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 스펙트럼 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 의 감각 처리 이상과 치료적 개입 가능성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1.09.23 / 2019.12.24
  • 16페이지 / fileicon docx (MS워드 2007이상)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4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목 차

1. 서론

1) 배경 및 목적


2) 자폐 스펙트럼 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
(1) 정의 및 특징

(2) 원인
3) 비전형적 감각처리와 행동문제
2. 본론

1) ASD 환자군의 감각처리에 관한 연구
(1) 청각 처리

(2) 시각 처리
(3) 촉각 처리
3) 감각처리에 대한 개입
(1) 감각 통합 치료(Sensory Integration Therapy, SIT)
① 감각통합치료에 대한 설명과 가정

② 경험적 연구

(2) 청각 통합 치료(Auditory Integration Therapy, AIT)
① 설명과 가정

② 경험적 연구
(3) 시각 치료
① 설명과 가정

② 경험적 연구
(4) 촉각 치료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2. 본론

1) ASD 환자군의 감각처리에 관한 연구
(1) 청각 처리
청각 처리에 관한 연구는 ASD의 기저원인을 밝히고 적절한 개입을 위한 개념화를 하는데 중요하게 여겨져 왔다. 언어 능력의 결손은 ASD의 중심 특징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는데 다양한 소리를 분석하고 획득하는 능력은 언어와 의사소통을 위한 기초를 구성하기 때문에 청각 흐름의 기본적인 단계를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다고 여겨진다.
청각 처리 양상과 언어에서의 관련성을 시사하는 Ceponiene와 Lepisto 등(2003)의 연구에 따르면 ASD 아동들의 불수의적인 정향이 자극의 특징에 따라 영향을 받았는데 단순한 음조와 복잡한 음조 변화 모두에서 비자발적인 정향이 정상적으로 나타났지만 모음 변화에 의해서는 전반적으로 손상된 패턴을 보였다. 이는 ASD에서의 청각 정향 손상이 감각의 손상으로 인한 것이 아니라 말소리에 특정적으로 나타나는 것임을 시사한다.(Ceponiene, Lepisto et al., 2003)
최근의 연구는 순행차폐패러다임을 사용함으로써 청각 처리의 복잡성을 증가시켰고, 이를 통해 ASD 집단에서 정상 통제 집단, 정신분열증과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를 ASD 집단과 구분해주는 특정한 파형의 진폭이 약화되어있음을 발견하기도 했다.(Kallstrand, Olsson et al., 2010).
뇌자도(Magnetoencephalographic, MEG)를 이용한 청각 처리 연구에서는 자폐 집단과 통제 집단 간의 대뇌반응이 유의미하게 다르다는 결과를 보고했는데 통제 집단은 확실하게 구별 가능한 불일치 영역(Mismatch Field, MMF)을 보인 반면에 자폐 집단에서는 불일치 영역을 확인할 수 없었다. 이는 저기능 자폐 환자들이 비정상적인 청각 처리와 관련하여 청각 변별의 ㄷ전주의적 단계에서 역기능을 보인다는 것을 시사한다(Tecchio, Benassi et al., 2003).
자폐증에서 새로운 자극을 처리하는 것과 관련된 ERP와 같은 전기 반응을 측정한 연구들은 자폐아동들이 정상 아동들에 비해 유의미하게 더 감소된 반응을 보인다는 사실을 발견했다(Lincoln, Courchesne et al., 1993; Kemner, Verbaten et al., 1995). 또한 최근 뇌파 (Electroencephalogram, EEG) 연구에서는 일차 청각 피질과 연합 청각 피질의 활동을 반영한다고 여겨지는 초기 요소(150ms)에서 비전형적인 형태가 나타남을 보고했다(Marco, Hinkley et al., 2011).
주의와 관련된 연구에서 Gomot, Bernard 등(2006)은 자폐아동들이 보이는 특징 중 하나인 변화에 대한 저항이 예기치 못한 자극을 비전형적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나타난다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기능적자기공명영상(fMRI) 연구를 실시했다. ASD 아동들은 자극의 이탈을 탐지하는 과제와 새로운 소리를 탐지하는 과제를 하는 동안 좌측 전대상피질에서 감소된 활성화 양상을 보였다. 또한 새로운 자극을 탐지하는 동안 ASD 아동들은 양측 측두두정영역, 우측 상전두영역과 중간 전두영역에서 저하된 활성화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자동적인 변화를 탐지하는 것과 관련된 뇌기능에 이상을 보인다는 이전의 연구를 지지하며, ASD 아동들이 보이는 피질 간 네트워크에서의 비정상성이 주의 이동과 주의 자원 할당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그림 1)

