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학] 월명사와 충담사의 향가와 신라사회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05.02.03 / 2019.12.24
  • 11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97)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2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본문내용
1. 향가
(1) 정의 - 향찰문자로 표기한 신라 시대의 노래
(2) 형식 - ① 4구체(4수), ② 8구체(2수), ③ 10구체 (19수, 詞腦歌)
(3) 내용 - 불교적, 주술적(呪術的)인 것이 많다.
※ 대부분의 향가들이 '위기 극복, 치병, 적의 퇴치, 축사(逐邪)' 등을 위해 창작됨 - 향가의 '주술적' 효력을 전제로 함
(4) 현전 작품 - 《삼국유사 》에 14 수, 《균여전》에 11수가 전함

다음은 월명사와 충담사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월명사는 신라의 명승이자 향가를 지은 작가였습니다.
문인으로. 경덕왕때에(760년) 4월 해가 둘이 나타나서 열흘이 지나도록 사라지지 않는 일이 있었습니다. 왕이 월명사를 불러 이 괴상한 재난을 없애기 위해 향가인 도솔가(兜率歌)를 지어서 읊으며 북을 들고 재앙은 물러가라고 빌자 괴상한 재난이 사라졌다 합니다.
또 죽은 누이를 위해 제망매가(祭亡妹歌)를 지어 부름으로써 그 영혼을 달랬다고 합니다.
피리를 잘 불었다고 하며, 사천왕사(四天王寺)에 있을 때 달밤에 피리를 불면 달마저 그 소리에 가기를 멈추어 그 길을 월명리(月明里)라 하였다고 전합니다.

충담사는 통일신라 때의 승려입니다.
그가 지은 향가로는 안민가(安民歌)와 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가 있습니다. 경덕왕이 왕위에 오른 지 24년 되는 3월 3일, 여느해처럼 경주 남산의 미륵세존(彌勒世尊)에게 차[茶] 공양을 하고 돌아오는 것을 왕이 귀정문루(歸正門樓)에서 굽어보시고 그를 불러, 왕을 위하여 《안민가》를 지어달라고 하자, 왕에게 이상한 향기가 풍기는 차를 끓여 올리고 즉석에서 ꡒ임금답게, 신하답게, 백성답게 할지면, 나라는 태평할지니라ꡓ는 요지의 노래를 지어 바쳤다. 왕이 찬탄하여 그를 왕사(王師)로 봉하였으나, 굳이 사양하고 받지 않았다.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고전시가] 향가에 대해서
  • 1. 향가의 의미향가란 말의 본래 뜻은 우리나라 풍의 모든 노래를 일컫는 범칭이다. 그러나 시간적으로 속악, 향약, 시조, 가사, 신체시, 현대시 등의 우리말 시를 모두 향가라 말할 수 없거니와, 공간적으로도 우리말 시를 모두 향가라 지칭한 기록도 없고, 상고 사회, 고구려, 백제, 조선, 한국의 우리말 시들을 모두 향가라 부를 수 없는 것이 사실이다. 그리하여 학술적 용어로서 향가는 우리나라 최초의 정형시로서 삼국시대 말엽에 발생하여 신라의

  • [고전] 삼국유사
  • 한국의 반만년 역사를 내세울 수 있게 하고, 단군신화는 단군을 국조로 받드는 근거를 제시하여 주는 기록인 것이다. 그 밖에도 많은 전설 신화가 수록된 설화문학서라고도 일컬을 만하며, 특히 향찰로 표기된 《혜성가》 등 14수의 신라 향가가 실려 있어 《균여전》에 수록된 11수와 함께 현재까지 전하는 향가의 전부를 이루고 있어 한국 고대 문학사의 실증에 있어서도 절대적인 가치를 지닌다. 《삼국유사》의 저술은 저자가 사관이 아닌 일개 승

  • [국어국문학] 삼국시대 문학의 특징
  • 문학 본질성의 구비, 춘향전의 근원설화로 박종화의 아랑의 정조(貞操)와 관련이 깊다. 또 《도미처설화》는 백제 개루왕(蓋婁王)과 관련된 설화라고도 한다. 이야기의 극적 구성을 통해 흥미와 교훈(烈을 존중하는 도덕관)을 보여줌으로 해서 문학의 본질적 요소를 구비했다고 볼 수 있다. 삼국사기에 실려있다.(5). 《제 망매가(祭亡妹歌)》 《제 망매가》는 월명사 (月明師)가 지은 10구체 향가로 정형시이다. 죽은 누이를 추모하는 추도가(追悼歌)

  • [국문학사] 서정시 형식의 완성과 향가
  • 신라 유리왕(儒理王, 재위 24~57) 때의 「도솔가」이다. 도솔가는 ‘차사사뇌격’ 조동일의 한국문학통사에서는 ‘차사’를 감탄구라고 한다면, 감탄구를 갖춘 이른바 10구체 또는 다섯 줄 형식의 사뇌가가 그 때 이미 생겨났다고 할 수 있겠으나 과연 그랬을까하는 의문을 가진다. 을 갖추고 있었다는 기록으로 보아 양식화되어 본격적으로 창작되었던 시가 형태로 추정되나 구체적인 모습은 확인되지 않고 있다. 다음으로 주목해 볼 수 있는 것은 향가

  • 한국고전 문학사 향가에 대해서
  • 한국고전 문학사향가에 대해서 과제) 향가 혹은 사뇌가의 성격에 대해서는 대체로 其意甚高, 詞淸句麗, 意精於詞 故云腦, 羅人尙鄕歌者尙矣 蓋詩訟之類歟 故往往能感動天地鬼神者非一, 夫詞腦者 世人戱樂之具라는 몇가지 용어를 근거로 하여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용어들의 정확한 개념에 대해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가의 성격을 밝힌 뒤, 그 성격을 현전 향가 25수 혹은 26수에 적용하여 설명하시오.1. 서론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향가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