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대 전기문학 보고서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5.06.27 / 2015.06.27
  • 6페이지 / fileicon doc (MS워드 2003이하)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8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본문내용
중국의 문언단편소설은 한위육조(漢魏六朝)의 지괴(志怪), 지인(志人)의 초보단계를 거쳐 당대에 이르기까지 형식과 내용을 갖춘 소설로 발전하게 되었다.
소설도 시와 마찬가지로 당대에 이르러 일변하였다. 비록 아직도 숨겨진 기이한 이야기를 찾아 기록하는 수준을 벗어나지는 못하였다 하더라도 그러나 서술이 완곡하고 문사가 아름다워 육조의 조잡하고 줄거리뿐인 것에 비한다면 진보한 흔적이 매우 뚜렷하다. 그리고 특히 두드러진 사실은 곧 이 때에 비로소 의식적으로 소설을 썼다는 점이다.
육조소설은 단선적 구조의 잔총소어(殘叢小語)식의 잡기(雜記)로서, 지금의 소설관념으로 보면 소설에 해당되지 않는다. 당대에 와서야 단편소설의 규모를 갖추게 되었다. 형식에서는 구성을 중시하게 되었고, 인물 묘사에서는 개성을 강조했으며, 내용에서는 육조 지괴에서 벗어나 인간사회의 여러 소재를 다루게 되었다. 그래서 중국소설은 당대에서부터 소설의 생명을 지니게 되었으며, 소설의 지위 또한 격상되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작자의 창작 태도의 발전이었다. 문인들은 비로소 의식적으로 소설창작을 하게 되었다.
더 이상 소설의 제재가 사실을 기록하는 것에 머무르지 않고 작자의 상상에 의하여 묘사하였다는 이야기이다. 문학을 정의함에 있어 인간의 상상력을 바탕으로 한 허구성을 문학예술이라고 규정한다면 당대 전기소설을 소설의 출범이라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보통 당대 문언 단편소설을 전기(傳奇)라고 칭한다.
전기의 명칭은 당대 배형(裴 )의 소설집 {전기(傳奇)}에서 시작되었다. 당대에는 사람들이 온권(溫卷)을 만들어서 자신의 문장 실력을 과시하여 상사의 비위를 맞추어 출세의 수단으로 삼았다. 배형이라는 사람도 {전기}라는 이름의 3권의 온권을 지어 절도사 고병(高騈)에게 환심을 사고자 했다. 고병이 신선(神仙)을 좋아하는 것을 이용해서 이문기담(異聞奇談)으로 유혹하였는데, 이 문체가 그 당시의 당대 소설 문장을 대표할 수 있었기 때문에 나중에는 전기라는 명칭이 당대소설 전체를 지칭하는 명사로 바뀌어졌다. 후세에 와서는 당대소설 뿐만 아니라 송대에는 제궁조(諸宮調), 원대에는 잡극(雜劇), 명대에는 희곡을 전기라고 부르게 되어 혼동을 가져왔다. 전기라는 명칭이 시대에 따라서 소설과 희곡으로 각각 다르게 작용하기는 했으나, 당대소설이 희곡에 끼친 영향을 고려한다면 전기라는 명칭도 일맥 상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첫째, 경제적, 정치적인 영향을 들 수가 있다. 당대에는 균전제(均田制)가 시행되면서 농업이 발달되었고, 또한 수륙(水陸)교통이 발달하여 국제 무역이 성행하면서 상업의 번영을 이루었다. 이러한 사회 환경의 변화는 사람들의 생활 범위를 넓혀주고 다양하게 하였다. 이것은 곧 당대 소설가들의 시야를 넓혀주면서 풍부한 소재를 제공해 주어서 육조소설의 단순한 범위를 벗어나 풍부하고 복잡한 현실생활을 표현하게 하였다. 또한 당대 정치사회의 암흑과 통치계급의 내부투쟁은 전기소설 창작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특히 안록산(安祿山)의 난 이후에 점차로 사회가 어지러워지고 군웅이 도처에서 할거하기에 이르렀는데 이와같이 어지러운 당시 사회풍기는 당대소설가들에게 창작동기를 부여하였다.