그림 1. 통제 집단과 ASD 집단에서 다르게 활성화되는 뇌 영역들(통제 집단 > ASD 집단, 각각 N=12) (A) 이탈된 소리와 기준 소리를 처리할 때, (B) 새로운 소리와 기준 소리를 처리할 때. P<0.001(F=8.12) (Gomot, Bernard et al., 2006)

(2) 시각 처리
ASD 환자군의 비전형적 시각처리에 있어 흥미로운 점은 세부지각에 대한 민감한 처리와, 얼굴지각에 있어 정상 발달군과는 다른, 비전형적인 양상을 보인다는 점이다.
먼저, 세부지각 처리의 경우, 세부적인 시각자극에 대한 증가된 반응(Bertone, Mottron et al., 2005; Vandenbroucke, Scholte et al., 2008)이 ASD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로 언급되며, ASD 아동들은 색깔이나 형태 지각에는 정상적이거나 과도하게 민감한 것으로 밝혀졌다(Davis, Bockbrader et al. 2006). 세부 자극에 대한 ASD 환자군의 과-민감성은 Stehli(1991; Davis et al., 2006에서 재인용)의 연구에서뿐만 아니라, ASD 아동들이 색깔과 형태 등의 작은 변화를 감지하여 목표물을 전형적 발달 아동보다 월등히 빨리 찾은 O’Riordan과 Plaisted(2001; Davis et al., 2006에서 재인용)의 시각 탐색 과제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또한, Vlamings와 Jonkman 등(2010)에 따르면 ASD 아동들은 중립 자극과 높은 공간 빈도 정보와 같은 세부적인 자극에 더 활발하게 반응했다(Vlamings, Jonkman et al., 2010). 그러나 고빈도 혹은 저빈도 공간주파수에 반응하는 대비 민감도에서 자폐 집단과 통제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하지 못한 연구들도 있다(de Jonge, Kemner et al., 2007; Koh, Milne et al., 2010a; Koh, Milne et al., 2010b).
ASD 환자군이 세부적인 것에 고도로 집중하는 양상은 얼굴 처리에서의 결손과 깊은 연관성이 있어 보인다. Behrmann과 Thomas 등(2006)에 따르면 자폐증에서 보이는 얼굴 처리 손상은 시각 정보를 부분에 기초하여 국소적으로 부호화하고 표상하는 경향으로 인한 결과이며, 흔히 덜 적합하다고 여겨지는 부분들에 집중한다. 이러한 장애가 ‘얼굴 역전 효과’를 거의 보이지 않는다는 점은 그들이 전체적인 처리에 덜 의존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결과적으로 자폐아동들이 보이는 국소적인 자극에 과도하게 집중하는 특징은 얼굴 처리를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Behrmann, Thomas et al., 2006). 그러나 친숙한 얼굴자극을 사용할 경우에는 결과 양상이 다르게 나타났다(Simmons, Robertson et al., 2009).
ASD 환자군의 시각 양식의 비정상적 처리와 관련하여, 시각적 주의에 대한 비전형적인 전두엽 활성화 또한 눈여겨볼만한 점이다. Belmonte, Gomot등(2010)에 따르면, ASD 환자군, 형제가 ASD 진단을 받은 정상 발달자(sib 집단), 그리고 친인척 관계가 아닌 정상 발달자(통제 집단)를 대상으로 선택적 주의 과제를 수행시킨 결과, ASD 집단은 통제 집단과는 다른 양상의 뇌 활성화 패턴을 보였다. 통제 집단의 경우, 전두엽, 소뇌, 두정엽의 주의 관장 영역이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넓게 활성화된 반면, ASD 집단의 경우에는 전두엽, 두정엽의 주의 관장 영역은 활성화되지 않았고, 소뇌의 주의 관장 영역 이외의 영역과 후두엽의 시각 영역, 그리고 안와전두피질이 활성화되었다. 하지만, ASD 집단과 sib 집단의 fMRI 영상을 시간 순으로 분석한 결과, 과제 자극이 제시된 순간에는 전두영역과 소뇌에서 활성화가 일어나지 않았지만, 얼마간의 시간 이후 두 영역에서의 활성화가 일어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뇌 활성화 영역과 지연된 활성화의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sib 집단이 ASD으로 진단받지 않는 것은, sib 집단과 ASD 집단의 뇌의 다양한 영역들의 기능적 네트워크의 연결정도가 다르기 때문으로 설명될 수 있다.(Belmonte, Gomot et al. 2010)
얼굴처리는ASD 환자군의 시각 처리와 관련하여 가장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측면 중 하나다. 이는 적절한 얼굴 처리 기술이 사회적 상호작용에 중요한 역할(Schultz, 2005)을 하기 때문일 것이다. 많은 연구들은 ASD 환자군의 얼굴처리에 있어서 방추회와 편도체의 비전형적인 활성화, 타 영역들과의 네트워크의 문제 등을 발견하였다.
참고문헌
4. 참고문헌

