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치원의 생애 및 사상과 문학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4.12.03 / 2019.12.24
  • 30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2,5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1. 서론
2. 최치원의 생애·사상
1) 최치원의 생애 및 문학세계
2) 최치원의 종교관
3. 최치원의 운문 세계
1) 자신의 위치, 신세 한탄
(1) 陳情上太尉詩(진정상태위시) 생각을 펴 태위께 올림
(2) 蜀葵花(촉규화) 접시꽃
(3) 杜鵑(두견) 진달래
2) 당대 사회의 모습을 바라보는 눈 - 환멸과 결단
(1) 江南女(강남녀) 강남의 여인
(2) 古意(고의) 옛 뜻
(3) 寓興(우흥) 흥을 구실삼아
(4) 野燒(야소) 들불
3) 자연으로의 도피
(1) 黃山江臨鏡臺(황산강임경대) 황산강 임경대에서
(2) 題伽倻山讀書堂(제가야산독서당) 가야산 독서당에서 쓰다
(3) 入山詩(입산시) 산에 들어가며
(4) 鄕樂雜詠(향악잡영)
4. 최치원의 산문 세계
1)『사산비명』
(1) 초월산대숭복사비명(初月山大崇福寺碑銘)
(2) 지리산쌍계사진감선사비명(智異山雙溪寺眞鑑禪師大空靈碑銘)
(3) 숭암산성주사대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명(崇嚴山聖住寺大朗慧和尙白月葆光塔碑銘)
(4) 희양산봉암사지증대사적조탑비명(曦陽山鳳巖寺智證大師寂照塔碑銘)
2) 계원필경집(桂苑筆耕集)
(1)『계원필경집』의 구성
(2) 격황소서(檄黃巢西)
(3) 사허귀근계(謝許歸覲啓)
(4) 사가태위표(謝加太慰表)
(5) 금주자사 고축
(6)『계원필경』의 문학사적 의의
5. 나말여초 육두품 문인들
6. 최치원 문학의 평가와 문학사적 위치
7. 교과서에서 만나는 최치원
8. 결론
9.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어느 시대든 정치적·사회적으로 새로이 역사적 ‘전환기’를 맞이하는 시점에서 그 시대를 살아가는 지식인들이라면 나름대로의 고뇌와 책임을 안고 살아가기 마련이다. ‘나말여초’의 역사적 전환기 속에서 육두품이라는 신분적 제약으로 자신의 원대한 포부를 펼 기회조차 없었던 최치원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이런 육두품의 한계와 갈등은 한편으로는 최치원 성장의 주요한 밑거름이었음을 부인할 수는 없다. 사회현실의 문제를 날카롭게 드러내면서 문학적 역량을 키울 수 있었기 때문이다.
최치원이 지은 글은 아주 많다. 지금까지 남은 것만 해도, 스스로 엮어서 귀국하자 헌강왕에게 바쳤다는 󰡔계원필경집󰡕, 「사산비명」이라고 하는 네 승려를 위한 비문, 여기저기 실리거나 인용되어 있는 작품이 다수가 있다. 󰡔동문선󰡕을 보면 거기 실린 신라인의 작품이 모두 192편인데 그 가운데 최치원의 것이 146편이나 된다. 질뿐만 아니라 양에서도 대단한 경지에 이르러 ‘동국문종(東國文宗)’이라는 평가가 헛되지 않다.
따라서 지금부터는 최치원의 생애와 사상을 토대로, 실제 교과서에 수록된 고운의 작품과 그 이외에 그의 저서에 나와 있는 작품들을 중심으로 그의 시세계와 산문세계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최치원 작품의 문학사적 의의와 그에 대한 후대의 평가를 고찰해보고자 한다.