둘째, 고문(古文)운동의 영향을 들 수 있겠다. 당대의 고문운동은 육조시대의 변문(騈文)을 배척하고 산문의 발달을 가져왔다. 그래서 고문가들은 산문창작에 정진하여 좋은 작품을 많이 남겼다. 그 중에 한유와 유종원의 산문은 문학작품으로 훌륭한 경지를 이루었다. 또한 당대 전기소설도 이 고문운동의 많은 영향을 받았다. 전기소설은 대종대력(代宗大曆)에서 의종 함통(懿宗 咸通)사이의 약 100년 동안 성행하였다. 그런데 이 시기 또한 고문운동이 활발하게 진행되었던 시기이다.당시 고문운동가들은 고문을 가지고 성인의 도를 선전했으나 소설가들은 고문을 가지고 성인의 도가 아닌 이문기담(異聞奇談)의 전기소설을 지었으니 재미있는 일이다.
대력(大曆) 함통(咸通) 연간에 고문운동이 가장 왕성하게 발전하였는데 이때 변문은 거의 소멸지경이었다. 변문은 형식을 중시하였기 때문에 운율과 댓구 등에 신경을 쓰면서 풍부한 내용의 소설을 창작하기에는 부적합한 문체였다. 그러므로 고문운동의 문체 해방은 소설가들에게 자기의 경험 세계를 자유롭게 묘사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 주었으며, 당대 전기소설이 성숙할 수 있었던 데는 고문운동의 뒷받침이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육조시대에는 변문(騈文)이 성행했지만 지괴소설(志怪小說)에서도 변문(騈文)보다는 산문체(散文體)의 문장을 쓰고 있다. 즉 당대 이전에도 산문체(散文體)의 문장으로 지괴소설(志怪小說)을 창작했으므로 문체방면(文體方面)에서는 고문운동과의 관계가 무색해진다. 그러나 완전하게 관계가 없다고 말할 수도 없을 것이다. 위의 두가지 점에서 살펴보면 당대전기소설과 고문운동과의 관계는서로 상호 보완의 관계가 있지 않았나 생각된다. 즉 당대전기의 발전에 직접적이고 강한 영향을 주지는 못했지만 당대전기소설이 발전할 수 있는 추진력을 제공했다고 할 수 있겠다.
셋째, 인도문학(印度文學)과 불교의 영향을 들 수 있겠다. 중국에서 불교는 육조시대에 이미 성행하여 수백권에 달하는 불경이 번역되었다. 당대에 이르러서는 불교가 더욱 성행하여 삼장법사(三藏法師) 현장(玄 ) 등이 인도를 다녀오면서 많은 불경을 가져와서 이것을 번역하였다. 인도문학은 불경이 중국에 들어오는 과정 중에서 자연스럽게 수입되어 풍부한 소설의 제재를 제공하면서 전기소설에 영향을 주었다. 인도민족은 상상력이 풍부하기 때문에 불교사상이나 인도문학에 이런 요소가 함유되어 있는데, 이러한 사상과 문학이 중국에 유입되어 전기소설의 제재를 더욱 풍부하게 하였다. 위진남북조 지괴소설에도 불교의 제재가 나타나 있기는 했다. 그러나 당대 전기에는 불교사상이나 용어가 출현했을 뿐만 아니라 심지어 불경의 내용을 살짝 바꾸어서 전기소설로 창작하기도 했다. 예를 들면 이복언(李復言)의 {속현괴록(續玄怪錄)}에 들어 있는 <두자춘전(杜子春傳)>은 바로 불경고사의 복제품이다. 불교의 영향을 받아 창작된 작품에는 <침중기(枕中記)> <보강총백원전(補江總白猿傳)> <남가태수전(南柯太守傳)> <유의전(柳毅傳)> 등이 있다.
