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 안연顔淵편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5.06.27 / 2015.06.27
  • 5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est1est2est3est4est5 1(구매금액의 3%지급)
  • 8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본문내용
논어(論語)는 학이(學而)편으로부터 종편인 요왈(堯曰)편까지 모두 20편으로 이루어졌다. 그 중 안연(顔淵)편은 12편에 해당하며, 모두 24장으로 이루어졌다.
안연(顔淵)은 공자가 가장 아끼고 큰 기대를 걸고 있던 제자 중의 한 사람으로, 공자가 친자식처럼 여겼다. 자는 자연(子淵)이며 공자보다 30세 아래였다. 하지만 스승 공자에 앞서 젊은 나이에 죽었고 그의 죽음은 공자 자신의 죽음을 재촉할 만큼 큰 충격을 주었다. 그 안연이 선생인 공자께 인이 무엇이냐고 묻는 것으로 <안연>편은 시작된다.
顔淵問仁 子曰 克己復禮爲仁 一日克己復禮 天下歸仁焉 爲仁由己 而由人乎哉 顔淵曰 請問其目 子曰 非禮勿視 非禮勿聽 非禮勿言 非禮勿動 顔淵曰 回雖不敏 請事斯語矣 안연1
안연이 인에 대해서 묻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자기의 욕심을 이겨내고 예를 회복하는 것이 인을 하는 것이다. 하루라도 자기의 욕심을 이겨내고 예를 회복하면 천하가 인을 가진 사람에게 마음을 돌린다. 그러므로 인을 하는 것은 자기가 하는 것이지 남이 해주는 것이겠는가?” 안연이 말했다. “그 조목을 하나하나 듣고 싶습니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예가 아니면 보지 말며, 예가 아니면 듣지 말며, 예가 아니면 말하지 말며, 예가 아니면 하지 않는 것이다.” 안연이 말했다. “제가 비록 민첩하지는 않으나 기꺼이 이 말씀을 실천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공자가 말하는 인(仁)은 학문을 함으로써 도달할 수 있는 최고의 경지인 것이다. 논어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는 말은 ‘인(仁)’이다. 공자가 이처럼 인을 강조한 까닭은, 인간을 본질적으로 사회적인 존재로 보았기 때문이다. 사회적 존재인 인간은 사람과의 다양한 관계 속에서 살 수 밖에 없다. 즉 인간관계를 어떻게 설정하고 발전시켜야 하느냐가 공자의 관심거리이자 과제이기도 했을 것이다. 인에 대한 공자의 생각은 22장에서도 엿볼 수 있다.
樊遲問仁 子曰 愛人 問知 子曰 知人 樊遲未達 子曰 擧直錯諸枉 能使枉者直 樊遲退 見子夏曰 鄕也吾見於夫子而問知 子曰 擧直錯諸枉 能使枉者直 何謂也 子夏曰 富哉言乎 舜有天下 選於衆 擧皐陶 不仁者遠矣 湯有天下 選於衆 擧伊尹 不仁者遠矣 안연22
번지가 인에 대해서 묻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사람을 사랑하는 것이 인이다.” 지혜에 대해 묻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사람을 알아볼 줄 아는 것이 지혜이다.” 번지가 그 말을 깨닫지 못하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곧은 사람을 추천하여 굽은 사람 위에 놓으면 굽은 사람을 곧은 사람으로 고칠 수 있다.” 번지가 물러나서 자하를 보고 말했다. “지난번에 내가 공자를 뵙고 지혜를 물었더니 공자께서 말씀하기를 ‘곧은 사람을 추천하여 굽은 사람 위에 놓으면 굽은 사람을 곧게 만들 수 있다’고 하셨는데, 그게 무슨 뜻입니까?” 자하가 말했다. “풍부하구나! 그 말이여. 순 임금이 천하를 다스릴 때에 많은 사람 중에서 고요를 등용하자 어질지 못한 사람들이 멀리 사라졌고, 탕 임금이 천하를 다스릴 때에 많은 사람 중에서 이윤을 등용하자 어질지 못한 사람들이 멀리 사라졌다.”
인(仁)은 남을 자기처럼 여기고 사랑하는 마음이며 지(知)는 인을 현실 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분별능력이다. 가장 지혜로운 것은 현실사회를 인이 실현되는 조화로운 사회로 만드는 것인데, 그러기 위해서는 사람을 잘 분별하여 정직한 사람을 뽑아 등용시켜야 한다. 정직한 사람이 위에 있으면 부정한 방법이 통하지 않으므로 아래에 있는 사람들도 차츰 정직하게 된다. 사회의 모든 구성원이 서로 사랑하게 되는 조화로운 사회로 바뀌는 것이다.
사람을 사랑하는 인을 실천하여 조화로운 사회를 만드는 사람이 바로 군자(君子)이다.
子曰 君子成人之美 不成人之惡 小人反是 안연16
자료평가
  • 자료평가0자료평가0자료평가0자료평가0자료평가0
  • 도움이 되었습니다.
  • 59506***
    (2022.05.31 01:29:09)
회원 추천자료
  • 논어에 나타난 공자의 명언과 논어 풀이00
  • 안연(顔淵)제3편 팔일(八佾)제13편 자로(子路)제4편 이인(里仁)제14편 헌문(憲問)제5편 공야장(公冶長)제15편 위령공(衛靈公)제6편 옹야(壅也)제16편 계씨(季氏)제7편 술이(術而)제17편 양화(陽貨)제8편 태백(泰佰)제18편 미자(微子)제9편 자한(子罕)제19편 자장(子張)제10편 향당(鄕黨)제20편 요왈(堯曰)2. 논어에 나오는 공자의 명언-한자풀이 1. 子曰 學而時習之면 不亦說乎아, 학이시습지 불역열호 배우고 때로 익히면 또한 기쁘지 아니한가 2. 有

