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외교정책론] 안보투쟁의 성격과 함의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06.05.09 / 2019.12.24
  • 19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97)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8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Ⅰ. 서론 1


Ⅱ. 부분강화와 요시다 정권 2
가. 미일관계의 변천과 요시다 노선
나. 전면강화론의 성격: 지식인과 좌익의 지지기반
다. 반(反)요시다 진영의 형성과 미국의 표정/ 라. 요시다 실각


Ⅲ. 하또야마기시 정권의 안보개정 노력 5
가. 자유민주당 정권의 성립
나. 하또야마 내각의 성공과 실패
다. 기시 노부스께와 미국의 태도변화
라. 경찰관직무집행법 개정과 안전보장조약개정


Ⅳ. 투쟁과 환멸 10
가. 안보투쟁의 동력과 참가자 층
나. 조약비준안 날치기 통과 이후의 안보투쟁
다. 환멸


Ⅴ. 이께다 하야또와 사또 에이사꾸의 경제부흥 13
가. 이께다 내각의 국내정책: ‘우회작전(迂回作戰)’
나. 경제성장과 변형된 평화주의
다. 이께다하야또 시대의 미일관계


Ⅵ. 결론 15


Ⅶ. 참고문헌 17
본문내용
나까소네 야스히로는 미국의 일본 점령(194551)을 ‘제2의 개국’이라고 못박았다 제1의 개국은 명치유신이라고 한다.
. ‘역코스 정책’이 전후개혁의 성과를 상당부분 무효화했지만, 패전과 점령은 일본의 역사에 지울 수 없는 흔적을 남겨놓았다. ‘보수파’는 속속 정계에 복귀, 정국을 리드해 나갔지만, 사회당은 전무후무한 세력을 형성했다. 이처럼, 자민당이 주도하는 가운데 사회당이 야당으로서 버티고 선 ‘55년 체제’는 ‘제2의 개국’과 ‘역코스’가 길항하는 가운데 형성된 묘한 정치판도에 기반하고 있었다. 이후, 55년체제는 1993년 호소까와 연립내각이 분열된 자민당 정권을 대체해버리기까지 무려 38년을 지속함으로써, 후세의 사람들에게 견고했던 정치시스템으로 기억되기에 이르렀다.
그런데, 55년체제는 자유민주당이 성립한 1955년 11월 15일부터 ‘견고했던’ 것은 아니다. 일단, 55년체제라는 말 자체가 60년대 중반 정치판이 안정되면서 나타난 말 渡辺 治(와따나베 오사무), 「保守合同と自由民主党の結成」,『シリーズ日本近現代史』4, 東京: 岩波書店 1994, p.161.
이라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곧, 1955년에는 자유민주당 정권이 38년 지속되리라고 생각한 사람은 아직 나타나지 않았다는 셈이다. 실제로 55년부터 ‘55년체제’라는 말이 흘러나오는 60년대 중반의 어느 순간까지, 일본은 국제국내 정치에서 격렬한 변동을 경험했다. 정치적 변동은 외교 사안을 매개로 일어났다. ‘1960년’의 사건으로 기억되는 ‘안보투쟁’은 전후 자유로운 지식인․시민사회의 출현을 계기로 준비되었고, 60년대 중반까지 미약하나마 여력을 가지고 있었다. 안보투쟁은 일본의 보수정치인들에게 반(反)요시다 노선이 지니는 한계에 대해 생각하게 했고, 60년대 이께다 하야또, 사또 에사꾸의 시대를 열었던 것이다.
참고문헌
다나까 아끼히꼬(田中明彦), 이원덕 譯, 『전후일본의 안보정책』, 중심 2000.
이오키베 마코토 외, 조양욱 역, 일본 외교 어제와 오늘, 다락원, 2002.
이리에 아키라, 이성황 역, 日本의 外交, 푸른산, 2001.
W.G. 비즐리, 장인성 역, 일본근현대 정치사 , 을유문화사, 1996.
石田博英(이시다 히로히데), 『私の昭和政界史』, 東洋経済新報社 1986.
渡辺 治(와따나베 오사무), 「保守合同と自由民主党の結成」,『シリーズ日本近現代史』4, 東京:岩波書店, 1994.
中村政則(나까무라 마사노리), 「一九五十六十年代の日本: 高度経済成長」, 朝尾直弘(아사오 나오히로) 外 編, 『岩波講座 日本通史』第 20券(現代1), 東京: 岩波書店 1994.
内田健三(우찌다 겐조), 『戦後日本の保守政治』, 東京: 岩波書店 1969.
神田文人(간다 후미또), 「日米安全保障条約」, 朝尾直弘(아사오 나오히로) 外 編, 『岩波講座 日本通史』第 20券(現代1), 東京: 岩波書店 1994.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탈냉전시대 러시아의 대외정책과 전략
  • 외교3. 고르바초프의 개혁 ․개방과 신사고 외교 1) 페레스트로이카 와 글라스노스트2) 신사고(New Thinking) 외교3) 고르바초프의 대동북아정책과 한반도4. 옐친의 등장과 신생 러시아의 대외정책1) 옐친 외교의 성격① 신사고 외교의 계승② 친서방주의 정책③ 전방위 외교 노선2) 옐친의 대외정책 전개과정3) 옐친의 대외정책 실패요인과 유산5. 푸틴시대 러시아의 대외정책과 전략1) ‘기회주의적 고립주의’ 노선2) 푸틴의 신 국가안보전략①