김진호, 박재국, 방명애, 안성우, 유은정, 윤치연, 이효신(역) (2007). 최신 특수교육 (8판). William L. Heward의 Exceptional children: an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서울: 시그마프레스. 205-209

박현옥(역) (2005). ASD 개론. Mesibov, Gary B의Autism: Understanding the Disorder. 서울:
시그마프레스. 69-97

이소현(역) (2005). 자폐 범주성 장애. Richard L. Simpson 외Autism Spectrum Disorders. 서울:
시그마프레스. 259-264

정윤경, 김미정(역) (2010). ASD에 대한 진실과 오해, Laura Schreibman의 science and fiction
of autism. 서울: 시그마프레스.

정인태(2002). ASD은 치료된다?!. 서울: 유아마음.

차혜경, 유정미(역) (2007). 예방접종 어떻게 믿습니까 (개정판). Stephanie Cave의 What your
doctor may not tell you about children's vaccinations. 성남: 바람

Bao, S., E. F. Chang, et al. (2003). "Progressive degradation and subsequent refinement of acoustic representations in the adult auditory cortex." J Neurosci 23(34): 10765-10775.

Baranek, G. T. (2002). "Efficacy of sensory and motor interventions for children with autism." J Autism Dev Disord 32(5): 397-422.

Baranek, G. T., L. G. Foster, et al. (1997). "Tactile defensiveness and stereotyped behaviors." Am J Occup Ther 51(2): 91-95.

Baron-Cohen, S., E. Ashwin, et al. (2009). "Talent in autism: hyper-systemizing, hyper-attention to detail and sensory hypersensitivity." Philos Trans R Soc Lond B Biol Sci 364(1522): 1377-1383.

Bauer, A. M., J. A. Quas, et al. (2002). "Associations between physiological reactivity and children's behavior: advantages of a multisystem approach." J Dev Behav Pediatr 23(2): 102-113.

Behrmann, M., C. Thomas, et al. (2006). "Seeing it differently: visual processing in autism." Trends Cogn Sci 10(6): 258-264.

Belmonte, M. K., M. Gomot, et al. (2010). "Visual attention in autism families: 'unaffected' sibs share atypical frontal activation." J Child Psychol Psychiatry 51(3): 259-276.

Bertone, A., L. Mottron, et al. (2005). "Enhanced and diminished visuo-spatial information processing in autism depends on stimulus complexity." Brain 128(Pt 10): 2430-2441.

Bettison, S. (1996). "The long-term effects of auditory training on children with autism." J Autism Dev Disord 26(3): 361-374.

Blairs, S. S., S (2007). "The clinical application of deep touch pressure with a man with autism presenting with severe anxiety and challenging behavior." British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35(4): 214–220.

Broman, S. H., Fletcher, Jack. (2008). The changing nervous system: Neurobehavioral
consequences of early brain disorder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365-385.

Carmody, D. P., M. Kaplan, et al. (2001). "Spatial orientation adjustments in children with autism in Hong Kong." Child Psychiatry Hum Dev 31(3): 233-247.

Castren, E., F. Zafra, et al. (1992). "Light regulates expression of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mRNA in rat visual cortex." Proc Natl Acad Sci U S A 89(20): 9444-9448.

Ceponiene, R., T. Lepisto, et al. (2003). "Speech-sound-selective auditory impairment in children with autism: they can perceive but do not attend." Proc Natl Acad Sci U S A 100(9): 5567-5572.

Cesaroni, L. and M. Garber (1991). "Exploring the experience of autism through firsthand accounts." J Autism Dev Disord 21(3): 303-313.

Churches, O., S. Wheelwright, et al. (2010). "The N170 is not modulated by attention in autism spectrum conditions." Neuroreport 21(6): 399-403.

Dalton, K. M., B. M. Nacewicz, et al. (2007). "Gaze-fixation, brain activation, and amygdala volume in unaffected siblings of individuals with autism." Biol Psychiatry 61(4): 512-520.

Dalton, K. M., B. M. Nacewicz, et al. (2005). "Gaze fixation and the neural circuitry of face processing in autism." Nat Neurosci 8(4): 519-526.
Davis, R. A., M. A. Bockbrader, et al. (2006). "Subjective perceptual distortions and visual dysfunction in children with autism." J Autism Dev Disord 36(2): 199-210.

