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학원론] 네트워크 사회의 도래와 정당정치의 변화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1.01.04 / 2019.12.24
  • 29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8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1. 서론

1) 네트워크 사회로의 변화

2) 정치적 매개자로서 정당 역할 변화의 필요성

2. 네트워크 사회의 특징

1) 구성적 네트워크

2) 수평적 네트워크

3) 연계적 네트워크

3. 네트워크사회에서의 정당의 역할

1) 참여와 대의의 통합기제로서의 네트워크

2) 네트워크 환경에서 정당기능의 변화

3) 네트워크 소통과 정당모델의 재창조

4. 결론

1) 누구를, 무엇을, 어떻게 대의할 것인가?

2) 정당의 과제

<참고 문헌>


본문내용

2) 수평적 네트워크

네트워크의 두 번째 특징은 위계적 네트워크에서 수평적 네트워크로 변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인터넷의 발전은 초기에 평등한 노드들 간의 ‘분산형 네트워크’로부터 출발하였는데, 네트워크 규모가 폭발적으로 커지고 온라인 공간에서 우열승패 경쟁이 거듭되면서 그 구조가 변모하였다. 즉 소수의 핵심적 노드들을 중심으로 절대다수의 하위 노드들이 연결되는 ‘허브 중심 네트워크’로 진화하였다.
그리고 온라인 미디어와 기술의 공진화는 네트워크화된 개인주의와 개방, 참여, 공유를 구현하는 웹 2.0 패러다임을 확산시켰다. 이는 긴 꼬리 집합과 허브 간의 긴장을 촉발하며 ‘집중과 편재의 혼계 네트워크’로 인터넷의 성격을 변화시키고 있다.
그러나 허브가 중심의 역할을 한다고 해서 네트워크의 성격이 탈집중에서 위계(hierarchy)로 환원되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허브나 타 노드들과 약하게 연결되어 있는 주변부 노드들의 긴 꼬리(long tail) 집합 때문이다. 2006년 와이어드의 편집장인 크리스 앤더슨(Chris Anderson)이 제시한 롱테일 법칙(long-tail Law)은 인기있는 20%의 상품이 전체 매출의 80%를 차지하고 있다는 파레토 법칙이 온라인에서는 맞지 않는다는 주장으로서 제시한 법칙이다. 즉, 80%에 해당하는 다수의 비인기 상품의 전체 매출에서의 비중이 증가한다는 것을 닷컴 불황을 극복하고 성공적으로 살아남은 아마존이나 이베이 등 온라인 쇼핑몰 분석을 통해 증명한 것이다. 온라인 공간에서 다수 상품의 전체 매출이 소수의 히트상품 매출보다 높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증명함으로써 각광받게 된 롱테일 법칙이 가능할 수 있었던 이유는 온라인에서는 유지비용이 거의 제로에 가깝고, 사용자 패턴 분석에 의한 지능화된 검색 기술이 발전했기 때문이다.
소수의 허브와 다수의 긴 꼬리들의 관계는 20:80이라는 파레토 최적(pareto optimality)의 비율을 연상케 한다.
파레토 최적은 상위 20이 전체 산출의 80을 담당하는 가장 적합한 사회자원 배분상태를 일컫는다. 반면 네트워크 환경은 이와 같이 선택과 집중을 통해 수익을 극대화하는 기존의 경제적 관념을 균열시킨다. 그것은 네트워크상의 재화들은 디지털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과거 산업경제와 달리 저장과 유통에서 공간적 제약을 받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재화 공급량에 제한이 없을 뿐 아니라 수요가 높은 재화와 그렇지 않은 재화 간의 유통비용의 차이도 발생하지 않는다. 요컨대 네트워크상에서는 낮은 수요의 재화들을 무한대로 추가한다 해도 재화 판매 공간을 잠식하는 등의 기회비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더욱이 검색이나 평판시스템(reputation system) 등의 부가장치들은 낮은 수요의 재화들을 고객들과 용이하게 연결해준다. 이를 사회정치적 시각에서 재해석하면 소수의 약한 연결선으로 이루어진 긴 꼬리 집합은 허브와 길항적 관계를 갖는다. 즉 네트워크상의 권력은 허브를 중심으로 ‘집중’되어 있지만, 동시에 긴 꼬리 집합에 의해 ‘편재’되어 있는 것이다.
온라인공간에서의 기성 권력(엘리트, 전문가 등)과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 간의 정치적 문화적 경쟁은 이의 전형적 현상이다. 결국 이러한 허브와 긴 꼬리 집합의 긴장 관계에 의해 네트워크는 탈집중도 위계도 아닌
참고문헌
<참고 문헌>

