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노인에게 전산화 인지프로그램(Rehacom)이 수단적 일상생활 능력에 미치는 영향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0.01.14 / 2019.12.24
  • 11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4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대상자

2. 연구 과정

3. 측정 도구
1)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K)

2) 전산화 신경인지기능 검사(CNT)

3) 한국판 치매 평가 검사(K-DRS)

4) 비디오 분석

4. 자료 분석

Ⅲ.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Ⅱ. 연구방법

1. 대상자

본 연구의 대상자 선정 기준은 대전 동구 소재에 있는 P 요양병원에 재원중인 65세 이상의 노인으로 의학적으로 치매진단을 받고 MMSE-K(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Korean) 측정 점수 18점 이상 24점 이하인 자로써 지시 및 이해가 가능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자를 표집 하였다. 전체 대상자 72명 중 MMSE-K 18점 이하 24명, 24점 이상 6명을 제외한 42명이 사전 평가 대상자였다. 후에 중재 대상자는 치료 거부가 12명, 퇴원이 6명, 건강 악화로 인한 진행 불가로 4명이 탈락하여 20명의 대상자로 실시되었다. 마지막, 사후 평가까지 마친 대상자는 치료 거부 3명, 퇴원 4명, 건강 악화로 인한 진행 불가로 5명이 추가 탈락하여 총 8명의 대상자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2. 연구 과정

본 연구는 단일집단 검사 전-검사 후 설계(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을 통하여 치료 전과 후의 K-DRS, CNT, 비디오 분석의 차이를 알아보았고, 신뢰도 분석방법을 통하여 비디오 분석에 대한 연구자간 신뢰도를 알아보았다.
2008년 7월 22일부터 10월 2일까지 약 2개월간 진행되었다. 대상자 선정을 위해 MMSE-K를 실시하였으며, 치매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K-DRS(Korean-Dementia Rating scale)를 실시하였다. 주의집중력과 기억력의 향상을 알아보기 위한 사전-사후 평가로 CNT(Computerize Neurocognitive Test)를 사용하였고,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중 전화걸기의 수행을 보기 위한 방법으로 비디오 촬영을 진행하였다.
치료(중재)프로그램으로 전산화 인지프로그램(Rehacom)을 실시하였는데 20여 개의 훈련 항목에서 다음과 같은 영역을 사용하였다.
주의집중력 훈련을 위해 '주의력 및 집중력(attention)' 항목은 우측에 제시된 그림과 같은 그림을 찾아내는 것으로서, 단계가 높아질수록 그림의 수와 난이도가 조정된다. 24단계로 나뉘어져 있고, 상위 단계일수록 세밀한 차이점을 구별해 낼 수 있어야 한다. 기억력 훈련을 위해 '위치 기억력(topological memory)' 항목을 사용했는데, 이는 그림을 보여준 다음 피검자가 외우도록 한 후 우측에 제시된 그림을 찾아내는 것이다. 난이도에 따라 12단계까지 조정된다. 회기 당 20분씩 주 2회로 4주간 총 8회를 적용하였다.

3. 측정 도구

1)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K)
본 연구 대상자 선정을 위해 사용된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는 권용철과 박종한(1989)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지남력 10점, 기억등록 3점, 기억회상 3점, 주의집중 및 계산 5점, 언어기능 7점, 이해 및 판단 2점으로 총 30점이며 평가도구의 신뢰도는 .86이다.

