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학] 이생규장전(李生窺牆傳)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0.07.14 / 2019.12.24
  • 16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4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1. 인상 깊은 장면과 이유
 1) 배은경
 2) 김선은
 3) 유재은
 4) 황미령
2. 인물의 역할극
3. 작가와의 인터뷰
4. 작품의 현대적 변용의 사례와 평가
 1) ‘주제’의 현대적 변용 사례
 2) ‘편지’의 모티프
 3) ‘환생’의 모티프
5. 참고문헌
본문내용
(2) 김선은
---------------------------------------------------------------------
복숭아꽃 가지 하나가 갑자기 담 위로 휘어져 내려오며 어릿어릿 그림자가 나타났다. 이생이 가만히 살펴보니 그넷줄에다 대바구니를 매어서 늘어뜨렸는지라 이생은 곧 그 줄을 잡고 담을 넘어 들어갔다.
때마침 동산에는 달이 떠오르고 꽃나무 가지의 그림자가 땅에 드리워졌다. 이생은 기쁘면서도 한편으로 그 동안의 비밀이 탄로 날까 두려워 머리카락이 쭈뼛 섰다. 그는 좌우를 둘러보았다.
최랑은 꽃 떨기 속 깊숙이 파묻혀 앉아 향아와 함께 꽃을 꺾어다 머리 위에 꽂으며 이생을 보고는 방긋이 미소 지으며 시 몇 구를 읊었다.

도리나무 얽힌 가지 꽃송이 탐스럽고
원앙새 베개 위엔 달빛도 곱구나.

이생이 뒤를 이어 읊었다.

이 다음 어쩌다가 봄소식이 샌다면
무정한 비바람에 또한 가련하리라.
---------------------------------------------------------------------
고전문학을 읽는데 가장 큰 즐거움을 무엇이라 말 할 수 있을까. 문학적으로, 나아가 문화적으로 역사적으로까지 고찰할 수 있는 작품의 상징성. 따라서 당대의 철학과 관념이 고스란히 담겨져 이를 파악하는 즐거움. 혹은 해석을 하는데 추가되는 개인적인 느낌. 이를 통한 행간읽기의 즐거움 등 여러 이야기를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내가 느끼는 가장 큰 즐거움을 뽑으라면 위의 것들을 모두 차치하고 낭만적인 분위기와 묘사를 말할 수 있다.
나는 지나치게 장형화되고 복잡한 문장은 지양하지만 기본적으로는 아름다운 묘사를 좋아한다. 그런데 고전문학은, 특히나 위 ‘이생규장전’은 그러한 부분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갖은 미사여구를 수식하는 것도, 시간을 들여 많은 이야기를 하는 것이 아님에도 그 상황과 어우러지는 사물들 - 복숭아꽃, 달빛, 꽃나무-은 분위기를, 나아가 이야기를 더 아름답게 표현해주고 있다.
둘은 서로를 얼핏 보았을 뿐 한번도 제대로 된 만남을 하지 못하였다. 그러다 시를 통해 마음을 교환한 뒤, 사람들의 눈을 피해 조용한 밤에 처음 만남을 갖게 된다. 그 마음이 얼마나 설레이고 두근거렸을지 상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달빛이 어스름하게 비치는 봄 밤. 이생은 낮에 시를 교환한 담벼락에 조용히 다가간다. 혹시나 누구에게 들킬까 그의 행동은 고요하고 조심스럽기 그지없다. 그는 담벼락을 살핀 뒤 대바구니가 묶여있는 그넷줄을 발견하고는 조심히 그 줄을 잡고 담벼락을 넘어 최랑의 뒷동산, 작은 다락으로 들어간다.
그에 눈앞에 펼쳐진 공간은 이러하다. 마치 무릉도원인양 가득한 꽃과 꽃나무들. 그리고 그 향기. 환한 달빛에 꽃나무들은 자신들의 그림자를 드리우고 꽃잎 하나하나를 반짝인다. 이생은 이제 최랑을 찾아 조심스레 두리번거린다. 이제 드디어 만난다는 설렘을 안고서. 그리고 이내 저만치 떨어져 있는 최랑을 발견한다. 최랑은 꽃떨기 속에 깊숙이 파묻혀 있었다. 꽃을 꺾어 머리에 꽂는 등의 모습을 보이며 두근거리던 그녀는 자신을 찾고 있는 이생을 발견한다. 그리고 그를 보며 방긋이 웃음을 짓고 그를 기다린 맘을 풍경에 담아 시를 전한다.
참고문헌
이상구(1996), 「<이생규장전>의 갈등구조와 작가의식」,『어문논집』 Vol.35 No.1, 안암어문학회
윤경희(1997), 「<이생규장전>의 구조적 연구: 삽입시가의 기능을 중심으로」,『고소설연구』Vol.3 No.1, 한국고소설학회
황혜진(2006), 「가치 경험을 위한 소설교육내용 연구 :조선시대 애정소설을 대상으로」, 서울대 대학원
이현국, <실존주의적 관점에서 본 <이생규장전>>, 語文學 제 68권, 1999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매월당 김시습의 생애와 문학관
  • 이생규장전>은 이생에서는 이룰 수 없는 귀신과의 사랑을 현실에서 성취하며 죽음을 통해 저승으로까지 이어가기도 한다. 神仙說話인 는 天上仙女와의 허무하고도 황홀한 하룻밤을 보낸 洪生이 초월의 세계를 그리워하다가 마침내 죽음으로부터 해탈한다는 내용이다. 地獄說話인 는 현실에 불만을 품고 있던 朴生이라는 선비가 남염부주의 염라왕과 만나 종교와 귀신, 政事에 대한 토론을 벌이는 이야기로서, 박생은 죽은

