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건축물 인증(LEED) 이용자 만족도 분석 및 실내 환경 발전방향 고찰(영문)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8.06.25 / 2018.06.25
  • 12페이지 / fileicon docx (MS워드 2007이상)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2,2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Ⅰ. Introduction

1. Study background and objectives
2. Study scope and methodology

Ⅱ. Literature review

1. Environmentally friendly construction
1.1. Conceptions and Traits of Eco-friendly Construction
1.2. Current State
2. LEED certification
2.1. Concept of LEED
2.2. Types of LEED certification.
2.3. LEED grade classification
2.4 Detailed evaluation item of LEED

Ⅲ. Design of study
1. Research models and hypothesis setting
2.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methods

Ⅳ. Data analysis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elected buildings
2. Comparing occupants’ satisfaction of LEED certified building and non-certified building
3. Analysis of correlation with occupants’ satisfaction and certification score
4. Analysis of satisfaction with LEED certified buildings and non-certified building

Ⅳ. Conclusion

References
본문내용
Ⅰ. Introduction

1. Study background and objectives

Recently, due to environmental pollution and climate change, attention to environment is more growing than ever. Especially, buildings form 40% of energy and resource consumption, 30-40% of carbon dioxide emission, 20-25% of waste discharge, 17% of water consumption, and 25% of wood consumption, so buildings are mainly responsible for energy consumption. In this situation, buildings in cities had been given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that can suggest 'new architectural alternative' in aspect of decreasing resource consumption and waste discharge. And in this process, the concept of green building appeared. One of these alternatives,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was actively developed and carried out in each countries.
The United States established US Green Building Council (USGBC) in 1993 for pursuing the sustainability of buildings and construction industry, designed buildings and communities that can give environment improving quality of life and presented LEED (Leadership in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certification program considering environment and social in 2000. Besides, BREEAM in the United Kingdom, CASBEE in Japan etc. are made and practiced considering own countries. Accordingly, Korea have developed and practiced GBCC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from 2002, and 3330 buildings in Korea were acquired GBCC certification until Oct 2013. Also from 2009 to Oct 2013. 39 buildings in Korea were acquired LEED certification.
But, there are many problems of certification with the rate of attention and demand. First, certification can’t involve the process of use, because it is only given by the initial building design. So they have problem that can’t control environmental quality level change by utilizing of occupants. Also, they concentrate to physical factors for securement of environmental-friendly materials and skills and overlook the aspect of users in criteria. Like this,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have overlooked the users and process of using.
From these problems, this study will conduct investigation of occupants' satisfaction for studying focusing on users and indoor environment that greatly effect to users. Through this study, first, we will compare and analyze between LEED indoor environmental score of buildings and occupants' satisfaction, and research about the correlation between criteria and satisfaction. Second, we will compare and analyze between satisfaction of LEED buildings and non LEED building’s, and research effectiveness of LEED certification. As a result, we will suggest development to indoor environment of green office buildings for more human.
참고문헌
강신우, 2011, 「안산시 공공건축물의 친환경 건축기법 적용사례」, 석사학위 청구논문, 한양대학교, 서울

나민희, 2014, 「LEED인증 건축물 분석을 통한 실내공간 친환경 평가항목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국내 업무용 건축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성대학교 대학원, 서울

백홍철, 2010, 「국내 건축물의 LEED 인증을 위한 CM의 역할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공과대학원, 서울

서혜수, 2004, 「사례분석을 통한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의 실내환경 인자 분석」, 석사학위 청구논문, 연세대학교, 서울

우강(于江), 2014, 「중국 녹색건축 인증제도 개선방안의 연구 -G-SEED(한) 및 LEED(미) 중심으로-」, 석사학위청구논문, 광운대학교 대학원, 서울

이원기, 2013, 「신축건축물 LEED 인증을 위한 추가 공사비 연구 -국내 LEED 인증 실 사례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주택대학원, 서울