2) 전산화 신경인지기능 검사(CNT)
2004년에 개발한 CNT4.0(Maxmedica, 한국)은 총 11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는 주의집중력 평가로 visual CPT와 기억력 평가로 visual span forward, backward를 사용하였다.
visual CPT는 화면에 0부터 9까지의 숫자가 일정 패턴에 따라 깜빡이며, 이때 “3”이라는 숫자가 깜빡일 때, 반응키 (Response Panel의 사각형 버튼)를 누르며 총 9분간 실시한다. CPT의 검사-재검사간 신뢰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고, pearson 상관계수 r=.38~.83(p<.05)로써 높은 편이다.
visual span은 정방향(forward)으로 3개의 원부터 8개의 원까지 각각 3개의 세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역방향(backward)으로 2개의 원부터 7개의 원까지 각각 3개의 세트로 구성되어 있다. 1초마다 하나의 원이 깜박이며, 각각의 원이 다 깜박이고 나면 "땡" 소리와 함께
참고문헌
권용철, 박종한. (1989). Mini-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MMSE-K)의 표준화 연구 제 1편: MMSE-K의 개발. 신경정신의학, 28(1), 125-135.
김정순. (1997).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한 인지 자극 훈련의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8(2), 197-201.
김향숙. (2000). 치매노인의 보호관리에 나타난 가족 갈등과 사회적 서비스 개선.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서울.
김치영. (2006). 노인의료복지시설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수행능력.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서울.
배상수. (1999). 치매관리 모형개발-광명시 경우. 보건행정학회지, 9(1), 30-72.
백지영, 이병희. (2002). 컴퓨터-보조프로그램의 특수접근과 수직적 접근이 뇌손상환자의 인지기능과 기능회복에 미치는 효과.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0(1), 43-54.
오병훈, 김영기, 김지혜, 신윤식. (2003). 인지재활훈련이 노인성 치매 환자의 인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 신경정신의학, 42(4), 514-519.
정원미. (2007). 경증치매환자의 인지기능 증진을 위한 집단작업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1(1), 46-55.
정원미, 이향숙, 백현희, 장문영. (2004). 우리나라 노인 작업치료의 발전 방향.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2(1), 83-95.
최진영, 이소애. (1997). 한국판 치매평가검사 (K-DRS)의 규준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16(2), 423-433.
통계청. (2005, 1). 장래인구특별추계. 2008년 9월 30일 출력, http://www.nso.go.kr.
통계청. (2006, 11). 장래인구추계. 2008년 9월 30일 출력, http://www.nso.go.kr.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8). 치매노인 실태조사 및 관리 대책.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태륜, 김진호, 성덕현, 전민호. (1992). 뇌졸중 환자에 있어서 Mini-mental state examination과 기능적 회복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대한재활의학회지, 16(2), 118-122.
Caltagirone, C., Perri, R., Carlesimo, G. A., & Fadda, L. (2001). Early detection and diagnosis of dementia.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Supplement, 7(9), 67-75.
Chen, S. H. A., Thomas, J. D., Glauf, R. L., & Bracy, O. L. (1997). The effectiveness of computer-assisted cognitive rehabilitation of person with traumatic brain injury. Brain injury, 11(3), 197-209.
Felicia, C.G., Dale, C.S., John, L.W. & Vicki, J.r. (1997). Functional outcome of cognitively impaired hip fracture patients on a geriatric rehabilitation unit.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45(1), 35-42.
Flostein, M., Stern, Y., Albert, S. M., Sano, M., Richards, M., Miller, L., et al. (1994). Assessing patient dependence in Alzheimer's disease. Journal of Gerontology, 49(5), 216-222.
Glisky, E. L. (1997). Rehabilitation of memory dysfunction. In: T. E. Feinberg & M. J. Farsh (Eds.), Behavioral Neurology and Neuropsychology. 1st, pp. 491-495. New York: McGraw-Hill.
Kashima, H., Kato, M., Yoshimasu, H & Muramatsu, T. (1999). Current trends in cognitive rehabilitation for memory disorders. The Keio Journal of Medicine, 48(2), 79-86.
Hill, R. D., Backmann, L., & Fratiglioni, L. (1995). Determinants of functional abilities in dementia. Journal of American Geriatric Sociology, 43(10), 1092-1097.
Holm, A., Michel, M., Stern, G. A., Hung, T. M., Klrin, T., Flasherty, L., et al. (1999). The outcomes of an inpatient treatment program for geriatric patients with dementia and dysfunctional behaviors. Gerontologist, 39(6), 668-676.
Jeong Won Mee. (2002). 老人醫療制度, 老人作業治療 構ゥ築. 日本作業治療士協會誌. 21(103).
Mitchell, D. B. (1988). Memory and language deficits in Alzheimer's disease. In R. L. Dippel & J. T. Huntton (Eds.), Caring for the Alzheimer Patient. Burralo, New York : Prometheus.
MacNeill, S. E., Lichtenberg, P. A. (1997). Home alone: The role of cognition in return to independent living.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78(7), 755-758.
Patric, L., Leber, M. & Jonhson, S. (1996). Aspects of cognitive status as predictors of mobility following geriatric rehabilitation. Aging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8(5), 328-333.
Sahadeven, S., Lim, P. P. & Choo, P. W. (1999). Dementia in the hospitalized elderly-a study of 100 consecutive cases in Singapore.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14(4), 266-271.
Seidel, G. K., Millis, S. R., Lichterberg, P. A. & Dijkers, M. (1994). Predicting bowel and bladder continence from cognitive status in geriatric rehabilitation patients. Archieves of Physical Medicine Rehabilitation, 75(5), 590-593.
Siev, E., Freishtat, B., & Zoitan, B. (1986). Perceptual and cognition dysfunction in the adult stroke patient : A manual for evaluation and treatment. New Jersey: Slack. Inc.
Teri, L., Rabins, P., Whitehouse, P., Burg, L., Reisberg, B., Sunderland, T., et al. (1992). Management of behavior disturbance in Alzheimer's disease: current knowledge and future directions. Alzheimer Disease and Association Disorders, 6(2), 77-88.
Zoltan, B. (1996). Vision, Perception, and Cognition. 3rd ed. New Jersey: Slack. Inc.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치매서비스의 관한 정책과 과제
  • 이러한 어려움은 자칫 노인의 안녕감에도 부정적으로 영향을 줄 소지가 크다. (이윤로, 1995; 이성희, 권중돈, 1993; George & Gwyther, 1986; Pruchno & Resch, 1989). 대부분의 치매노인의 가족들은 이러한 스트레스를 잘 참아내고 있지만, 치매노인을 장기간 보살피는 과정에서 누적된 스트레스로 인해 흔히 부양을 지속할 능력을 상실하며 노인에게도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를 가져오기도 한다. 이런 보호자들의 스트레스를 낮추어 주고 지속적으로 노인을 보호부양하