2. 최치원의 생애·사상

1) 최치원의 생애 및 문학세계

최치원은 857년 경주에서 태어났다. 그는 최씨 가문 중에서도 이른바 ‘신라 말기 3최(崔)’의 한 사람으로서, 새로 성장하는 6두품출신의 지식인 중 가장 대표적인 인물이었다. 원래 신라사회에서 육두품은 그 지위가 성골·진골보다 하위계층이긴 했으나, 본질적으로는 중앙귀족의 한 핵을 이루고 있었다. 그런데 신라 하대로 가면서 이들은 점점 정치적 ‘타자’가 되기에 이르렀고, 그에 따라 한문학 글쓰기를 통해 문학 재능을 발휘하고자 하였다. 이때 육두품 문인들은 자신의 처세와 한문학 글쓰기를 통해서 크게 두 가지 행태를 드러내는데, 하나는 신라 골품제의 모순과 사회 현실을 비판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아예 현실을 등지고 은둔하는 것이다. 이 중 후자가 바로 최치원이다.
최치원의 생애를 일반적으로 재당기(在唐期), 환국사환기(還國仕宦期), 탈속기(脫俗期)로 구분한다.
참고문헌
고운국제교유사업회 편, 󰡔고운 최치원의 철학·종교사상󰡕, 문사철, 2009
김지견, 「崔致遠의 三敎思想」, 원광대학교종교문제연구소, 1993
문상기, 「崔致遠의 儒敎思想」, 동양학문학회, 1998
민족문학사연구소, 󰡔새 민족문학사 강좌 01󰡕, 창비, 2009
박종근, 「최치원의 정치이념과 종교관」, 역사교육학회, 1982
이구의, 󰡔최고운문학연구󰡕, 아세아문화사, 2005
조동일, 󰡔제4판 한국문학통사 1󰡕, 지식산업사, 2005
최유진, 「崔致遠의 佛敎思想」, 경남대학교박물관가라문화연구소, 1994
네이버 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cid=1590&docId=578593&mobile&categoryId=1590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서거정 과정 도전의 문학관
  • 문학을 대변할 수 있는 것이 문학을 심성수양의 수단으로 보는 도덕주의 문학이었음. 사대부의 과거등용과 관료진출 후에는 문학을 심성수양의 수단으로 보는 성리학자적인 학문의 영역으로 돌아가기 어려움. ? 관료생활의 특성과 관료문인들의 사장학적 풍토의 영향으로 사장에 치중하여 사장배격론에 맞서 사장옹호론을 펴게 됨. 그러나 사림파의 문학이론에 정면으로 대항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가 약한 사상적 빈곤에 머물게 됨. ? 퇴계․율곡시

  • 최치원의 사산비명 연구
  • 최치원이 사산비명을 짓게 된 배경과 사산비명의 찬술과정에 대해 논할 것이다. 또한 그것이 담고 있는 내용과 문체적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사산비명이 가지는 문학적 특징을 확인할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최치원이 중국의 모화사상에 빠져 있다는 왜곡된 평가에 대해 반론의 여지를 남겨두는 것으로 논의를 마무리하고자 한다. 2. 崔致遠의 삶과 四山碑銘1) 崔致遠의 삶최치원의 생애는 명확하지 않다. 따라서 『三國史記』 列傳 崔致遠條 및 관련

  • 서거정 인물분석
  • 잃었다.” 하였다. 서 거정은 그릇이 좁아서 사람을 용납하는 量이 없고, 또 일찍이 후생을 장려해 기른 것이 없으니, 세상에서 이로써 작게 여겼다. - 끝 - 참고문헌김찬순 역, 『동인시화』, 한국문화사, 1996.김풍기 저, 『朝鮮傳記文學論硏究』, 太學社, 1996.박성규 역, 『동인시화』, 集文堂, 1998.이종묵 외 3인 공저, 『서거정 문학의 종합적 검토』,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8.이현재 발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9.

  • [국문학]최치원의 삶과 문학
  • 최치원은 자유자재로 구사하면서 인물과 역사를 서술하고, 자기의 사상을 마음껏 피력했다. 그리고 격황소서(檄黃巢書)는 그 때의 효용성에서나 후대적인 평가에서 언제나 거론의 대상이 될 정도로 높은 가치를 인정받았다.이러한 최치원의 문학적인 업적에 대하여 이인로(李仁老)는 파한집(破閑集)에서 중국에서 아름다운 이름을 나타낸 이로는 최학사(崔學士) 고운(孤雲)이 앞에서 선창(先唱)하였다라고 찬미했다. 그리고 이규보(李奎報)는 백운소

  • [고전작가론]매월당 김시습
  • 볼 때, 바로 이 점에서 금오신화가 소설이 될 수 있는 근거가 되겠다.참고문헌1. 『새로쓰는 조선인물 실록3』, 소준섭, 자작나무, 19972. 『한국문학사의 시각』, 임영택, 창작과비평사, 19913. 『한국문학작가론2』, 황패강 외 공저, 집문당, 20004. 『한국문학통사』, 조 동일, 지식산업사, 19945. 『매월당김시습 작품집』, 이운기펴냄, 해누리, 19946. 『이야기 국문학사』, 장덕순, 세문당, 20017. 『한국한문학연구』, 동국대학교 한국한문학연구소, 1998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