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문화의 이해]무사도에 대하여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05.05.07 / 2019.12.24
  • 12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97)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2,0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하고 싶은 말
이글은
1. 鎌倉時代 武士道의 모습과 정신, 思想적인 배경
2. 江戶時代의 정책과 武士道와의 관계
3. 江戶時代 각종 武士道 敎義의 내용과 그 변천
4. 武士계급이 사라진 明治時代 이후에 武士道가 어떻게 명맥을 유지하였는가
5. 武士道 정신이 현재 일본인의 정신관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고 바람직한 방향은 어떤것인가
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武士道와 武士道의 淵源
2. 武士 계층의 발생
3. 瘡 . 江戶 . 明治時代의 武士道의 特徵

Ⅲ. 결론
본문내용
江戶時代의 신하는 평상시 정치에 참여하는 것 외에는 특별한 임무가 없었으므로 주인의 御恩으로 신하가 생활할 수 있다는 관념이 강했다. 게다가 유교가 보급되어 武士들은 農工商을 지배하는 계급으로서 무사들에게 교양 있는 행동이 요구되었다. 신하가 주인에게 奉公의 義를 다하는 것이 의무가 되었고 주인에게 경제적 보상을 받았다. 즉 자신이 속하는 藩의 영주로부터 俸祿을 받고 생활하고 있었다. 江戶時代 전반기의 일반적인 主從關係는 생활의 보장의 대가로서의 충절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 시대의 무사들은 將軍에게 직접적으로 忠節을 다한 것이 아니라 藩主 즉 자신이 속하는 藩의 大名에 대한 것이었다. 그것을 이론적으로 뒷받침하는 것이 儒敎, 즉 朱子學이었다. 朱子學의 忠節 사상으로 생활의 보장의 대가로서의 충절에 대한 이론적인 근거를 부여하였다. 때문에 賴朝 이후 鎌倉武士道와 江戶時代 전기 武士道는 충절을 바치는 대상이 전자는 將軍이고 후자는 大名이라는 차이는 있어도 생활의 보장에 대한 대가로서는 동질의 것이라고 할 수 있다. 江戶時代 전반기 將軍과 大名과의 관계는 德川家康이 全國大名들에게 영지를 분배하기는 했어도 전국대명들은 자신의 領地를 가지고 있는 領主이기도 하였으므로 그들의 관계는 힘에 의한 정복자와 피정복자의 관계였다. 막부는 大名들의 동향에 신경을 쓰면서 大名들이 뭉치는 것을 경계하였다. 家康이 유교 중심의 文敎政策을 편 것도 이러한 이유이다. 더 이상 불필요한 戰爭을 막고 武士들도 시대에 맞는 교양과 자질을 갖추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자신의 가신이었던 무사들의 충절을 형식적으로라도 장군에게 향하게 하기 위해 儒敎가 이용되었던 것이다.
士道의 측면에서 武士道 敎義의 鼻祖가 되는 사람이 山鹿素行이다. 素行은 평화의 시대에서의 武士들의 존재 이유나 가치, 그리고 그러한 가운데서 어떻게 생활해야 하는가를 진지하게 생각하고 많은 武士들을 감화시켰다. 그리고 주군에 대한 忠誠을 핵심으로 하는 武士道는 山本常朝의 "葉隱"는 "죽음에 대한 각오가 서 있지 않으면 무사도를 추구할 수 없다"라는 말로 유명하다. 주군에 대한 순수한 감정과 항상 죽음을 앞에 두고 생활하는 자세는 죽음이 진정한 무사의 삶의 전제 조건임을 가르친 것 같다.
江戶幕府가 무너지고 봉건적인 신분체제가 붕괴되면서 武士라는 사회계급이 없어지고 四民平等의 明治時代를 맞이하게 되었다. 社會階級으로서의 武士는 없어졌지만 武士道 정신은 국민 모두에게 일반화되면서 武士만의 도덕이 아니라 일본인 전체의 도덕이 되었다. 이 國民武士道는 과거 武家式士道와 다른 조정, 천황을 절대적으로 받들어 모시려는 勤皇式士道이다. 모든 국민이 하나가 되는 계기를 마련한 것으로 국민에게 武士道 정신을 알리는 계기가 된 것은 1873년 徵兵制에 의한 國民皆兵制 실시와 1872년의 軍人勅諭, 그리고 敎育勅語였다. 軍人勅諭는 충절, 예의, 무용, 신의, 질소의 덕목을 강조하여 모든 남자는 대일본제국 군인으로서 호국의 사명을 다할 것을 강조하였다. 이는 鎌倉時代 이래 약 700년 간 무사들이 실천하고, 또 생각하고 고민하면서 얻어진 武士道의 내용을 집대성하였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주요한 내용을 담고 있다. 天皇에 대한 충절은 당연한 것이고 武士道의 중심적인 내용인 武勇이나 禮義, 質素의 정신 등은  瘡時代 이래 형성된 일본 정신으로서 명치시대 이후의 국민정신의 근간이 된 것이다.
요컨대 武士道의 내용의 핵심은 충효임을 알 수 있다. 무사도가 문무양도 즉 봉건시대에서는 武技와 하나가 된 것이었으나 明治時代 이후 모든 사회분야에서 그 충효의 정신을 발휘할 수 있도록 武士道는 승화되었다. 오늘날 일본인의 상식 중에는 간접적이든 무의식적이든 무사도의 영향이 크게 자리잡고 있다. 무사도는 일본인에게 善과 惡, 正과 不正 등 제반 도덕적 관념을 가르쳐 왔던 것으로서, 일본의 봉건 제도와 무사도를 모르면 현대 일본인의 도덕관념을 이해할 수 없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빈약한 천연 자원과 협소한 국토를 가지고 오늘날 일본이 세계를 움직이는 국가의 하나로 발돋움할 수 있게 된 원동력은 무사도 정신임에 틀림없다. 또한 비인간화와 윤리 도덕이 붕괴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이를 회복하는 데에 武士道가 발휘할 수 있는 힘의 가능성은 적지 않다고 본다. '죽음의 각오'에 대한 무사의 결연함, 미련없이 자신을 희생할 수 있는 자세 등은 다른 인간 관계의 장에서도 모양을 달리하면서 바람직한 生의 자세로서 요구되어지는 것이다. 가장 진보된 사상을 가진 현대의 일본인이라 할지라도 거기에는 '사무라이'가 존재하고 있다. 일본인의 명예와 용기, 그리고 모든 무덕의 유산은 선조의 것임과 동시에 현대 일본인의 것이며 아울러 일본인 후손의 것으로 영원한 정신적 유산인 것이다. 현대 일본인의 민족성과 도덕 그리고 철학 속에 무사도는 융해되어 존재하며, 일본인이 일본인인 이상 영원히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세계문화와 정원 -일본정원
  • 문화예술, 건축예술 등에 관한 지식과 여러 가지 사상을 내면에 포함하고 있는 종합예술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일본 정원과 중국 정원의 차이는 역사발전의 다른 단계에서 서로 구별되는 특징을 나타낸 것이며, 당시의 사회적, 문화적 배경과 사상 내용을 반영한 결과로 이해할 수 있다.이러한 맥락에서 본 콜롯키움은 일본 정원 고유의 특성을 중심으로 양국 정원문화의 특성에 대하여 비교,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일본 정원의 성립배경■ 자