  • 노인의 안전을 위협하는 요인
  • 영향을 주어 일상생활(수행 능력)에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또한 시각기능에 있어 시각의 정확성 감소, 색의 식별 능력 감소, 외측과 상부 시야의 시각 능력 감소, 색채지각을 못 하는 현상, 눈부심 현상, 거리조절 능력의 감소, 원시, 굴절 이상, 난시(각막 이상), 암순응 능력의 약화, 야맹증 등 낙상의 주원인이 되며 사고 및 상해 위험성을 증가시킨다.2. 청력청력은 시력 감퇴보다 먼저 발생하며 특히 고음을 듣기 어렵다. 따라서 노인들은 자동차의 경

  • [가족복지론] 치매노인가족
  • 치매노인과 치매노인가족의 특성, 문제점, 이러한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는 사례, 현재의 서비스 현황에 대해 알아보고 이들을 위한 사회복지사의 개입방법과 사회복지대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Ⅱ. 본론 1. 치매노인과 치매노인가족의 특성(1) 치매노인노인의 치매란 원인이 무엇이든 간에 전반적인 정신활동이 저하된 상태로써 특별히 지적능력이 저하된 상태를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혼자서는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없는 지적 쇠퇴가 인정될 경

  • [가족복지] 치매 노인 가족 제도적 개입 방법
  • 치매노인의 증가와 이들에 대한 부양 및 보호부담은 사회적 문제를 야기할 뿐 아니라 가족구성원들의 부양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치매란 황폐화 된 정신상태(Deteriorated Mentality)라는 영어의 줄임 용어로서 용어 그대로 정서, 기억, 사고, 인지능력 등이 저하 되면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증상들을 총칭하는 용어로 인식되고 있다. 치매란 노인의 신체적 및 정신적인 질환의 일종으로 자립능력이 결여되어 타인의 보호 없이는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없는

  •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노인 우울 영향 요인
  •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1. 문제제기 현대사회는 의ㆍ과학 기술의 발달로 인간의 건강을 증진시켜줌은 물론 평균수명도 연장시켜주는 시대로 우리나라 노인인구는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빠른 속도에 사회적대책을 마련하지 못하여 여러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그 중 가장 큰 문제점으로 노인의 자살이다. 노인의 자살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의 30개 회원국 중 가장 높다. 전체 자살 중에서 65세 이상 노인이 차지하는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최근 판매 자료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