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강호사시사와 훈민가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03.11.30 / 2019.12.24
  • 7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97)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7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고전문학(강호사시사,훈민가)
강호사시사 - 맹사성
-원문

강호사시사에 대해서....

강호사시사의 이해와 감상

훈민가(訓民歌)
-원문

훈민가에 대해서....

본문내용
최초의 연시조라는 점에서 국문학사상의 의의를 가지는 이 노래는 강호에서 자연을 즐기며 임금의 은혜를 잊지 않고 있어. 고려 말에서 조선 초에 이르던 때의 시조풍이던 충의 사상(忠義思想)이 잘 나타나 있다. 春 夏 秋 冬 계절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의연하게 존재하는 조화로움은 앞에서 살펴 본 것처럼 구성상 특징에서 기인한다고 하겠으나. '亦'이란 표현에서 더욱 돋보인다고 하겠다. '亦'이란 '전에나 다름없이'라는 의미를 간직하는 것으로 시적 자아는 강호에서 한가롭게 자연을 즐기기 전에도 임금의 은혜를 입었음을 알 수 있다.
한마디로. 안분지족하는 은사(隱士)의 유유자적(悠悠自適)한 생활과. 비록 은둔하여 있으나 임금을 향한 충의(忠義)의 정신을 잊지 않고 있는 유학자의 모습을 볼 수 있다.



훈민가(訓民歌)

1. 부의모자(父義母慈)
아바님 날 낳으시고 어마님 날 기르시니
두 분 곳 아니면 이 몸이 살아시랴
하날 같은 은덕을 어디다혀 갚사올고

2. 군신유의(君臣有義)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대학국어 요약 총정리
  • 사시 집안 옛 풍광 그마저 남아있어長敎詩客 精神(장교시객상정신) 시인에게 길이길이 회고의 정 젖게 하네해설: 이 작품은 중국에서 지은 시로 세상에 대한 시인의 생각을 잘 읽을 수 있다.역시 중국에서 지은 중국역사에 대한 회고의 정을 읊은 작품으로 ‘율시’ 이다.※율시의 특징8개의 句 구조. 기, 승, 전, 결로 나눌 때는 2구씩 묶여 나눈다. ․승, 전 구는 대구의 법칙에 맞추어 지어지지 않으면 안 된다.①기: 1, 2구는 작품의 시상을 일으키

  • 위대한 한국의 위인들A+
  • 사시에 합격하여 사옹원 봉사,한성부 참군,공조 좌랑,상주 목사 등을 지냈다. 덕망이 높고 문장이 뛰어났으며, 당쟁이 심하였던 때에 판단을 공정히 하여 많은 사람들이 그를 찾아 의견을 들었다. 그의 저서 신림경제 는 농예,의약,구황에 관한 저서로 18세기 이후 새로운 농서 발간에 큰 기여를 하였다. 유형원과 동시대의 인물로서 주자학에 반기를 들고 실용 후생의 학풍을 일으켜 실학 발전에 선구적 역할을 하였다. 유중림,서유구 등의 학자에게

  • [문학] 한국문학과 자연
  • 통해 고전에 나타난 자연의식이 현대의 우리들에게 많은 시사점과 자아성찰의 계기를 만들어 줄 때 고전은 새로운 텍스트로 존재하게 될 것이다. http://seoul2.seoul-gchs.seoul.kr/~eunhana/ 한국 사전 연구사, 국어 국문학 자료 사전http://songkw.com.ne.kr/sijo/ss1-1.htm성기옥(2002), 도산십이곡의 구조와 의미, 한국 시가연구정재호(1996), 도산십이곡의 구조, 민족문화연구한국문학작가론3/황패강/집문당 (2000)고전시가론/김학성, 권두환/새문사(2002)

  • 조선 전후기 시조의 양상과 특징
  • 국문학통사』3 (제 3판, 지식산업사, 1994), pp. 289~323 참조.1) 사대부 시조의 재정비시조는 이미 조선전기에 사대부문학으로 확고하게 자리를 잡고, 완성된 경지에 이르렀다 하겠으며, 다만 정신적 자세를 구현하는 방식에서 변이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시조는 물러나 강호에 은거한다고 자처할 때 정신적 위안을 얻게 하는 것을 가장 두드러진 구실로 하며, 임금을 생각하고 나라를 근심하고 윤리적 교화를 펴고자 하는 의지도 감당해야만 되었다. 조선

  • 조선 전후기시조의 양상과 특징
  • 국문학사의 쟁점』(집문당, 1986)․ 조동일, 『한국문학통사』2, 3 (제 3판, 지식산업사, 1994)․ 이정자, ‘시조문학의 시대구분과 그 명칭에 대한 재조명’․ 박애경, ‘조선 초기 시가사의 구도’, 『열상고전연구』 제 13집․ 박애경, ‘조선 후기 시조와 통속성’, 『연세어문학』제 30․31호 합집․ 박애경, ‘조선 후기 시가사의 통향과 시조의 통속화’, 『목원어문학』제 16집․ 나정순, ‘19C 시조의 성격과 그 의미’, 『이화어문논집』제 10집 (19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