넷째, 당시 과거제도에 온권(溫卷)이 유행하여서 문인들로 하여금 다투어 전기소설을 쓰게 하였다. 당대 과거제도 중에 진사과(進士科)는 입신출세의 좋은 수단이 되어 많은 문인들이 진사과를 통해 등용될 수 있었다. 실제로 당대의 재상 중에 상당수가 진사과 출신이었다는 점을 미루어 볼 때 문인들에게 선망의 대상이었다. 선망의 대상을 지나쳐서 격렬한 경쟁을 야기시켰으며 이때 자신을 돋보이기 위해 고시관을 찾아가 자신의 성명과 학문의 뛰어남을 인식시킬 필요성이 있었으며 이러한 사회적 배경아래 온권의 풍조가 크게 일어났다. 과거시험 전에 온권을 만들어 자신의 문장실력을 과시하며 고시관의 비위를 맞추게 되었다. 원래 온권은 시를 위주로 했었으나 후에 소설을 짓기 시작했으며 이와 같이 전기소설이 출세의 도구로 되어버린 것이 전기소설발전에 많은 영향을 끼쳤을 것이다. 허요좌(許堯佐), 이공좌(李公佐) 백행간(百行簡) 우승유(牛僧儒) 심아지(沈亞之) 등이 진사과 출신이며 과거를 통해 등제(登第)한 사람이 많은 것은 과거제도와 전기소설의 관계가 밀접함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앞에서 말한 여러 요인들에 의해 당대소설은 발전하게 되었다. 지금까지 전해지는 당대전기소설은 작품수가 엄청나게 많다. 대부분이 송(宋)나라 이방(李昉) 등이 편집한 {태평광기(太平廣記)} 안에는 방대한 양의 당대전기가 실려있다. 그러나 많은 작품 가운데 당대소설로서 손색이 없는 작품은 몇 편 안된다. 노신의 {당송전기집(唐宋傳奇集)}에는 41편이 수록되어 있고, 왕벽강(汪僻疆)의 {당인소설(唐人小說)}에는 68편이 실려 있다. 가장 많은 사람들이 보는 책은 왕벽강의 {당인소설}이다.
(1)초당 성당시기 이 시기는 육조 지괴에서 당대 전기로 옮아가는 과도시기이다. 작품수는 많지 않고 아직도 육조의 여풍(餘風)이 남아 있다. 이 시기의 전기소설로는 왕도(王度)의 <고경기(古鏡記)>, 무명씨의 <보강총백원전(補江總白猿傳)>, 장작(張 )의 <유선굴(游仙窟)> 3편이 있다.
(2) 중당시기 이 시기는 당대전기 소설이 번영을 이루었던 황금시기이다. 많은 작가를 배출했고 유명한 전기소설이 대부분 이 시기에 나왔다. 이 시기 작품들의 내용상 특질은 초당 성당 시기의 육조 여풍에서 벗어나 현실 사회생활을 반영하는 내용이 위주로 되어 있다. 예술적 성취로는 상상이 풍부하고 구성의 짜임이 정교하며 인물묘사에 있어서도 개성적인 표현으로 생동감이 있으며, 이야기의 흐름도 곡진(曲盡)함이 있어 사람을 충분히 감동시킬 수 있다. 이 시기의 작품들은 실로 당대 전기소설의 우수한 특질을 내포하고 있는 작품들이다. 이 시기 작품으로는 심기제(沈旣濟)의 <침중기(枕中記)>, 이공좌(李公佐)의 <남가태수전(南柯太守傳)>, 장방(蔣防)의 <곽소옥전( 小玉傳)>, 백행간(白行簡)의 <이와전(李娃傳)>, 원진(元 )의 <앵앵전(鶯鶯傳)>, 심기제의 <임씨전(任氏傳)>, 이조위(李朝威)의 <유의전(柳毅傳)>, 허요좌(許堯佐)의 <유씨전(柳氏傳)>, 진현우(陳玄佑)의 <이혼기(離魂記)>, 이경량(李景亮)의 <이장무전(李章武傳)> 등이 있다.