  • [철학] 논어 레포트
  • 논어5. 논어의 내용- 1)부자관계멀리 가더라도 반드시 자신이 가는 곳을 알려 부모님의 근심을 덜어드려야 한다.제 21장子曰 父母之年은 不可不知也니 一則以喜요 一則以懼니라 = 부모의 나이는 알지 않으면 안되니, 한편으로는 기쁘고 한편으로는 두렵다.5. 논어의 내용- 1)부자관계논어부모의 나이를 기억하여 정성들여 부모를 섬겨라.안연 제 12 – 제 11장孔子對曰 君君, 臣臣, 父父, 子子 니이다 = 임금은 임금 노릇하며, 신하는 신하 노릇하

  • [고전] 논어에 대해서
  • 목차1.서론 - 논어와 공자 에 대해 알아 본다.논어 - 1)명칭과 편자2)성립 3)내용4)전래공자 - 1)공자란 누구인가 ?2)공자와 논어2.본론 - 각장의 가장 인상 깊은 구절을 요약하여 설명한다.1 . 학이 11. 선진2 . 위정 12. 안연3 . 팔일 13. 자로4 . 리인 14. 한문5 . 공야장 15. 위령공6 . 옹야 16. 계씨7 . 술이 17. 양화8 . 태백 18. 미자9 . 자한 19. 자장10. 향당 20. 요왈3. 결론 - 오늘날의 논어의 의미와 바른 삶의 태도에 대한 우리의 생각1.서론 논어 중국 유

  • [고전] 논어 작품분석
  • 목차1.서론 - 논어와 공자 에 대해 알아 본다.논어 - 1)명칭과 편자2)성립 3)내용4)전래공자 - 1)공자란 누구인가 ?2)공자와 논어2.본론 - 각장의 가장 인상 깊은 구절을 요약하여 설명한다.1 . 학이 11. 선진2 . 위정 12. 안연3 . 팔일 13. 자로4 . 리인 14. 한문5 . 공야장 15. 위령공6 . 옹야 16. 계씨7 . 술이 17. 양화8 . 태백 18. 미자9 . 자한 19. 자장10. 향당 20. 요왈3. 결론 - 오늘날의 논어의 의미와 바른 삶의 태도에 대한 우리의 생각1.서론 논어 중국 유

  • [유학사상] 공자의 인간관
  • 논어 3.3에는 이런 말이 있다.子曰, “仁而不仁, 如禮何? 人而不仁, 女樂何?”(공자가 말하였다. “사람이고서 인을 갖추지 못하면 예같은 것에 어찌할 것인가? 사람이고서 인을 갖추지 못하면 악같은 것에 어찌할 것인가?”) 여기에서 공자는 사람이 인을 갖추지 못하면 아무것도 할 수 없다고 하면서 인을 갖춘 자 만이 진정한 인간이라고 이야기한다. 그렇다면 인(仁)이란 무엇인가? 논어 12.1을 보면 안연이 공자에게 인에 대하여 물었을 때 어떻게 대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