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의 근본교학 조사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3.03.20 / 2019.12.24
  • 12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7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1.서론 - 붓다의 생애 및 사상
2.본론 - 근본 교학의 6가지 개념들
-연기법
-삼법인
-사성제
-일체법
-업
-윤회
3.결론
4.참고문헌
본문내용
서론 - 붓다의 생애 및 사상

호칭
석가모니(釋迦牟尼 · Sakyamuni: 기원전 624?~544?) 는 불교의 교조이다. 샤카족의 성자라는 의미에서 "샤카무니"또는 한자 음차인 석가모니(釋迦牟尼)라고 불리고, 줄여서 "샤카"또는 한자 음차인 석가(釋迦)라고도 한다. 다른 호칭으로는 세존 · 석존 · 불 · 여래 등의 10가지의 존칭이 있으며, 이것은 모두 깨달음을 성취한 존재를 칭한다. 아명은 싯다르타 고타마(Siddhārtha Gautama, 悉達多 喬達摩)로 "고타마"는 성이며 "싯다르타"는 이름으로, 고타마 싯다르타라고 하기도 한다. 성(姓)인 "고타마"에 깨달음을 성취한 존재라는 뜻의 "붓다(불 · 부처)"를 더하여 고타마 붓다(Gautama Buddha)라고 하기도 한다.


생애와 사상
기원전 6세기경, 현재의 네팔 남부와 인도의 국경 부근에 샤카 족의 작은 나라에서 고타마 싯다르타는 왕자로 태어났다. 생후 7일에 어머니 마야 부인과 사별한 후 그는 이모에 의하여 양육되었는데, 왕족의 교양에 필요한 학문·기예를 배우며 성장하였다. 그리고 당시의 풍습에 따라 16세에 결혼도 하였다. 궁전 안의 안락함이 모든 인간의 생활인 줄 알면서 행복한 생활을 보내던 어느 날 궁전을 나와 밭갈이 하는 농부를 보고 인간들이 수고해야 삶을 영위할 수 있다는 인간 사회의 고통을 깨달았다. 그리고 새에게 잡혀 먹히는 벌레를 보고 큰 충격을 받았다. 그는 또, 쇠약한 노인을 보고 인생의 무상함을 느꼈으며, 나서 병들어 신음하게 되고 죽어야 하는 생로병사의 운명에 슬픔을 금치 못하였다. 이것은 사문유관이라고 오늘날 불리는 사건이다. 이같이 석가모니는 인생의 밑바닥에 잠겨 있는 괴로움의 문제와 직면하게 된다. 사문유관을 계기로 석가모니는 29세 때 고(苦)의 본질 추구와 해탈(解脫)을 구하고자, 처자와 왕자의 지위 등 모든 것을 버리고 출가하였다.
이후 2명의 선인(仙人)을 차례로 찾아, 선정(禪定)에 대해 배웠지만, 그것은 일종의 정신통일에 의하여 하늘에 태어나 보려는 것으로, 석가모니는 그들의 방법으로써는 생사의 괴로움을 해탈할 수 없다고 깨닫고 그들을 떠나 부다가야 부근의 산림으로 들어갔다.
여기에서 그는 당시의 출가자의 풍습이었던 고행(苦行)에 전념하였으나, 신체가 해골처럼 되었어도 해탈을 이룰 수는 없었다. 그는 6년간의 고행 끝에 고행을 중단하고, 다시 보리수(菩提樹) 아래에 자리 잡고 깊은 사색에 정진하여 마침내 깨달음을 얻었다. 그 깨달음의 내용에 대하여 《아함경(阿含經)》에는 여러 가지로 설명하고 있다. 사성제(四聖諦:苦·集·滅·道의 4가지 진리, 즉 현상계의 괴로움과 그 원인 및 열반과 그에 이르는 길)·십이인연(十二因緣)등을 깨달았다는 것이 그것이다. 그의 깨달음은 여러 가지로 나타나지만 결국 핵심은 연기법으로 통한다. 이는 뒤에서 자세히 다룰 예정이다.
이후 이 지혜가 진리를 깨달아 진리와 일체가 되어 확고부동하게 되었는데, 공포에도 고통에도, 나아가서는 애욕에도 산란을 일으키지 않는 부동(不動)의 깨달음이라 할 것이다. 이것은 마음이 번뇌의 속박에서 해방된 상태이기 때문에 해탈(解脫:moka)이라고 하며, 이 해탈한 마음에 의하여 깨우쳐진 진리를 열반(涅槃:nirvāa)이라고 한다. 현대적 의미에서의 해탈은 참 자유, 열반은 참 평화라고 할 수 있다.
이후 석가모니는 베나레스 교외의 녹야원(鹿野苑)에서, 일찍이 고행을 같이 하였던 5명의 수행자에게 고락의 양 극단을 떠난 중도(中道)와 사제에 관하여 설하였다. 이것을 특히 초전법륜(初轉法輪)이라고 하는데, 그들은 모두 법을 깨달아 제자가 되었다. 여기에 최초의 불교 교단(僧伽)이 성립되었다. 그 후 석가모니는 적극적으로 설법을 계속하여, 제자의 수도 점차 증가하였으며, 각지에 교단이 조직되었다.
참고문헌
『맛지마 니까야』, 제1권, 전재성(역주), 한국빠알리성전협회, 2002
종교학대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임은희, 초기 불교의 연기설에 대한 연구, 군산대학교대학원석사논문, 2008
오강남 지음, 불교, 이웃종교로 읽다, 현암사, 2006
불교성전, 석해운 옮김, 현암사, 1996
미산, 미산스님초기경전강의, 명진출판, 2010
아미산 블로그 : http://blog.daum.net/511-33/12369663
유홍준,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6 : 인생도처유상수, 창비, 2011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신라중대의 불교
  • 조사당을 비롯해서 석등, 석탑, 본존불상과 조사당의 벽화 및 석조여래상 등 다수의 문화재를 보존하고 있는 국보 사찰이다. 의상으로부터 시작된 화엄종은 크게 발달하여 신라 불교의 금자탑을 이루었고 3천명에 이르는 제자를 두었다. 화엄사상은 한마디로 표현하기가 정말 힘들지만, 표현을 해보자면, 모든 존재는 상호의존적인 관계에 있으면서 서로 조화를 이루고 있다고 언급할 수가 있다. 정병삼, 「불교교학의 발전, 유식과 화엄」, 『한국사상