(3) 만당시기 당대 전기소설은 만당에 이르러 차츰 쇠퇴시기로 접어 들었다. 전기 작품 수는 많이 증가되었으며 전기전집(傳奇專集)이 출현하였다. 주요한 전기전집은 다음과 같다. 우승유(牛僧孺)의 {현괴록(玄怪錄)}, 이복언(李復言)의 {속현괴록(續玄怪錄)}, 원교(袁郊)의 {감택요(甘澤謠)}, 우숙(牛肅)의 {기문(記聞)}, 설용약(薛用弱)의 {집이기(集異記)}, 배형(裴 )의 {전기(傳奇)} 등이 있다. 이러한 전기전집들은 기이하고 신괴한 이야기들로서 현실생활과는 점점 멀어져 갔다. 그러나 이때 약간의 주목을 끌 만한 새로운 제재를 다룬 작품들이 출현하게 되었으니, 즉 호협류(豪俠類)의 작품들이었다. 예를 들면 원교(袁郊)의 <홍선전(紅線傳)>, 배형(裵 )의 <섭은낭( 隱娘)> <곤륜노(崑崙奴)>, 두광정(杜光庭)의 <규염객전( 髥客傳)>, 설조(薛調)의 <무쌍전(無雙傳)>, 황보매(皇甫枚)의 <보비연(步飛烟)> 등이다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이규보의 생애와 작품활동
  • 문학과 배경, 시세계 살펴보았다. 이규보는 그가 살았던 시대는 고려의 전기와 후기를 나누는 역사적 전환기였으며 매우 혼란스러운 시대였다. 이러한 사회적 상황 속에서 새로 진출한 신진사인으로써 더 이상 바랄 수 없을 정도의 높은 관직을 얻었고, 시문으로서 한 시대를 이끌던 문호였다. 또한 역사적 배경으로는 무신란과 무신정권의 성립, 농민, 노비의 난, 그리고 본 보고서에서는 다루지 못하였지만 몽고와의 항쟁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사건

  • 한국 고전산문 연구
  • 문학은 이후 전기문학(傳記文學)으로 이어진다고 할 수 있다. 6-3 한국 고전소설의 특징 정리한국 고전소설은 당대 최고 문인이자 비판적 지식인에 의해 새로운 장르로서 전범이 마련되고 그 가능성이 모색되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작자층은 확대되었다. 그리하여 서민층, 몰락 양반 층, 나아가 여성까지 작자로 등장하는 변화를 보였다. 한국 고전소설은 그 소재, 주제, 지향에 따라 귀족적, 이상주의적 계열의 작품군과 서민적, 현실주의적 계

  • 한국 고전의 흐름과 분석 - 작품 분석과 직급 해석
  • 보고서를 본,『조선 시대 관제 직급』에 대해 연구한 다른 연구자들이『where is the science?』라는 질문을 해 올지도 모른다.하지만 본 논자들을 묻고 싶다. 수박 겉 햩기식의 사전 지식적인 내용을 전달할 것인가, 아니면 늦은 감이 있더라도 우리의 문화에 대해서 새로운 한발을 시작할 것인가에 대해서 말이다.우리들이 애국자라는 얘기는 아니다. 이 일을 계기로 우리 모두 애국자가 되자는 말은 더 더욱 아니다. 단지, 사람이라면 적어도 우리의 근본

  • [국어국문학] [국문학사]조선전기문학의 특징
  • 문학에 대한 문제이다. 본 보고서에서는 기존의 연구업적을 바탕으로 조선전기 사장파와 도학파의 분립동인과 대립양상을 다루고, 이들의 문학 논쟁이 우리 문학사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가와 조선전기문학의 문학사적특징을 검토하고자 한다.2. 조선전기 문학의 특징성리학이 국시로 되고 또한 나라의 문학적 기반이 되면서 그것은 문학에도 큰 영향을 주어 지배적 역할을 하게 되었다. 성리학의 문학관은 한마디로 라는

  • 금오신화와 최치원의 나말여초 전기소설-최초의 소설은 어느것인가?
  • 당대 전기소설과 부합하고, 인민을 주인공으로 하여 남녀 애정과 같은 개인 생활 내지는 개인적인 운명을 묘사한 산문이라는 점에서 서구의 근대 소설의 여러 특징과 상통한다고 하여 이것을 소설로 규정하였다. 조수학은「최치원」을 중국 전기작품인「유선굴」,『금오신화』와 각각 내용면에서 대비 분석하여 문학적 영향관계를 밝히고 구성상의 특성을 비교함으로써 「최치원」이 창작되던 당시에 이미 전기소설이 특유의 체제를 확립했을 것이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