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가-제망매가와 고려가요-만전춘별사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05.06.15 / 2019.12.24
  • 16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2,0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Ⅰ. 서 론
1. 향 가
(1) 향가의 정의
1) 향찰
2) 이두
(2) 향가의 형성
(3) 향가의 문학의 특징
(4) 향가의 잔영
2.고려가요
(1) 고려가요의 개념
(2) 명칭
(3) 정착시기
(4) 형식
(5) 작자
(6) 특징
(7) 내용상 분류
(8) 고려시대의 시가


Ⅱ. 본 론
1.제망매가
(1) 작가 소개
(2) 본문
(3) 작품의 해설
(4) 작품의 해제
(5) 배경설화
(6) 내용연구
(7) 작품의 이해와 감상

2.만전춘별사
(1) 본문
(2) 작품해설
(3) 작품의 해제
(4)내용연구
(5)작품의 감상
(6)작품의 이해
(7)시어,시구 연구 및 분석

III.결론
본문내용
I.서론


1.향가
(1)정의
 향가는 신라 가요로서 우리의 문자가 없던 시대에 향찰로 표기된 노래이다.
삼국 통일 이후 신라의 고유한 문화적 성격을 한반도 전역에 확대 시키면서, 민족 문학으로서의 개성을 뚜렷이 형상화(形象化)시킨 귀중한 문학적 유산이다.
 이 양식은 신라 유리왕(琉璃王) 때의 도솔가에서 그 근원을 찾을 수 있다.
 이 시기의 향가는 민족의 노래로서 널리 향수(享受)되면서, 신라인(新羅人)들은 이 향가를 통해 그들의 슬기와 기상을 나타내었다.
 고유의 토속 신앙과 접합된 불교적 신앙을 계승한 신화적(神話的)인 세계관 속에 감정을 표백(表白)시켰다.
*좁은 의미-사뇌가(詞腦歌)로서 삼국 통일(6세기경)부터 고려 중기인 13세기까지 존재 한 문학이다.
*넓은 의미-기원전 후기부터 있었던 노래로서 중국 한시에 대한 그 때의 우리나라 가 요를 일컬은 문학이다.
이와 같이 분류할 수 있으나, 현전하는 신라 노래들은 모두 사뇌가 중심이기 때문에 향가를 곧 사뇌가(詞腦歌)라고도 일컫는다. 사뇌가라는 말은 특히 10구체의 향가를 가 리키는 말로 향가라는 한자어 명칭이 생기기 전에 이미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1)향찰(鄕札)
한자의 음(音)과 훈(訓)을 빌어서 우리말의 문장 전체를 그대로 적던 방법이다. 향가 에 사용되어 '향가식 표기'라고도 한다.
 대개 실사(實辭)는 훈차(訓借)하고 허사(虛辭)는 음차(音借)하였으며, 고유 명사는 음 과 훈을 섞어서 사용하였다.(밑줄 친 한자 : 훈독, 밑줄 없는 한자 : 음독.예문 동일)

(예)他密只 嫁良置古(타밀지가량치고) <서동요>
남 그스지 얼어두고

2)이두(吏讀)
 향찰과 비슷하나 한문을 전제로 하고 향찰식 표기를 어조(語助) 수단으로 사용하였다.
 한자의 음과 훈을 빌어, 한문을 국어의 어순(語順)으로 배열하기 위하여 주로 조사. 접미사. 부사. 동사 등에 사용하였던 문자이다.

(예)必于 七出乙 犯爲去乃 三不出有去乙
비록 칠출을 범하거나 삼불출잇거늘

(2)형성(形成)
삼국사기에 의하면 유리왕 5년 (A.D.28)에 도솔가(도率歌)가 지어진 것이 가악(歌樂)의 시초라고 하였으나, 오늘날 전해지는 신라 가요 6세기 통일 신라 이후의 것들이다. 따라 서, 신라 26대 진평왕(眞平王) 전후(6세기-7세기)부터 시작되어 고려 광종까지 계속되었 던 문학이다.
참고문헌
김자수, 만전춘별사의 문학적 우수성, 광주교육대학, 1982

김쾌덕, 고려노래 속가의 사회 배경적 연구, 국학자료원, 2001

네이버 지식검색

야후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그 뿌리는 같다(고려속요의 특징, 경기체가의 특징, 고려속요오아 경기체가의 공통점,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차이점)
  • 고려속요 중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주제중의 하나는 이별이다. 이 주제는 비단 고려속요 뿐만 아니라 고대시가의 , 와 향가의 , 등에서도 나타난 한국시가 중심적인 주제이기도 하다. 이별을 다룬 고려속요에는 대표적으로 , , , 가 있다. 주지하듯이 는 이별가의 백미이다. 다른 고려속요들과는 달리 해석의 의견이 거의 없다. 기승전결의 견고한 짜임새에 소박

  • [국문학사] 한국 문학사 전반
  • 고려 중엽에 싹이 터서 말엽에 그 정형이 확립되었다는 것이 통설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나 일부 학자들은 16세기에 이르러서야 정착된 것으로 보기도 한다.② 형성 : 무당의 노랫가락 기원설, 향가 기원설, 정읍사와 같은 6구체가 기원설, 한시를 번역하는 과정에서 생성되었다는 설, 고려 가요 기원설, 특히 만전춘 별사에 보이는 3장 형식이라는 주장 등 다양하다. 그 중 고려 강의 형태상 특징이 허물어지면서 단형화되어 새로운 문학 형식인 시조가

  • [국문학] 한국문학의 시대별 구분과 특징
  • 고려 중엽에 발생하여 고려 말엽에 완성된, 3장 6구 45자 내외로 된 우리 고유의 정형시 (2) 형성: 시조의 기원은 무당의 노랫가락, 향가, 고려 속요 등 여러 가지로 추정되나, 향가에서 기원하여 고려 속요의 분장(分章) 과정에서 형성되었으리라고 보는 견해가 지배적임. 구전민요→향가(10구체의 낙구)→고려 속요(만전춘별사)→시조Ⅲ. 근세 문학(近世文學) 1. 근세 문학 전기(조선 초∼임진왜란) ⊙ 개 관(槪觀) (1) 훈민정음의 창제는 본격적인 국문

  • [한국고전시가]안민가와 청산별곡을 통한 향가와 고려가요의 비교
  • 만전춘(滿殿春)》《가시리》등의 시가를 흔히 속요라 하고 있다. 그런데 경기체가와 속요는 형태상 분명한 공통점이 있다 하여, 고려시대의 시가를 전체적으로 포괄하여 가요나 장가라는 명칭보다는 별곡이라는 명칭이 적절하다는 견해가 있다. 즉, 신라 사람들이 자기네의 노래를 향가(鄕歌)라고 일컬은 것과 마찬가지로, 고려 사람들은 중국계(中國系)의 악부(樂府)니 악장(樂章)이니 하는 정악(正樂) 또는 아악(雅樂)에 대하여 자기네의 노래, 즉 속

  • [고전문학사] 대중가요와 고전작품의 비교
  • 가요에서부터 향가, 고려속요, 시조, 고전소설, 그리고 판소리에 이르기까지의 다수의 우리 고전문학작품들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현대 생활 속에서 가장 쉽게 사랑과 이별의 정서를 접할 수 있는 것은 가사와 선율의 결합이라는 형식을 통해 사람들에게 효과적으로 감정을 이입시키고 그만큼 넓은 수용의 폭을 가진 대중가요라고 판단되었다. 본문에서는 과거와 현재를 아우르는 인간정서의 핵심을 이루는 축으로써 작용해온 사랑과 이별이라는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