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소재공학]염료 감응형 태양전지(Dye Sensitized Solar Cell)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0.07.20 / 2019.12.24
  • 27페이지 / fileicon ppt (파워포인트 2003)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2,1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1.개 요
2.역 사
3.원 리
4.개발동향
본문내용
Michael Grätzel Professor at the Swiss Federal Institute of Technology in Lausanne, Switzerland. Michael Grätzel directs there the laboratory of photonics and interfaces. His laboratory initiated studies in the domain of nanocrystalline semiconductor particles and mesoporous oxide semiconductor films. These systems are applied in a variety of fields, e.g. biosensors,electrochromic displays and secondary lithium batteries. He discovered a new type of solar cell based on dyesensitized nanocrystalline films and is the inventor of the tandem cell for water cleavage by visible light. Prof. Grätzel, who is the author of 500 publications, two books and over 20 patents has been a visiting professor at several foreign universities, i.e.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ey, the University of Tokyo, the Ecole National Superieur de Cachan in Paris, the Delft University of Technology. He has been a frequent guest scientist at the 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 (NREL) in Golden, Colorado. He has received numerous awards and honorary lectureships, including the millenium 2000 European price of innovation, the 2001 Faraday medal of the British Royal Society, the 2001 Dutch Havinga award and the 2002 IBC award in Supramolecular Science and Technology. In 1996 the University of Uppsala, Sweden, conferred to him a honorary doctors degree in recognition of his scientific achievements.

①  기판: 높은 광학 전송과 낮은 저항을 가지는 표준 TEC(투명전극전도체)유리
②  titania 층: 10~20nm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가지는 nanoporous
③  염료: titania층에서 화학적으로 흡수
④  platinum 혹은 carbon과 같은 촉매: 산화 환원 과정에서 전자를 전달하기 위해 counter전 극으로 사용⑤  산화 환원 중재자(전해질): working전극과 counter전극 사이에 전자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해 쓰임 ->전해질은 nittile solvent에서 일반적으로 요오드/트리요오드 산화 환원 쌍으로 구성

Excitation of dye under illumination (ns)
Electron injection (ps)
Electron transport (ms)
Regeneration of dye (10 ns)
Recombination with oxidized redox (ms)
Recombination with oxidized dye (s)

참고문헌
나노 태양전지 기술 (성영은. BK21 화공사업단 소식지 Newsletter.Vol 5 No2.2004)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기술개발동향 (박남규 외. NANO WEEKLY 제 159호 2005년 9월2일)
나노태양전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03년 12월)
PHOTOELECTROCHEMICAL CELL (M. Grätzel. NATURE. 414, 338-344. 2001)
Solar Cell to Dye for (M. Grätzel. NATURE. 421, 586-587. 2003)
High efficiency solid-state photovoltaic device due to inhibition of interface charge recombination (M. Grätzel et al. APPLIED PHYSICS LETTERS. Vol 79 No 13, 2085-2087. 2001)
Solid-state dye-sensitized mesoporous TiO2 solar cells with high photon-to-electron
conversion efficiencies (M. Grätzel. NATURE. 395, 583-585. 1998)
8. Dye-sensitized solar cells (M. Grätzel. Journal of Photochemistry and Photobiology C.
4, 145-153. 2003)
9. A stable quasi-solid-state dye-sensitized solar cell with an amphiphilic ruthenium
sensitizer and polymer gel electrolyte (M. Grätzel. NATURE materials. 2, 402-408.
2003)
외 다수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기술혁신] 25가지 에너지 기술을 조사
  • 전지 뒤쪽에 태양빛을 반사시키는 집광판을 설치해 양면 모두 전기를 발생시키는 제품이다. 광변환 효율이 18%대인 단면 태양전지를 양면에 적용할 경우 효율이 25%까지 상승하고 장당 발전량도 기존 4.3W에서 6W 이상으로 40%가량 늘어난다. 이는 태양전지 양면을 모두 활용하기 때문에 고가의 폴리실리콘 사용량을 크게 줄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태양광 발전 공간 활용성도 극대화할 수 있다.4. 염료감응 태양전지 (Dye-Sensitized Solar Cell, DSSC)반도체

  • [신소재공학] Alkyl Side Chain이 도입된 Low Band-gap Polymer의 용해도 향상과 유기태양전지로의 적용에 관한 연구
  • 태양전지의 원리그림 4. 태양전지의 종류그림 5. 실리콘 태양전지 종류그림 6. 단결정 실리콘 태양전지 발전그림 7. 다결정 태양전지의 발전그림 8. 폴리실리콘 현물가격 추이그림 9. 여러 가지 태양전지의 흡광효율그림 10. 화합물 반도체 태양전지의 종류그림 11. CIGS 박막 태양전지 기본구조그림 12. CdTe 태양전지의 구조그림 13. III족-V족 태양전지 삼중접합 탠덤 셀의 각 층별 구조그림 14. 유기물 태양전지의 종류그림 15.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원

  • [분자시스템 공학 설계] DSSC(염료감응형태양전지) 기술의 현황과 전망
  • 분자시스템공학설계1-최종보고서-“DSSC(염료감응형태양전지)기술의 현황과 전망”목차서론1.등장배경본론2.태양전지의 종류3.Silicon solar cell과의 비교4.기본구조5.작동원리6.모듈 제조 공정7.에너지 변환 효율8.DSC의 장점9.개발동향결론10.분석 및 토의 참고문헌 및 조사기관1.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DSSC: dye sensitized solar cell)의 등장배경    화석연료의 대량소비에 의한 온난화와 대기오염 등 지구 환경문제와 에너지 문제는 21세기에도 인

  • [전기화학] DSSC 효율 향상을 위한 방안과 미래
  • 염료로는 N719(bis(tetrabutylamonium)-cis-(dithiocyanato)-N,N-bis (4-carbocylato-4-carboxylic acid-2,2-bipyridine)ruthenium(I)가 있으며 그 분자구조가 그림 1 Durrant. Gratzel, M. Chapter8, DYE-SENSITISED MESOSCOPIC SOLAR CELLS 에 나타나 있다. 그림 N719 분자구조2-2. DSSC의 구조산화환원 전해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표면에 화학적으로 흡착된 염료 분자가 태양빛을 받아 전자를 냄으로써 전기를 생산하는 전지이다.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는 식물이 광합성 작용을 통해 받은 태양에너지를 전자

  • [반응공학]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제조
  •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제조- 목차 -1. 들어가면서2. 염료감응형 태양전지(DSSC)의 원리3. 염료감응형 태양전지(DSSC) 염료(Dye)의 조건 및 염료 구조 3.1 태양전지 염료의 조건3.2 태양전지 염료의 구조와 특징4. 기존 특허에서의 염료 DSSC5. 속도반응식 및 반응기 설계를 위한 염료 선정6. 반응설계7. 우리 조에서 변형해 본 염료 DSSC8. 시장성과 미래1. 들어가면서최근의 급격한 유가변동과 지구온난화 등의 환경문제는 국가 성장 및 에너지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