  • [일본예술] 자포니즘(Japonisme)을 기반으로 한 일본예술의 매력
  • 일본의 경우는 ‘게이샤(芸者)’와 ‘사무라이(侍)의 무사도(武士道)’ 정도가 아닐까. 이렇듯 각 나라와 그 문화에는 정형화된 어떠한 이미지가 존재한다. 그것은 그 문화를 접하는 개개인의 수만큼 존재할 수 있는 아주 추상적인 것인 동시에, 분명히 어느 누군가에게 영향력을 미치며 존재하는 그 나라의 확고한 정체성이 된다. 때문에 자국의 문화를 발전시키고 알고자하는 노력이 중요시된다. 또한 그 이상으로 타국의 문화를 접하고 이해하려는

  • [무사도]일본의 무사도 개념과 현대적 의의
  • 일본을 똑바로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일본의 무사계급에 대한 철저한 탐구는 바로 일본을 제대로 이해하는데 커다란 도움이 된다. 흔히 일본의 문화는 칼의 문화, 즉 사무라이 문화로 대표된다고 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일본문화가 중국과 한국으로부터 전래되었다는 이유로 사무라이들의 칼의 문화 역시 중국과 한국의 지대한 영향을 받았다고 주장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일본의 사무라이 문화, 즉 무사도 문화는 자신들의 역사적, 문화적 토양

  • 일본의 사생관 일본 죽음 미화 일본 대가 죽음 일본 자살 신쥬 정의 일본 할복
  • 일본 문화에서 나타나는 신쥬 문화가 다른 만큼 타국의 문화를 모두 이해할 수는 없지만, 일본의 자살에 관한 이야기는 언제나 생소하고, 가슴으로 잘 이해가 되지 않는다. 당사자들에게는 어디까지나 중대한 생의 마지막 선택이었겠지만, 남이 보기에는 (적어도 한국인인 내가 보기에는) 조금은 경솔하고 가벼워 보이는 죽음이 많은 것도 사실이다. 학급 아이들에게 이지메를 당한다고 해서 스스로 할복 자살을 기도했던 그러니까 당신도 살아라는

  • 사무라이 무사의 형성 무사도 일본
  • 무사도 많았다고 한다. 특히, 무사시(武藏)의 가나자와(金澤)에 도서관을 건립한 호죠(北條)씨 일문의 명성은 높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무사도란 무사가 없이는 설명하기 힘들다. 日本史에서 무사가 두드러지기 시작한 것은 가마쿠라시대부터이다. 그 후 메이지유신까지 일본은 무사의 나라였다. 이것이 시사해 주는 점은 일본이 칼을 찬 무사의 나라라는 점이다. 일본과 중국, 우리나라 등을 비롯한 소위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이만큼 독특한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