Baraba'si, Albert-La'szlo' 저. 김기훈 역. 2002.『링크 : 21세기를 지배하는 네트워크 과학』. 서울 : 동아시아.
Bonchek, Mark Seth. 1997. From Broadcast to Netcast : The Internet and the Flow of Political Information. 원성묵 역. 1997.『브로드 캐스트에서 넷 캐스트로 : 인터넷과 정치정보의 흐름』. 서울 : 커뮤니케이션북스.
Castells, Manuel 저. 김묵한․박행웅․오은주 역. 2003.『네트워크 사회의 도래』. 서울 : 한울.
Gibson, R. K. & A. Römmel, 2001. "Political Parties and Professionalized Campaigning." The Harvard International Journal of Press/Politics 6.
Gibson, R. K. & S. J. Ward. 1998. "UK Political Parties and the Internet : Politics as Usual in the New Media?" the Harvard International Journal of Press/Politics 3.
Norris, Pippa, 2000. A Virtuous Circle : Political Communications in Postindustrial Societies. Cambridge : Cambridge Univ. Press.
. 2001. Digital Divide : Civic engagement, Information Poverty, and The Internet Worldwide. Cambridge : Cambridge Univ. Press.
. 2002. "The Bridging or Bonding Role of Online Communities." the Harvard International Journal of Press/Politics 7.
Smith, Colin, 1998. "Political Parties in the Information Age : From Mass Party to Leadership Organization?" in I. Th. M. Snellen & W. B. J. H. van de Donk(eds). Public Administration in the Information Age, Amsterdam : IOS Press.
Sunstein, Cass, 2000. Republic.com. NJ : Princeton University Press.
강원택. 2007. 『인터넷과 한국 정치 : 정당정치에 대한 도전과 변화』. 서울 : 집문당.
. 2008.『web 2.0 시대의 한국 정치』. 서울 : 책세상.
권영설. 1998. “정당의 발전과정과 정당체제.” 󰡔고시계󰡕 Vol. 492. 30~40.
김용철․ 윤성이. 2005.『전자민주주의 : 새로운 정치 패러다임의 모색』.서울 : 오름.
심지연․김민전. 2006. 󰡔한국 정치제도의 진화경로 : 선거․정당․정치자금제도󰡕. 서울 : 백산서당.
윤성이. 2003. “16대 대통령선거와 인터넷의 영향력,”『한국정치학회보』37(3).
______. 2007. “한국의 온라인 정치참여 특성 : 수요자 중심 모델을 중심으로,”『정보화정책』14(4).
이원태. 2003. “사이버 공동체와 한국사회 : 개인과 공동체의 관계를 중심으로,”『계간 사상』여름호.
이원태․홍순식. 2008. “웹 2.0 시대 의사결정방식의 변화와 정책적 함의.”「KISDI 이슈리포트」. 서울 :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윤영민. 2000.『사이버공간의 정치』. 서울 : 한양대학교출판부.
정진민. 1998.『후기 산업사회 정당정치와 한국의 정당발전』. 서울 : 한울 아카데미.
조희정․강장묵. 2008. “네트워크 정치와 온라인 사회 운동 : 2008년 ‘미국산 쇠고기 수입반대 촛불집회’ 사례를 중심으로.”『한국정치학회보』제43집 제3호. 311-332.
하영선․김상배 엮음. 2006.『네트워크 지식국가』. 서울 : 을유문화사.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정책학] 국가관 유형별 분류 및 국가관 차원에서 국가혁신의 의미 도출
  • 사회에 깊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그의 일원론적 세계관은, 공자가 사회 개혁에 있어서 점진적인 시각을 갖추게 된 그 전제이자 출발점이 되는 것이다.2) 정명론正名論혼란한 사회를 변화시켜 질서 있고 안정된 사회를 이룩하는 데 가장 중요한 것을 공자는 이른바 정명 正名의 확립이라고 하였다. 즉, 우리가 실제 사물에 붙인 이름名과 그 내실實은 일치되어야 한다. 언젠가 그의 제자 자로子路가 공자에게 정치를 하려면 무엇을 으뜸으로 삼아야 되

  • 외교통상부 정책평가
  • 개선 GGGI : 최초로 국제사회에지적 리더십 행사 → 공격적 활동 기대FTA: 세계화에 발빠르게 대응 → 국민의 의견 수렴이 필요33참고자료정정길 외 4명, 『정책학원론』, 대명출판사, 2010김태룡, 『행정이론』, 대명출판사, 2010외교통상부 http://www.mofat.go.kr/main/index.jsp자유무역 협정 FTA http://www.fta.go.kr/new/index.aspGGGI http://www.gggi.org워킹홀리데이 인포센터 http://www.whic.kr/main/2012 핵안보 정상회의 http://www.seoulnss.go.kr/nssmain/main.jsp

  • 정책분석과 정책사례
  • 사회는 70년대의 경제발전 이후 관주도의 관료제패러다임을 통해 급속한 발전을 이룰 수 있었지만 한편으로 동양 특유의 관료주의(官僚主義)적 문화는 민주화이후 시민들의 의식이 향리형적인 의식에서 신민형․참여형적인 의식으로 변화해감에 따라 많은 정책갈등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꼽히게 되었다. 또한 경제발전에 비해 상대적으로 뒤떨어진 정치․사회․제도의 발전은 집단 간에 유발될 수 있는 갈등에 대한 사회적 협의구조의 정착을 어렵게

  • [행정학개론, 행정학개론 시험] 행정학개론 요점정리 파워서브
  • 정치성(국민의 통제), 법적규제받음, 권력수단, 평등원칙, 규모 관할범위3. 행정학과 정치학- 정치행정이원론(기술적 행정학) : 윌슨, 엽관주의, POSDCORB- 정치행정일원론(기능적 행정학) : 뉴딜, 행정의 전문성, 신속한 정책결정, 입법부의 무능- 새이원론(행태론적 행정학) : 사이몬, 가치와 사실, 실증주의- 새일원론(발전론, 정책학, 신행정학) : 행정우위론, 발전도상국 관료제, 정책과정론, 사회적 형평, 책임강화, 고객중심행정, 행정의 사회적 관련

  • 정책분석론4B) 정책대안의 비교 평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0K
  • 사회 전체 후생의 극대화를 도모한다는 데에서 한계가 있다.정책대안의 평가기준으로서의 능률성으로 일정한 정책비용으로서 정책효과를 최대화하는 대안을 채택하여 사회적 자원을 최대한 능률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파레토 최적-주어진 소득분배구조 하에서 일정한 사회자원으로 개인들의 효용을 극대화하는 재화의 생산한다고 주장했으며, 칼도-힉스 기준은 어떤 변화가 사회 전체적으로 손실보다 이득이 많을 때 능률적인 것으로 판단하였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