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 설화(說話)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1.01.05 / 2019.12.24
  • 26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2,4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1. 들어가기
2. 설화
1)설화의 개념
2)설화의 특징
3)설화의 분류
4)설화의 소설로의 변용
3.신화
1)신화의 개념
2)신화의 기능
3)신화의 분류
4)한국 신화의 사유방식
4.전설
1)전설의 개념과 전개
2)전설의 특징
3)전설의 분류
4)전설의 문체와 구조
5)전설에 나타난 인간관
5.민담
1)민담의 개념과 범위
2)민담의 특징과 기능
3)민담의 형식
4)민담의 전승과 재창조
5)민담에 나타난 민중의식
6.나가기
본문내용

5) 전설에 나타난 인간관(人間觀)

첫째, 전설의 주인공(主人公)은 대체로 예기치 않던 사태에 부딪혀 당황하거나 왜소(矮小)해지는 경우가 많다. 이 점은 신화나 민담이 보여주는 인간의 모습과 대조적이다. 둘째, 부주의(不注意)나 실수(失手)를 범하는 인물들이다. 따라서 전설은 인간의 한계로 인해 생기는 불행(不幸)과 좌절(挫折), 죽음을 민감하게 그린다. 장자못 전설, 에밀레종 전설, 쌀 나오는 구멍 전설, 오뉘 힘내기 전설 등이 모두 인간의 부주의나 실수를 그린 것이다. 셋째, 전설은 탁월(卓越)한 능력을 발휘하지 모하는 장수나 영웅(英雄)을 주인공으로 하여 좌절된 역사창조의 의지를 그린다. 흔하게 볼 수 있는 광포전설(廣布傳說) 가운데 아기장수전설이 여기에 해당한다. ‘아기장수’는 어릴 때부터 비범한 능력을 가졌지만 뜻을 이루지 못하고 죽는다. 그리고 아버지가 비범한 아들을 죽이려고 하는데 그 이유는 아들이 역적이 되리라는 두려움, 뛰어난 인물은 세상이 용납하지 않는다는 두려움 때문이다. 이러한 두려움으로 인해 생기는 비극에는 좌절된 역사 창조의 의지로 해서 생긴 쓰라림이 서려있다. 그러면서도 이러한 전설은 나라를 구하고 세상을 바꾸어놓을 장수에 대한 간절한 기대가 역설적으로 나타나 있다.

□바위로 化한 며느리
1. 넷날에 영변군 고성면 하화동에 큰 장재 부재례 살구 있었드랬넌데 이 부재는 혹세 닌색해서 놈에게 아무것두 주넌 일이 없구 또 놈을 도와 주는 일두 없었다구 한다.
하루는 이집에 중이 권선하라구 하느꺼니 줄 거 없다 하멘 쇠똥 한 뭉치를 떠서 주었다. 중은 아무 말 하지 않구 그 집을 나갔다. 이 집에 메느리레 이걸 보구 시아바지 모르게 쌀을 한 바가지 떠개지구 나가서 그 중한테 주멘 “우리 시아바지레 늙구 노망해서 그래 했으느꺼니 용사하구 이거를 받아가시오.” 하구 빌멘 말했다. 그러느꺼니 중은 “낼 정오에 집을 나와서 데 앞산으루 올라가라. 그때 뒤에서 무슨 소리가 나두 뒤돌아다보디 말라.” 그렇게 말하구 없어뎄다.
다음날 정오때 메느리는 아를 업구 머리에 광지를 니구 앞산으로 올라갔넌데 가던 도둥에 갑자기 뒤에서 턴디가 무너디는 듯한 큰소리가 나서 메느리는 놀라서 뒤를 돌아다봤다. 그랬더니 아 업고 광지를 닌채 팡구가 됐다. 고성면 하초동에 상기두 이 팡구가 있넌데 이팡구를 광지팡구라구 한다.
장재가 살던 집은 없어디구 큰 집 있던 데는 큰 못이 생기구 방앗간 있던 곳에는 동못이 생기구 재통이 있었던 곳에는 자근 못이 생겼다구 하넌데 이런 못덜이 고성면 하초동에 있다.

