: IDA Paper P-3903, June 2004)
Xia, Yafeng, “China's Elite Politics and Sino-American Rapprochement, January 1969-February 1972” 『Journal of Cold War Studies』 Vol. 8, No. 4, Fall 2006.
Robert D. Kaplan, "When North Korea Falls," 『The Atlantic Monthly』October 2006.
브루스 커밍스, 김정일 코드, 따뜻한 손, 2005.
샐리그 해리슨, 코리안 엔드 게임, 삼인, 2003.
고려대학교 편,『7.1조치와 북한』, 높이깊이, 2005.
서재진 외,『사회주의 지배엘리트와 체제변화』, 생각의 나무, 1998.
김석진,『베트남의 사례를 통해 본 북한의 대외무역 정상화 전망』, 산업연구원, 2007.
조명철 외,『7.1경제관리개선조치 현황평가와 과제: 북한 경제개혁의 전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박사명, 동남아 정치변동의 동학(동아시아연구단 총서1), 오름, 2004.
현성일, 『북한의 국가전략과 파워엘리트: 간부정책을 중심으로』, 도서출판 선인, 2007.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편, 『북한 현대사 1』, 한울아카데미, 2004.
정창현, 『CEO of DPRK 김정일』, 중앙books, 2007.
최진욱, 『현대북한행정론』, 인간사랑, 2000.
이대근, 『북한 군부는 왜 쿠데타를 하지 않나』, 한울아카데미, 2003.
박형중,『북한의 개혁․개방과 체제변화』, 도서출판 해남, 2004.
권율, “북한이 베트남에 의지하는 까닭은?”,『시사IN』 11호, 2007년 11월 26일자.
황일도, “전 북한 핵심 관료 육필수기 3탄 ‘프룬제 아카데미아 사건’과 ‘6군단 사건’” 『신동아』, 2006년 3월호
한겨레신문, “김정일 국방위원장-언론방북단 대화록”, 2000년 8월 13일일자.
연합뉴스, “權부총리 ‘군부 반대 해주특구 김 위원장이 결단’”, 2007년 10월 5일자.
연합뉴스 “김정일 “베트남 도이머이 정책 배우겠다”<아주주간>”, 2007년 10월 28일자.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해외지역연구] 일본에 대해서
  • 중국인은 ‘납득할 만한 일본의 사죄’를 꼽았다. 특히 일제강점기 또는 중일전쟁을 직접 겪은 한국과 중국의 60대 이상에서는 절반 이상이‘일본의 사죄’를 최우선으로 꼽았다. 반면 일본인은‘폭넓은 교류’(29%)와‘대일(對日) 의식 개선’(23%)을 더 중요시했고 일본의 60대 이상은 10.6%만 ‘사죄’를 꼽았다. 그리고 이런 과거사문제가 최근엔 독도분쟁으로 치달으면서 최근 문화개방과 교류로 인해 우호적인 분위기가 형성되었던 한일관계가 매우

  • 조사설계실습 질적 연구방법론에 따른 연구계획서
  • 비교,” 『통일문제연구』, 통권 제46호, 2006, 임을출, “북한 경제특구 법제의 변화와 발전조건,” 『통일문제연구』, 통권 제48호, 2007. 경제특구를 포함한 경제법제와 거시경제정책을 중국, 베트남의 사례와 비교한 연구로는 이정철, “북한의 경제법제와 거시경제정책의 이중성: 중국과 베트남 경제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연구』, 제19집 제1호, 2010. 중국의 경제의 개혁・개방 모델을 분석하고 북한 정치경제 체제의 변화에 대한 시사점

  • 중국 위안화의 긴축통화추진과 시사점
  • 중국에 미치는 영향기축통화로서의 지위는 자본, 환율, 독립 통화정책을 동시에 충족할 수 없는 화폐당국의 3원 체제 불가능성(impossible trinity)을 일정 부문해소 할 듯 보인다. 이는 미국 경제학자 폴 크루그먼(Paul Krugman)이 개방경제하의 정책 선택 문제에 대해 언급한 내용으로 본국 화폐의 독립성, 환율의 안정성, 자본 유동성이 동시에 실현될 수 없을 경우 최대 2개의 목표를 충족시키고 1개의 목표는 포기해야 한다는 의미이다.위안화 기축통화를 실

  • [행정] [행정] 사회변동 - 통일정책
  • 북한은 낙후된 경제를 회복하기 위해 어느 정도의 경제개방과 개혁은 가능할 것이다. 이때 북한의 입장에서 북한체제가 붕괴하지 않으려면 경제개방의 속도나 범위만큼 정치를 역으로 폐쇄시켜야만 할 것이다. 만약 북한이 경제개방과 동시에 정치를 같은 속도나 범위로 개방하게 되면 소련이나 동구의 공산정권 멸망 때와 똑같이 국민적 저항에 부딪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북한은 남북관계때마다 치고 빠지는 식의 회담에 임해 왔

  • [정치와 사회] 북한 체제의 특징 및 전망
  • 북한의 “체제 유지” 선택 # 외재적 관점소련 및 동유럽 사회주의권 해체중국, 베트남 등의 개혁 개방북한의“체제 전환의 필요성” 강조다른 사회주의국가의 변화 대응상황사회주의 국가의 체제전환 사례 러시아의 체제 전환북한과의 비교북한 체제 변화 전망 중국의 체제 전환쿠바의 체제 전환2X2 시나리오시나리오 별 예상 상황수립 가능한 권력 형태북한의 체제 전망(1) 러시아형 체제전환초기 조건 1.정치, 사회적 격변 : 1991년 공산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