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 세시풍속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2.02.11 / 2019.12.24
  • 31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2,1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목차>





Ⅰ. 세시풍속 의의 • 역법



Ⅱ. 세시풍속의 양상

★ 정 월
★ 2 · 3월
★ 4 · 5월
★ 6 · 7월
★ 8 · 9월
★ 10 · 11월
★ 섣 달
★ 윤 월


Ⅲ. 문학작품 속의 세시풍속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양력으로 2월 4일경이나 음력으로 정월에 드는 절기. 이날부터 봄이 시작된다.
①해넘이 - 입춘의 전날 절분(節分)날 밤에 콩을 방이나 문에 뿌려서 악귀를 쫓는 풍습.
②입춘축 - 가정에 좋은 뜻의 글귀를 써서 대문, 대들보, 천정 등에 붙임.
※내용 : 입춘대길(立春大吉) 건양다경(建陽多慶) 국태민안(國泰民安) 가급인족(家給人足) 소지황금출(掃地黃金出) 부모천년수(父母千年壽) 자손만대영(子孫萬代榮)
③보리뿌리 점치기 - 보리의 뿌리를 뽑아 가닥의 수를 보고 보리농사의 작황을 점침.
⇒ 뿌리가 한가닥이 내려있으면 흉년, 두가닥이면 평년, 세 가닥이면 풍년



2) 2 · 3월

(1) 머슴날
겨우내 쉬었던 머슴들이 농사일을 준비하여야할 시기가 왔으므로 그들을 위로하는 행사이다. 낟가릿대의 곡식으로 떡을 만들고 술을 마련하여 머슴에게 향응을 베푼다.
*속신: 경남 밀양지방에서는 이날 저녁에 부녀자들이 지붕에 올라가 동쪽을 보고 만들면 그 옷을 입은 사람이 과거 급제하거나 운이 트인다고 함.
①노래기퇴치 - 2월 초하룻날에 집안을 깨끗이 청소하고 종이를 잘라서 향낭각씨속거천리(香娘閣氏速去千里:노래기여 속히 천리 밖으로 사라지라)라는 글을 써서 서까래에 매달아둠. 여기서 향낭각시는 노래기를 미화 내지 의인화한 것.
⇒ 노래기가 집안에서 모두 밖으로 달아날 것을 강요하는 일종의 언어주술. 경남지방에서는 이를 노래기 부적이라 함.


(2) 경칩
양력으로는 3월 5일 전후, 음력으로는 2월의 절기이다. 농촌에서는 물가에서 개구리 알을 건져먹기도 하며 흙일을 하면 탈이 없다고 하여 벽을 바르거나 담을 쌓기도 한다. 이날 벽을 바르면 빈대가 없어진다고 한다.

(3) 삼짇날
3월 3일을 삼짇날이라고 하는데 이때쯤 되면 날씨가 온화하여 진달래꽃이 피고 제비가 돌아온다. 진달래 꽃
참고문헌
Ⅳ. 참고문헌

윤숙자, 『재미있는 세시음식 이야기』, 질시루, 2009
정승모, 『한국의 세시풍속』, 학고재, 2001
원영주, 『열두 달 세시풍속』, 계림, 2007
김종대, 『열두 달 풍속 놀이』, 산하, 2001
정상진, 『우리민속과 전통문화』세종출판사, 2004
허순봉, 『우리의 세시풍속과 전통놀이 백과사전』, 가람문학사, 2006
소중애, 『팥죽 할멈과 호랑이』, 비룡소, 2010
한국민속대백과사전 한국세시풍속사전 folkency.nfm.go.kr/
세시이야기 - 이야기 한자여행 www.hanja.pe.kr/tra_1/t1_main.htm
네이버 세시풍속 정보 http://customsearch.naver.com/
국립민속박물관 http://www.nfm.go.kr/
한국사 사전 1 http://chang256.new21.net/
네이버 블로그 佛敎와 民俗 한국사/지방사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jdyi8589&logNo=70104559331
세시이야기 http://www.sesistory.pe.kr/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국문학] 시조 레포트
  • 국문학의 여러 갈래들 중 전하는 작품 수가 가장 많고 현재에도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양식을 계승해서 지금도 창작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이러한 시조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 가깝고도 먼 우리 조상들의 숨결을 가장 근접한 상태에서 느낄 수 있는 것이다. 시조가 우리 민족의 대표 문학이라는 것은 일제강점기 시기에 우리 민족의 얼을 고취시키기 위해서 행한 ‘시조부흥운동’과 같은 사건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즉, 시조가 우리

  • [국문학] 향가 `동동`의 원문 풀이, 형식상 특성과 현대적 수용
  • 세시 일을 보다 분명히 밝혔고, 제목에서 명기한대로 연가로서의 특색이 더 잘 드러난다. 각 달마다 세시일과 연정의 모티브가 되는 대상을 좀 더 구체적이고 애잔하게 그려내었다.4연 4월령의 ‘사월 초파일에/ 뒷절에 현 연등불에/ 휘황하게 불타는/ 두 가슴이어라’는 의 2월령 ‘二月ㅅ 보로매/ 아으 노피 현 燈ㅅ블 다호라/ 萬人비취실/ 즈샷다’구절과 통하고, 2월령 2행의 ‘남산에 핀 진달래 꽃 같아라’는3월령 1․2행의 ‘三月나

  • [고전시가론] 가사문학
  • 국문학개론, 새문사, 2003@ 김승찬, 손종흠 공저, 고전시가론,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1993 @ 金壹煥, 朝鮮歌辭文學論, 계명문화사, 1990@ 류연석, 歌辭文學의 硏究, 국학자료원, 2003@ 윤덕진, 가사읽기, 태학사, 1999@ 韓國文學編纂委員會, 韓國文學槪說, 螢雪出版社, 2002@ 한종호, 가사집, 문예출판사, 2000@ 李東英,「歌辭文學의 發生的 硏究」, 석사학위논문 (고려대, 1964)@ 전태열, 「가사의 장르적 성격연구」, 학위논문 (건양대, 2004) @ http://munsu.new21.org@

  • [한국고전문학사]실학사상과 국문학
  • 국문학개론. 세문사김석회(2003). 조선후기 시가연구. 도서출판 월인.김용옥(2000). 노자와 21세기. 서울: 통나무. 김제현․고경식(1988). 시조․가사론. 예전사김종오(1995). 우리 가사문학 이렇게 좋은것인데. 경인문화사.김지용(1984). 實事求是 思想과 朴燕巖의 文學. 연암 연구. 계명대출판부. 170-185. 김학성․권두환(2002). 고전시가론. 새문사.도정일(1995). 시인은 숲으로 가지 못한다. 서울: 민음사. 류재명(1999). 지리와 문학. 문학과 교육. 9. 218-219. 박기

  • [고전문학] `실학사상`과 `국문학` 연구
  • 국문학의 관계에 대하여 정리 해 보았다. 앞서 언급한 바 21세기 현대 사회에 깊은 관련이 있고 실제로 많은 시사를 주었던 것이 조선후기 실학이었고 이러한 관점에서 실학의 발생배경 및 사상적 특징, 그 한계점 및 국문학사에 끼친 영향 등을 살펴보았다. 실학이 민족적 자각과 민족의 자아발견이라는 관점에서 ‘실사구시’의 학문방법을 바탕으로 하는 것이므로, 이러한 사유방식과 학문 지향의 입장을 문학으로 변용한 것이 바로 실학파 문학의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