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시가론] 주술계열 향가와 가사부전 향가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05.06.15 / 2019.12.24
  • 80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4,6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처용가
1. 전문해독
2. 핵심정리
3. 배경설화
4. 시구해석
5. 처용가의 연구사
6. 인물연구
7. 향가(처용가)의 주가성
8. 처용전승
2. 가사부전의 향가
1. 이견대(利見臺)
2. 신공사뇌가(身空詞腦歌)
3. 앵무가(鸚鵡歌)
4. 현금포곡, 대도곡, 문군곡, (玄琴抱曲, 大道曲, 問群曲)
5. 東京(1)
6. 東京(2)
7. 목주(木州)
8. 여나산(余那山)
9. 가사부전 향가 요약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처용가의 연구는 향가해독이라는 어학적 연구에서 출발하여 문학적 측면에서도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한편, 처용가는 주석작업을 제외하고는 說話와 더불어 연구되었으며 이점에서 처용가 연구란 넓은 의미에서 설화의 연구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지금까지 연구의 성과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첫째, 역사의 설화와 과정에 대한 탐구이다. 이는 처용설화가 삼국유사에 실려 있고 또한 거기에 수록되어 있는 많은 설화가 어떤 특정한 역사적 사실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이라는 전제 위에서 이루어졌는데, 대체로 역사학의 접근이 이에 속한다. 둘째, 설화의 역사화 과정에 관한 연구이다. 이는 그 시대를 불교의 영향권으로 보는가, 아니면 무속적 세계관의 영향으로 보는가, 또는 巫佛이 합쳐지는 시대로 보는가에 따라 그 전개양상이 달라지고 있다.
셋째, 처용가를 설화의 문맥에서 독립시키고 그 미학을 추구한 연구도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들에서 처용가와 설화가 巫歌 또는 巫俗의 相觀物이라는 점에서는 대체로 긍정적인 견해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어떤 면이 무속의 어떤 성격과 관계되는가에 대해서는 해결되지 않은 점이 많다. 바꾸어 말하면 처용이 무속의 한 중심인물이 되어야 할 필연성은 무엇인가, 처용설화는 무슨 의미를 지니는가, 처용가는 무가로서의 요건을 어느 정도 갖추고 있는가라는 점에서 명쾌한 해명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처용설화와 처용가의 여러 관점을 살펴봄과 동시에 각 등장인물의 연구와 그밖의 다양한 연구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또한 가사가 전해지지 않고 있는 그 밖의 향가 작품들을 소개하여 향가가 다양한 작가계층에서 널리 애용되었음을 알아보려 한다.
참고문헌
◎ 처용가
金承璨 외, 『古典詩歌論』, (서울: 韓國放送通信大學出版部, 1987)
김열규, 이재선 공저, 『향가의 어문학적 연구』, (서강대 인문과학연구소, 1972)
신재홍, 『향가의 해석』, (서울 : 집문당, 2000)
一然 原著, 姜仁求 등 연구, 『(譯註)三國遺事』, 韓國精神文化硏究院 編. (서울 : 以會文化社, 2002)
정상균, 『한국 고대 시문학사』, (서울 : 한국문화사, 2002)
편집부 편,『(要點)古典詩歌論』, 예지각 (서울: 예지각, 1996)
홍기삼, 『향가설화문학』, (서울 : 민음사, 1997)
황패강, 『향가문학의 이론과 해석』, (서울 : 일지사, 2001)
김승찬, 「處龍說話와 그 歌謠의 硏究」, 『한국문학논총』, (한국문학회, 1981)
김영수, 「처용가 연구 재고」,『신라문화』제7집,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1990
김학성,「<처용가>와 관련설화의 생성기반과 의미 」, 『대동문화연구』, Vol.30,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95), p. 7~26
김학성,「처용 설화의 서술 구조와 [처용가]의 성격」,『문학 한글』제4호 (한글학회, 1990)
박기호,「<처용랑 망해사>조와 <처용설화>의 연구」,『한양어문』Vol.6, (한국언어문화학회, 1988)
박병동, 「처용랑 망해사조의 극본적 고찰」, 『어문연구』, 제27집 (어문연구학회, 1995)
박춘규,「<처용가>의 무격성 고찰 , 『어문연구』, 통권 제36호, 제37호 합집.l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정보, 1983)
서대석,「처용가의 무속적 고찰」,『한국학논집』,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소, 1980)
신은경, 「『處容歌』에 대한 정신분석적 검토」, 『한국시가연구』제1집, (한국시가학회, 1997)
양희철, 「향가의 주가성을 다시 생각해 본다」 『한국시가연구』, (한국시가학회, 2001)
유경환, 「처용가에 나타난 용의 상징성」, 『어문연구』통권 제99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1998)
이도흠,「처용가의 화쟁기호학적 연구」,『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고전시가론] 가사 부전 속요에 대한 일고찰
  • 가사, 시용향악보)(9) 사모곡(비연시) : 어머니의 사랑을 호미와 낫에 비유한 소박한 노래(악장가사, 시용향악보)(10) 이상곡(비연시) : 남녀상열지사로 지목된 것으로 성종 때 개작됨(악장가사)(11) 만전춘(전5연) : 남녀간의 애정을 대담 솔직하게 읊은 노래(악장가사)(12) 유구곡(비연시) : 비둘기를 좋아한다는 노래로 속칭 비두로기라고도 함(시용향악보)가사 부전 고려속요에 대한 일고찰1. 서 론고려속요가 실려 있는 주요 문헌인 『악장가사』와