한국 LEED 연구소, 『LEED, 미래의 건축』, 새로운 사람들, 2009

정지나 외 2명,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 분석」, 『그린빌딩(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 v.9 n.1

Jason Bae, 「친환경 인증제의 허점」, NEWS PAPERMINT, 2013년 8월 2일

미국 그린빌딩협의회. www.usgbc.org/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건축공학] 건축물의 리모델링 활성화 방안연구-공동주택의 리모델링을 중심으로-
  • -공동주택의 리모델링을 중심으로-목 차Ⅰ 서론1. 연구의 목적 및 배경2. 연구의 방법 및 범위Ⅱ 건축 리모델링의 종합적 분석1. 건축 리모델링의 개념 및 필요성2. 리모델링의 활용기법3. 리모델링 정책의 추진동향4. 향후제도 개선과제Ⅲ 공동주택의 리모델링1. 공동주택 리모델링의 목적2. 공동주택 리모델링의 유형3. 공동주택 리모델링의 필요성 및 기대효과Ⅳ 공동주택 리모델링의 기획과정과 방법1.

  • [건축공학] 건축물의 리모델링 활성화 방안연구-공동주택의 리모델링을 중심으로-
  • -공동주택의 리모델링을 중심으로-목 차Ⅰ 서론1. 연구의 목적 및 배경2. 연구의 방법 및 범위Ⅱ 건축 리모델링의 종합적 분석1. 건축 리모델링의 개념 및 필요성2. 리모델링의 활용기법3. 리모델링 정책의 추진동향4. 향후제도 개선과제Ⅲ 공동주택의 리모델링1. 공동주택 리모델링의 목적2. 공동주택 리모델링의 유형3. 공동주택 리모델링의 필요성 및 기대효과Ⅳ 공동주택 리모델링의 기획과정과 방법1.

  • 신,재생에너지와 스마트그리드를 활용한 Total Energy Management 사업
  • 친환경에너지 관련법 제정1.1.3.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을 위한 스마트그리드 개념 대두1.2 사업모델2. 스마트 그리드와 신재생 에너지의 개념2.1. 스마트그리드(Smart-grid)2.1.1. 스마트그리드(Smart-grid)란?2.1.2. 구조 및 필요기술2.1.3. 스마트그리드로 인한 미래모습2.1.4. 스마트 그리드의 장단점2.2. 신재생에너지2.2.1. 신재생에너지란?2.2.2. 각 에너지원의 장단점 분석3. 환경분석 및 3. SWOT 분석3.1 외부환경 분석3.1.1 정부계획 및 정책(최근 확정되었

  • [브랜드마케팅] 삼성물산의 래미안 브랜드 및 마케팅분석
  • 방향으로 노력함으로써 건실한 재무구조를 다져왔다.업계 표준화 선도삼성건설의 삼성 사이버아파트는 주택업계에 인터넷망 구축을 처음 시도한 아파트로, 이를 통해 정보통신부가 “초고속 정보통신 아파트”라는 정부인증제도까지 만들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를 통해 삼성 사이버아파트는 당시 분양 아파트의 표준이 되었다. 또한 최근에 정부가 환경 친화적인 건축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도입한 “친환경건축물(Green Building) 인증제”의 인증

  • [브랜드마케팅전략] 대림산업 `e-편한세상`(이편한세상)의 성공과 브랜드전략
  • 친환경정책, 입주자를 위한 프리미엄 혜택, 경쟁 환경의 분석을 통한 강점과 약점의 분석, 내부역량과 경영 성공 전략에 대한 조사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성공적인 사업전략에 대해 접근, 조사해 보고자 한다. 또한 마지막으로 타 경쟁사와의 경쟁에서 우위를 선점하기 위해 대림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기업관계자 인터뷰 후 팀원들의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제시하고자 한다.Ⅰ.‘e-편한세상’ 선정과 조사방향1. 아파트 시장의 발전과 브랜드 도입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