  • [고전문학] 금오신화의 전등신화 모작론에 관한 논의
  • 이생규장전」(李生窺牆傳)과 「歌を媒として契る」 역시 많은 상이성에 의해 일본의 이 소설이 간접적으로는 중국 소설의 영향을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직접적으로는 한국 소설의 모방이고, 중국보다 한국 쪽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는 점을 지적하고 싶다. 『전등신화』의 「위당기우기」(이하 渭塘)와 『금오신화』의 「이생규장전」(이하 李生) 그리고 『가비자』의 「歌を媒として契る」(이하歌媒) 를 비교해 보기로 한다.발단의 남녀 만남에 있

  • [한국고전문학] 환상과 이생규장전
  •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의 작품적 특징에 대한 이해1. 이생의 소극성에 대한 이해와 ‘규장(窺墻)’의 의미 해석1) 이생의 소극적인 성격과 현실도피적인 모습의 이생은 자아를 사회화하지 못하고 현실에서 소외감을 느끼는 소극적인 인물이다. 본래 이생의 성격이 소극적이기도 하지만 흉흉한 홍건적의 난 속에서 최랑과의 관계가 파국을 맞이하자, 현실과의 모든 관계가 단절된 채로 소외되고 만다. 이생의 소극적인 성격과 더불어

  • [고전산문교육론] 전기소설 분석 및 비평 -`이생규장전`, `만복사저포기`를 중심으로
  • 과목명 : 고전산문교육론담당교수 : 제출일 : 2007. 3. 21전기소설 분석 및 비평적 글쓰기- 「이생규장전」, 「만복사저포기」를 중심으로 -1. 작품 소개 및 연구사1) 작품 소개2) 연구사3) 정 리2.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과 「만복사저포기(萬福寺樗蒲記)」의 구성1)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2) 「만복사저포기(萬福寺樗蒲記)」3. 등장 인물에 대한 소개4. 작가와의 인터뷰5. 오늘날의 문화컨텐츠에서 전기소설이 어떻게 재창조되는가

  • 금오신화(이생규장전, 만복사저포기) 연구
  • , 漢陽大學校, 1986.金鉉龍, 「李生窺墻傳」과 鄭顯組 奴女 설화, 건국어문학, 건국대국어국문학연구회, 1985.禹玉子,「金鰲新話」현장 敎育的 方案 硏究, 仁川大學校 敎育大學院, 2000.田溶午, “이생규장전의 비교문학적 고찰” 배재대학교, 1996.鄭學成, 한국문학 연구 입문, 서울 : 지식산업사, 1982.陳武鉉, 李生窺墻傳의 原型批評的 接近攷, 국어국문학, 동아대국어국문학과, 1983.최명관(역), 캇시터 著, 인간이란 무엇인가. 서울 : 훈복문화사. 1973.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