  • 지눌의 생애와 사상
  • 불교가 국가적 종교로 전 국민의 귀를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눌이 보는 당시 불교 승려들의 작태는 한심했던 듯 하다. 글 뜻도 모르고 경전의 구절들만 읊어 대는 문자법사가 있었는가 하면 깨닫지도 못한 채 명견불성하겠다고 앉아서 졸고 있는 아믕선객들이 있었따.지눌은 물론 선종 출신 승려로 선이 수행의 근본임을 역설하면서도 그 수행의 철학적 바탕은 화엄교리에서 찾아질 수 있다고 주장함으로써 선과 교 모두를 아우르는 태도를 보였다

  • [한국전통문화] 사찰 조사 -봉선사
  • 불교는 자신을 위한 종교로, 스스로를 갈고 닦아 깨달음을 얻는 것이 종교의 가르침임을 역설하였다. 이런 불교의 가르침으로 미루어 보면 우리나라의 학구열과 선비정신은 유교의 영향도 있지만, 유교에 앞서 우리 민족의 전통적인 사상이었던 불교의 영향도 적게나마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봉선사가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사찰은 아니다. 아마 이름을 들어도 잘 모르는 사람이 대부분일 것이다. 하지만 조사를 통해 알아본 봉선사는 우리

  • [한국역사] 신라하대 선종의 수용과 발전
  • 그 사상』, 성곡논총171988『나말 여초 동리산문의 성립과 그 사상』, 동방학지571994『나말 여초 교종과 선종』, 한국사16蔡尙植 1982『淨土寺 法鏡大師碑 陰記의 分析』, 한국사연구36고익진 1884『신라 하대의 선전래』, 한국선사상연구( 에 재수록)崔源植 1985『新羅下代의 海印寺와 華嚴宗』, 한국사연구49秋萬鎬 1986『羅末 禪師들과 社會 諸勢力과의 關係』, 史叢30김복순 1990『신라 하대 화엄종의 제문제』, 신라 화엄종 연구

  • 고려 시대의 불교철학
  • 불교 수행법의 주류로 이어져 온 돈오점수는 단박에 깨우친다 는 점에서는 돈오돈수와 같지만, 깨우치고 나서도 점진적으로 수행하여야 깨침의 경지를 유지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이에 대하여 돈오돈수는 깨치고 난 뒤에도 더 수행할 것이 남아 있다면 진정으로 깨우치지 못한 것이라는 입장이다. 돈오점수와 돈오돈수 중 어느 것이 옳은 것일까?『참고 문헌』*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한구사상연구소 , 『자료와 해설 한국의 철학사상』 , 예문서원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