2. 넷날 어니 곳에 큰 부재가 있었넌데 하루는 이 부재집에 중이 동넝하레 왔넌데 이 부재넝감은 동넝 줄 거 없다, 가라 하멘 내쫓아 삐렜넌데 이 집에 메느리는 시아바지 몰래 가만히 닢쌀 한 되를 개저나 주었다. 그러느꺼니 중은 고맙다 하구서 “낼 비가 오구 벵넉이 나서 탕수레 날터이느꺼니 그때는 집이서 나와서 앞산으로 가야 한다. 그런데 갈 적에 뒤어서 무슨 소리가 나구 무슨 일이 일어나두 뒤돌아보디 말구 산으루만 가라구 말했다.
다음날 벵넉이 나구 큰비가 오기 시작해서 이 메느리는 어린 아를 업구 머리에 광지를 니구 집을 나와서 산으로 올라가드렜넌데 뒤에서 큰소리가 나서 뒤를 돌아다봤다. 그랬더니 살던 집은 물에 잠겨서 흘러가구 있었다. 그런데 이 메느리는 아를 업은 채 광지를 이구 팡구루 변했다. 그 팡구는 지금두 있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강재철,《한국설화문학의 탐구-한국설화의 전통적 접근-》, 단국대학교출판부, 2009.
곽정식,《한국구비문학의 이해》, 신지서원, 2005
김광순 외 공저,《국문학개론》, 새문사, 2008,
김광순 외 공저,《한국문학개론》, 경인문화사, 1996
김열규,《神話/說話》, 한국학술정보, 2001
김태곤 외 공저,《韓國口碑 文學槪論》, 민속원, 1996.
민제 외 공저,《한국문학총설》, 한누리미디어, 1994
장덕순 외 공저,《구비문학개설》, 일조각, 1971,
조동일,《한국 문학통사》1·2, 지식산업사, 1982.
조동일, 《구비문학의 세계》, 새문사, 1980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세기전환기][한문소설][현대소설][희곡][구비문학][재외동포문학]세기전환기의 한문소설, 세기전환기의 현대소설, 세기전환기의 희곡, 세기전환기의 문학, 세기전환기의 구비문학, 세기전환기의 재외동포문학 분석
  • 說話, 小說은 국문학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대두되면서 현재까지 한문학 연구의 주류를 이루어왔다. 朴趾源과 金時習의 작품을 주된 연구 대상으로 하였던 70년대까지는 대체로 傳記的․文獻的 硏究, 실증 위주의 비교문학적 연구, 특정 사상과 작가의식을 연결시킨 연구가 중심이었다. 이 외에도 소설의 기원을 신라시대 설화에서 찾으려는 시도가 있었고, 夢遊錄의 장르적 성격과 작가의식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었으며, 野談 가운데 소설적 구

  • [교양] 국어 - 혜성가, 헌화가, 제망매가
  • 說話的인 인물일 수 있다. 그가 진평왕 때의 혜성가를 지은 호국의 충신이라면 아명일 수 없고 아호였다고 보는 것이 옳을 것 같다. 향가의 작가 중 배경설화와 노래와 인물이 일치하는 것은 설화적인 인물이 아니라 그 방면에 일가견을 이룬 데서 雅號가 생긴 것이라 보아진다. 그런 데서 아명보다 아호가 더 많이 알려짐에 따라 노래의 작가로 쓴 것이 아닐까 한다.2. 지은年代혜성가의 창작연대는 일병의 침입이 잦고 혜성이 心大星을 범하고 일병이

  • [국문학] 무가, 설화
  • 국문학개론 책 11장 설화(說話)를 중심으로 설화(설화 전체, 신화, 전설, 민담)의 개념과 특징 및 형식 등의 설화 논의에 있어 기저가 되는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2. 무가2-1. 무가의 개념무가는 넓은 의미의 무가와 좁은 의미의 무가로 나누어서 살펴볼 수 있다. 넓은 의미의 무가는 무속의례에서 중요한 요소로 ‘굿’할 때 가창되는 ‘무가’와 독경할 때 구송되는 ‘무경’을 의미한다. 좁은 의미의 무가는 이 중 ‘굿’할 때 가창되는 것이다. 본고

  • 한국 중세문학 성격,배경, 한국 중세문학 서사문학,통일신라시대문학,고려시대문학,조선시대문학, 한국 중세문학 황조가,처용가,정읍사 분석
  • 설화문학 ▶ 패관문학 ▶ 가전체 ▶ 고대소설1) 특징(1) 낭독하기에 알맞은 4.4 조의 가사체투를 갖춤.(2) 전형적인 인물 설정.(3) 문장표현이 文語文으로써 사물을 극히 미화시킴.(4) 일상적 현실적인 것과 거리가 먼 신비로운 것을 그림.(5) 주제가 권선징악.(6) 행복한 결말.2) 작품(1) 김시습(금오신화) - 효시(2) 임제(화사) - 의인체 한문소설(수성) - 의인체 한문소설(원생몽유록) - 전기소설Ⅶ. 한국 중세문학 조선시대(조선후기)문학1. 기간 - 임진

  • [한국 중세문학 고려시대문학]한국 중세문학 고려시대문학 특성,배경, 한국 중세문학 고려시대문학 가전체문학,사대부문학,향가,고려속요,악장
  • 국문학의 대표적인 형식이다. 이 때에 이루어진 것은 모두 (구전 문학)이였으며, 이것도 조선조에 와서 비로소 문자로 정착되었다. Ⅲ. 한국 중세문학 고려시대문학 가전체문학1. 정의물건을 의인화하여 세상 사람들에게 경계심을 일깨워 줄 계세징인을 목적으로 지은 이야기2. 의의패관문학이 개인의 창작이 아님에 대하여 가전체 작품은 개인의 창작물이어서, 소설에 한 발짝 접근한 것이 되어 설화와 소설의 교량적 구실을 한 데 있다.3. 주요작품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