  • 가사부전속요 - 속요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가사 부전 속요에 대한 일고찰, 고려 속요의 세계
  • 가사, 시용향악보)(9) 사모곡(비연시) : 어머니의 사랑을 호미와 낫에 비유한 소박한 노래(악장가사, 시용향악보)(10) 이상곡(비연시) : 남녀상열지사로 지목된 것으로 성종 때 개작됨(악장가사)(11) 만전춘(전5연) : 남녀간의 애정을 대담 솔직하게 읊은 노래(악장가사)(12) 유구곡(비연시) : 비둘기를 좋아한다는 노래로 속칭 비두로기라고도 함(시용향악보)가사 부전 고려속요에 대한 일고찰1. 서 론고려속요가 실려 있는 주요 문헌인 『악장가사』와

  • 균여전, 삼국유사를 바탕으로 규정하는 향가
  • 향가라고 볼 수 있 수 있다. 또 고려 현종과 신하들이 향가를 지어 불렀다는 를 통해서도 ‘보현십원가’이후에도 향가가 있었음을 알 수 있기 때문에 도이장가를 과도기적 시기에 접근해가는 향가로 볼 것이다. 이제 문헌 접근을 중심으로 고찰해나가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그 중에서도 최철의 ‘향가의 문학적 해석’과 성기옥 ․ 손종흠의 ‘고전시가론’을 중심으로 참고로 하였음을 밝힌다.) 문학 밖의 자료도 필요

  • [고전시가론] 악장 전반적인 이론과 작품분석 -`정도전의 악장`,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
  • 고전시가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6.신영명ㆍ김명준, 「인가 인가」, 국제어문학회, 2005.원선희, 「조선조 창작 별곡체 악장연구」,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이선자, 「용비어천가의 장르적 성격」, 『성균관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88.임종욱, 『우리의 고전시가 1』, 나무 아래 사람, 2002.조규익, 「조선조 악장의 통시적 의미」,『국제어문』, 국제어문학회, 2003.조규익, 『고전시가의 변이와 지

  • [고전시가론] 고려속요
  • 향가의 전통을 계승했다고도 볼 수 있고 후대의 가사체에 근접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국문학신강편찬위원회, 「국문학신강」, 새문사, 1985, p.83.10) 정과정(鄭瓜亭)鄭敍내 님믈 그리와 우니다니山졉동새 난 이슷요이다.아니싯며 거츠르신 아으殘月曉星이 아시리이다.넉시라도 님은  녀져라 아으벼기더시니 뉘러시니잇가過도 허믈도 千萬업소이다.힛마러신뎌읏븐뎌 아으니미 나 마 니시니잇가.아소 님하 도람 드르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