  • [국가안보론] 중국과 러시아의 한반도정책
  • 외교 정책론』. 을유문화사. p.394:23~395:2 수정인용.그러나 1970년대 일본과의 국교 정상화, 1972년 9월 29일 일본의 다나카 가쿠에이 수상과 오히라 마사요시 외상, 중국의 주은래 총리와 지펑페이 외교부장이 서명함으로써 관계가 성립되었다.미국 닉슨 대통령의 북경 방문 등을 통한 데탕트 시기에 접어들면서 북한 외교에 있어서 미묘한 변화를 보이기 시작했다. 특히 1980년대 등소평 시대가 시작되면서 중국은 실용주의 외교정책을 펼치게 된다. 물론 19

  • [졸업][정치외교] 탈냉전기 안보상황에서 한·미 동맹
  • 외교정책』,(사회문화연구소, 1998), p67-68.특히 부시 행정부 등장하면서 한미관계의 도전 심화되었다. 2001년 1월 클린턴 행정부의 대북정책을 미친정책이라고 비판한 공화당의 부시 행정부가 등장함에 따라 북미관계가 다시 경색국면으로 진입하게 되었으며, 한미관계 역시 2001년 3월 한미정상회담을 계기로 대내외적인 도전이 점증하는 양상을 보였다. 부시 행정부는 남북한이 실제로는 군사안보분야의 초보적인 신뢰구축조차 실현하지 않은 가

  • [외교정책] 러시아의 외교정책
  • 외교 안보 정책의 기본 방향과 정책을 제시하고 있는 러시아 연방의 국가안보 개념, 러시아 연방의 군사 독트린, 러시아 연방의 외교정책 개념 등을 2000년 1월, 4월, 6월에 각각 채택하였다. 이들은 옐친 정부 하에서 1997년 12월, 1993년 11월, 1993년 4월에 각각 채택된 것을 국내외 정세의 변화를 감안하면서 새로이 수정하여 채택한 것이다. 이들 외교 안보 관련 문건들이 중요한 것은 옐친 정부 하에서는 이들 문건에 포함된 외교 안보 정책들이 무시되

  • [외교정책론] 중미관계
  • 함 4척, 잠수함 등을 대만에 판매5. 1미국, MD 강행- 미국 부시대통령은 동맹국들의 우려와 반발에도 불구하고 미사일방어(MD) 체제 구축을 공식 선언5. 21대만총통의 방미 허용-중남미 5개국을 순방하는 천수이볜 대만 총통에게 통과비자 제공, 뉴욕과 휴스턴에 3일간 체류 허용 7. 15중국-러시아 우호협정 체결-푸틴 러시아대통령과 중국 장쩌민 국가주석이 모스크바에서 20년 동안 지속될 `러-중 친선.우호.협력 조약과 국제 안보 등에 관한 `공동선언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