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시가론]三國遺事(삼국유사)에 나타난 新羅 社會(신라사회)의 文化(문화)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05.05.12 / 2019.12.24
  • 18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97)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2,7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하고 싶은 말
삼국유사에 나타난 문헌기록을 통하여 화백제, 귀족사회의 모습, 불교, 민간신앙, 고유신앙, 결혼제도 및 결혼생활, 놀이와 풍속, 의복, 죄와 형벌의 모습을 재구하여보았습니다.
목차
Ⅰ. 新羅 和白制
Ⅱ. 新羅 貴族 社會(三國遺事 第 1卷 紀異 第 1 四節遊宅, 辰韓)
Ⅲ. 新羅의 宗敎 - 佛敎와 固有信仰, 民間信仰
Ⅳ. 신라의 結婚 制度 및 結婚 生活
Ⅴ. 놀이와 풍속
Ⅵ. 신라 시대의 衣服
Ⅶ. 신라 시대의 罪와 刑罰
본문내용
Ⅰ. 新羅 和白制
6부의 조상들은 '위로 백성을 다스릴 군주가 없는 까닭에 백성들이 방종한다'면서 '덕있는 사람을 찾아 군주로 삼고 나라를 세워서 도읍을 두어야한다'는 내용의 회의를 한다. 즉, ③, ⑥, ⑧의 내용을 통해서 和白會議에서는 왕을 추대하고, 왕비를 정하는 등의 국가의 대사(大事)가 의논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은 구체적으로 화백회의라고 설명되지는 않지만 6명이 모여서 국사를 의논하였다는 데에서 和白會議임을 짐작할 수 있으며, 알천공이 수석(首席)에 앉았다는 것을 보아 회의를 진행하는 의장도 있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Ⅱ. 新羅 貴族 社會(三國遺事 第 1卷 紀異 第 1 四節遊宅, 辰韓)
신라 전성기에 서울 안에는 17만 8936호, 1360방(坊), 55리(里), 35금입택(金入宅)이 있었다. 여기서 금입택(金入宅)은 부유한 큰집을 뜻한다. 49대 憲康王 때를 살펴보면 四節遊宅이라는 것이 있었으며, 그 당시 서울 안에는 초가집이 하나도 없고 집의 처마와 담이 서로 닿았으며, 길에 노래소리가 가득하여 밤낮으로 끊이지 않았다고 한다. 사절유택이라는 것은 '봄·여름·가을·겨울 네 계절에 재상들이 놀이하던 별장'이었다. 즉, 憲康王 시대에는 귀족들의 사치를 보여준다. 또한 성 안에 초가집이 하나도 없다는 것을 통해 서울이 매우 번영했음을 알 수 있는 동시에 이 역시 귀족들의 사치스러움을 잘 나타내준다. 또한 귀족들은 사치 뿐 아니라 풍류를 즐기느라고 정신이 없었다. 길에 노랫소리가 가득할 뿐 아니라 그 소리가 밤낮으로 끊이지 않았다고 하는 부분에서도 알 수 있듯이 귀족들은 사치 뿐 아니라 풍류를 즐기는데 여념이 없었다.
Ⅲ. 新羅의 宗敎 - 佛敎와 固有信仰, 民間信仰
『三國遺事』의 感通편에는 부처와의 영적 감응(感應)을 이룬 일반 신도들의 영감이나 영 이(靈異) 등을 다룬 설화들이 각각 실려있다.
불교의 최고 도달 목표는 해탈 혹은 극락으로 가는 것이다. 극락으로 가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할까? 『三國遺事』 곳곳에는 불교의 해탈의 경지에 이르기 위한 수련 방법이 드러나 있다. 그 첫번째 방법이 끊임없이 염불을 외는 것이다. 郁面의 경우 승려를 따라 염불을 외기도 하며, 주인에게 벌을 받으면서도 손바닥을 뚫어서 새끼줄로 꿰는 고행을 감수하며 염불을 외고 종내에는 해탈의 경지에 이르게 된다(②∼⑤). 또한 보천의 경우 역시 수구다라니(隨求 羅尼)를 계속해서 외운다.( )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신라시대에는 남자들이 대부분 불도에 입문하였으며 끊임없이 염불을 외거나 입산을 하여 세속과의 연관을 끊고 수련을 하거나 단정한 자세를 하고 정신 수련을 하였다.
Ⅳ. 신라의 結婚 制度 및 結婚 生活
마지막으로 신라 사회에는 대를 이을 아들이 없을 경우 양자를 들일 수 있었다. 임종에게는 사자(嗣子)가 없었는데, 비형랑이 진평대왕에게 소개시킨 길달(吉達)이란 자를 그 양자로 들였다는 기록을 통해서 알 수 있다.(⑧)
『三國遺事』에 따르면, 김유신의 막내 누이 문희가 태종 춘추공과 결혼을 함으로 태종은 김유신의 매제(妹弟)가 된다.(③) 다음으로 『三國史記』에 따라 김유신의 가계도를 보면, 김유신의 아내 지소부인(智炤夫人)은 태종의 셋째 딸이다. 즉, 태종은 유신의 장인이 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유신의 입장에서 태종은 매제인 동시에 장인인 것이다. 참으로 복잡한 관계가 아닐 수 없다. 이러한 근친혼은 왕실에서 자주 일어난 것임을 알 수 있는데, 경문대왕이 동생을 아내로 택하지 않고 언니를 택한 후, 왕이 되었는데 그에 대해 범교사가 쉽게 동생을 취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하는 것으로 봐서(⑤) 언니와 동생을 비(妃)로 취하는 예가 많았던 것으로 볼 수 있다. 신라 왕들에게 아내가 여럿이 있었음은 말할 것도 없게 된다(⑤).
참고문헌
『三國遺事』 일연 著, 최호 譯 홍신문화사 1991
『三國史記』 김부식 著,
『한국복식문화사』유희경 外 교문사 1998
『한국의 복식문화』최해율 外경춘사 1993
『브리태니커 세계 대백과 사전』1994
『두산 세계 대백과 사전』1996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공무원 국어 기출문제(국가직7급,국가직9급,국회8급,경찰공무원,군무원)
  • 문화의 전통을 더욱 빛낼 수가 있는 것이다.① 민족문화 전통 계승의 정당성 ② 민족문화 전통 계승의 부당성③ 외래문화 수용의 부당성 ④ 외래문화 수용의 정당성【문 20】다음 글을 읽고, 연암 박지원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연암 박지원은 너무도 유명한 영∙정조 시대 북학파의 대표적 인물 중의 한 사람이다. 그가 지은 ‘열하일기’나 ‘방경각외전’에 실려 있는 소설이, 몰락하는 양반 사회에 대한 신랄한 풍자를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 [교양] 국어 - 혜성가, 헌화가, 제망매가
  • 하였다. 그리고 鄕歌에 담긴 내용이 우리 나라 文學과 사람들 마음에 어떤 무엇을 남겨 놓았는가를 한 번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 參 考 文 獻1. 김승찬, 「향가문학론」, 새문사, 서울 : 19862. 김준영, 「한국고전시가연구」, 형설출판사, 서울 : 19903. 백영 정병욱선생 10주기 추모논문집 간행위원회, 「한국고전시가 작품론1」,서울 : 집문당, 1992.4. 박노준, 향가, 「열화당」, 서울 : 19915. 정병욱, 「고전시가론」, 신구문화사, 서울 : 1977.

