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보상절 형태소 분석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3.03.29 / 2019.12.24
  • 11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7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본문내용

威嚴과 德득괘 自在야 無뭉量 百千쳔 有情을
위엄과 득과 자재하여 무량 백천 유정을

<형태소 분석>
· 德득괘 : 德득 + 과(공동격 조사) + ㅣ(주격 조사)
- 현대국어의 접속 조사 ‘과/와’는 ‘소와 말이’처럼 끝의 체언에 바로 격조사가 붙는 데 대하여 중세국어에서는 끝의 체언에 접속 조사가 붙고 여기에 격조사가 붙는다.

十씹善쎤으로 便뼌安킈 리도 이시며
십선으로 편안하게 할 이도 있으며

<형태소 분석>
· 便뼌安킈 : 便뼌安 +  + 긔(보조적 연결어미)
- 보조적 연결어미 ‘-긔’와 ‘-게’는 수의로 교체되었다
· 리도 :  + ㄹ(관형사형 어미) ∨ 이(의존 명사) + 도(보조사)
· 이시며 : 이시 + 며(연결 어미)


협)十씹善쎤은 十씹惡 아니씨라
십선은 십악을 아니 한다는 것이다

<형태소 분석>
· 아니씨라 : 아니 +  + ㄹ(관형사형 어미) ∨  (의존 명사) + ㅣ(서술격 조사) + 라(종결 어미)


刹帝뎡利링 婆빵羅랑門몬 居겅士 큰 지븨 나아
찰제리 바라문 거사가 큰 집에 나아

<형태소 분석>
· 居겅士 : 居겅士 +ᄋᆡ(관형격 조사)
· 지븨 : 집 + 의(부사격 조사)
- ‘의’는 양성모음 아래에서 ‘’로 실현되기도 하는데 관형격 조사와 형태가 같다.‘/의’다음에 명사가 오면 관형격, 동사가 오면 부사격으로 구별된다.


협)刹帝뎡利링 田편地띵 님자히라 논 마리니 王ㄱ姓이라
찰제리는 전지의 임자이다 하는 말이니 왕성이다

<형태소 분석>
· 님자히라 : 님자ㅎ + 이(서술격조사) + 다(←라) (종결어미)
· 논 :  +  (직설법 선어말어미) + 오(대상 활용 선어말어미) + ㄴ(관형사형 전성 어미)
· 王ㄱ姓이라 : 王 + ㄱ(사잇소리) 姓 + 이(서술격 조사) + 다(←라)(종결 어미)


劫겁 처믜 사미 마 먹다가 漸쪔漸쪔 粳米몡 머근 後에
겁 처음에 사람이 흙음식을 먹다가 점점 멥쌀 먹은 후에

<형태소 분석>
· 마 : ㅎ + ㅅ(관형격 조사) 맛 +  (목적격 조사)


사 디 漸쪔漸쪔 거츠러 제여곰 바 홀
사람의 뜻이 점점 거칠어 제각기 밭을 나누므로

<형태소 분석>
· 거츠러 : 거츨 + 어(연결 어미)
· 제여곰 :‘제가끔’의 옛말, 제각기 (더 분석??)
· 홀 : 호 + ㄹ(연결 어미)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훈민정음의 표기법
  • 석보상절>의 한자음 표기는 모두 이를 표준으로 삼았는데, 이를 ‘동국정운식 한자음’이라고 한다. 이는 현실에서 통용됟던 실제 한자 발음과는 거리가 먼 이상적인 한자음이므로, 세조 이후(1485)에는 쓰이지 않았다.② 대표적 용례ㄱ. 성음법에 따라 초성, 중성, 종성을 반드시 갖추기 위해, 음가가 없는 ‘ㅇ’이나 ‘ㅱ’을 받침자로 쓰는 경우. 예) 虛헝, 世솅, 步, 斗ㄴ. 중국 원음에 가까운 이상적 표기를

  • [국어형태론] 선어말어미 `-느-`에 대해서
  • 형태소로 기술하는 것(2) -느-의 일부만 하나의 형태소로 기술하는 것(3) -느- 모두를 하나의 형태소로 기술하는 것여기서 (1)을 종합적 입장, (3)을 분석적 입장이라 한다면, (2)는 그 중도로서 어떤 -느-는 분석을 하고 다른 -느-는 분석이 불가능한 것으로 보는 절충적 입장이라 할 수 있다. 종합적 입장은 별다른 탐색 없이 -느-를 후행요소와 합하여 하나의 형태소로 기술하는 태도와 -느-를 분석하는 서술과 분석을 하지 않는 서술의 장단점을

  • 국어 -분석 분류 생성 문장의 분석- 김기현
  • 국어 -분석 분류 생성- 김기현 지음목차1. 안간과 언어1.1. 언어는 애 연구하는가? / 41.2. 언어 연구의 대상과 대상화 / 51.3. 언어(국어)를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 /52.1 문장의 분석 / 62.1.1. 언어 연구의 중심 대상으로서 문장 / 62.1.2. 문장의 구조와 분석 / 72.1.3. 논항과 격 /112.2. 단어의 분석 / 132.2.1. 단어의 구조와 유형 / 132.2.2. 합성어 / 142.2.3. 파생어 / 162.3 형태소 분석 / 172.3.1. 형태소 분석의 한계 / 172.3.2. 형태소와 대표형태 / 172.3.3. 조사와 어미

  • 국어 방점과 성조에 대하여
  • 석보상절(1449), 월인천강지곡(1449) 등에는 비교적 엄격히 지켜졌던 방점표기의 질서가 반약심경언해(1464), 원각경언해(1465)부터 변하기 시작하고 두시언해(1481)나 금강경언해(1482)에 이르면 그 변화가 뚜렷해진다. 一音節體言에 일음절 격어미가 이어지면 去去로 표기되던 방점이 두시언해에 이르면 去平으로 변하는 경향이 있다. 즉, 비츤(光), 므른(水)등과 같이 去平으로 표기되고 있다. 한편 上去로 표기되던 말이 두시언해에서는 나, 시레 등은 上平

  • [중세국어] 석보상절 제 9 10a-12b
  • 1) 이셔도 : 이시+어도(연결어미) 2) 如來ㅅ : 如來 + ㅅ(관형격조사)즉자히 즉자히 : 즉시뎌셔 업서 도로 人間간애 나아 惡趣츙의 受苦콩해석 : 즉시 저에서(저승에서) 없어져 도로 인간에 나아 악취의 수고강규선황경수, 『중세국어문법론』, 청운, 2003.고영근, 『표준중세국어문법론』, 집문당, 2010.김석득, 『역주 석보상절』,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1안병희, 『중세국어문법론』, 두산동아, 1999.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