Dawson, G. and R. Watling (2000). "Interventions to facilitate auditory, visual, and motor integration in autism: a review of the evidence." J Autism Dev Disord 30(5): 415-421.

de Jonge, M. V., C. Kemner, et al. (2007).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in high-functioning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their parents." Neuropsychology 21(1): 65-73.

Fagiolini, M. and T. K. Hensch (2000). "Inhibitory threshold for critical-period activation in primary visual cortex." Nature 404(6774): 183-186.

Fletcher, J. and S. H. Broman (1999). The changing nervous system : neurobehavioral consequences of early brain disorders. New York ;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Francis, K. (2005). "Autism interventions: a critical update." Dev Med Child Neurol 47(7): 493-499.

Gomot, M., F. A. Bernard, et al. (2006). "Change detection in children with autism: an auditory event-related fMRI study." Neuroimage 29(2): 475-484.

Hadjikhani, N., R. M. Joseph, et al. (2004). "Activation of the fusiform gyrus when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view faces." Neuroimage 22(3): 1141-1150.

Huang, Z. J., A. Kirkwood, et al. (1999). "BDNF regulates the maturation of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국어국문학] 영화를 통해 알아 본 언어장애-`말아톤`의 `초원`
  • 의 발화를 중심으로.Ⅲ. 자폐증과 자폐 아동Ⅲ-i. 자폐증의 분류Ⅲ-ii. 자폐증의 원인- 자폐증의 원인에 대한 연구 동향 및 전문가들의 Q&A.Ⅲ-iii. 자폐증의 증상-언어적 측면(화용, 의미, 통사음운형태론)에서. Ⅲ-iv. 자폐증의 진단Ⅳ. 결론 Ⅳ-i. 자폐증의 교정방법- 언어수정을 중심으로.Ⅳ-ii. 영화 ‘말아톤’ 속 ‘초원’의 치료방법 ■ 참고문헌Ⅰ. 서론Ⅰ-i. 자폐증의 정의* 정신장애>발달장애(PDD(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자폐(Autism)자폐

  • [정신건강론] 아동기 정신장애와 정신지체
  • 자폐증이란 어떤 것이고, 또 어떤 것이 아닌가? *자폐증이란 다음과 같은 것이다. : ①뇌기능 면에서 생물학적, 기질적인 결함을 지닌 전반적인 발달장애  ②여자보다 남자에서 4배 흔하게 발생  ③심각한 학습곤란을 가진 사람들부터 평균 혹은 평균 이상의 지능지수(IQ)를 가진 사람들까지 포함하는 spectrum disorder ④산모의 풍진 같은 기질적 원인과 관련. ⑤청소년에 약1/3에서 간질, 경련발작이 나타날 수 있다. ⑥유전적인 것과 연관될 가능성 ⑦감각

  • 정서장애 및 행동장애, 정신분열증,우울증,편집증, 성격장애,강박장애, ADHD,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자폐증, 아스퍼거 장애, 뚜렛 증후군, 정서장애 및 행동장애 해결방법,
  • 정서장애 및 행동장애에 대한 원인과 대책(정신분열증,우울증,편집증,성격장애,강박장애,ADHD(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자폐증,아스퍼거 장애,뚜렛 증후군)1.정신분열증정신분열증이란 사고정서감각운동 등 성격의 여러 측면에서 특이한 화해가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주요 정신병의 하나이다. 사고장애는 다시 사고 내용과 사고형태의 장애로 나뉘는데, 사고내용의 장애는 면접 중에도 자신이 무슨 얘기를 하고 있는지 감을 잡을 수 없을 정

  • [가족복지,특수교육,정신건강]자폐증
  • 의 양육태도에 의해 자폐적이 되는 것이 아니며 이미 태어나기 전부터 생리적 기관이 정상아와 다르기 때문에 자폐적 증상을 보이는 것이다.이다. 가장 최근의 진단 기준은 DSM-IV로 이 장애는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 및 사회적 상호작용에 있어서 심각한 결함을 가지며, 특징적인 행동 특성으로 비정상적이고 손상된 의사소통, 반복적인 활동과 상동 행동적인 움직임, 일과나 환경의 변화에 대한 저항, 그리고 감각 경험에 대한 비정상적인 반응을

  • 장애인복지-발달장애-
  • 장애는 포함시키지 않는다.우리 나라에서는 아직 발달장애라는 개념이나 정의가 익숙하지는 않지만, 대체로 인지적, 기능적 기능과 감각능력, 의사소통 능력, 사회적 행동 면에서 평균의 사람들과 차이가 나기 때문에 이런 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교육과 잠재적인 능력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교육을 필요로 하고 있다. 아동기에 많이 나타나는 장애로는 일반적으로 인지적 발달이 늦는 정신지체, 전반적 발달 장애로는 자폐증과 학습이나 언어와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최근 판매 자료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