  • [고전시가] 향가
  • 고전시가론ꡕ, 신구문화사, 1979, pp.81. 한편, 김열규는 수사적 측면과 배경 기사와의 관련 아래 향가 몇 작품을 분석하여 주가(呪歌)로 규정하였다. 김열규, 향가의 문학적 연구 일반, ꡔ향가의 어문학적 연구ꡕ, 서강대 인문과학연구소, 1972, pp.12-41.말하자면, 향가의 주된 성격을 주술적이라고 본 것이다. 이와 달리, 김학성은 향가의 중심 담당층을 화랑도로 보는 관점에서 작품의 내용도 신라 고유의 풍월도와 결부시켜 이해하였다. 김학성, 향가 장르

  • 고전시가론 레포트 - 향가의 이론적 정리, 서동요, 풍요, 헌화가, 도솔가, 처용가, 우적가, 보현십원가, 도이장가
  • 고전시가론 레포트- 차 례-1. 향가의 이론적 정리 2. 서동요, 풍요, 헌화가, 도솔가 3. 처용가, 우적가, 보현십원가, 도이장가4. 모죽지랑가, 원왕생가, 원가, 제망매가 5. 혜성가, 도천수대비가, 안민가, 찬기파랑가 향가의 이론적 정리 1. 향가의 명칭과 개념향가는 신라 사람들이 즐겨 창작하고 불렀던 노래 유산을 하나의 장르로 묶어서 부르는 이름이다. 현재까지 남아 전하는 작품은 모두 26수로서, 『삼국유사』에 14수가 전하고 『균여전』에 보

  • 흥덕왕 흥덕왕 흥덕왕 신라 흥덕왕등극 흥덕왕 태조무열왕계 흥덕왕 김유신
  • 삼국유사』를 바탕으로 한 수로왕비 전래설 등이 있다.하지만 정사에 나타난 최초의 차 관련 자료는 『삼국사기』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이에 의하면, 7세기초 신라 선덕여왕(632-646) 때부터 차를 마시기 시작했다고 전한다. 또 이 기록에는 흥덕왕 3년(838) 중국 당나라에 사신으로 갔던 大廉(대렴)이 귀국길에 그곳에서 차나무 씨를 가져와 왕명으로 지리산에 심었는데, 그때부터 차 마시는 풍속이 성행했다고 전하고 있다. 중국과의 교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