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대사] 임나일본부설과 고대 한일 관계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1.07.26 / 2019.12.24
  • 15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est1est2est3est4est5 1(구매금액의 3%지급)
  • 1,4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개요>

Ⅰ. 서론
논란이 되었던 시사적 이슈를 통한 문제제기, 임나일본부설 탐구 이유

Ⅱ. 본론

1. 임나일본부설의 의미
① 기본개념
② 성립과정과 주요내용

2. 고대 한․일 관계
① 고구려와 왜의 관계
② 백제와 왜의 관계
③ 신라와 왜의 관계
④ 가야와 왜의 관계

3. 임나일본부설에 대한 일본학계의 주장과 근거
① 출선기관설
② 가야의 왜인설
③ 광개토왕릉비 비문

4. 임나일본부설에 대한 국내 학자들의 주장과 근거
① 분국설
② 백제군사령부설
③ 외교사절설
④ 칠지도

5. 임나일본부설의 문제점
① 『일본서기』
② 광개토대왕릉비
③ 가야 부재의 임나일본부설


Ⅲ. 결론
향후 임나일본부설에 대한 연구 과제

참고문헌

본문내용
4)가야와 왜의 관계

가야지역 특히 금관가야의 전신인 狗那韓國(한국)(구나한국)은 이미 기원전부터 왜의 대중국교섭의 중간 기착지로서 역할을 한 것이 삼국지 위서 왜인전 등에 의해서 확인되는데, 이는 가야가 일찍부터 왜와 활발한 관계를 가져왔음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사실은 삼국지 한조의 “나라에 철이 나서 韓․濊․倭(한․여․왜) 가 모두 이를 얻어간다”는 내용으로도 뒷받침된다. 그리고 김해 池内洞(지내동) 옹관묘에 부장된 袋狀口綠土器(대상구록토기), 김해 부원동 패총에서 나온 二段口綠形土器(이단구록형토기) 등도 김해지역과 왜와의 교류를 잘 보여주고 있다. 그런데 양 지역에 소국가가 분립된 상태에서 이루어진 이와 같은 교류는 4세기에 들어서면서 중대한 변화를 일으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먼저 일본열도에서는 아직 지방 세력이 잔존하기는 하지만 야마토왜 야마토 시대(大和時代)는 일본의 야마토 정권이 현재 나라 현의 아스카 촌을 중심으로 일본을 다스리던 국가 형성, 확립의 시대(250년–710년)이다. 고훈 시대와 아스카 시대를 합해서 일컫는다. 아직 일본이라는 국명을 사용하진 않았으며, 한국이나 중국에서는 왜(倭)라고 불렀다.
가 우위를 확립한 후 서일본까지도 그 세력 하에 편입시킴으로써 일본열도 내에 있어서 가야의 주교섭대상으로서 등장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가야지역에서도 구나한국이 금관가야로, 다시 말하면 삼한 소국단계에서 가야로 전환되는데 이 과정에서 김해지역을 중심으로 국가 간의 통합이 가속화되고 금관가야가 그 중심적 역할을 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가야지역에서 우월한 지위를 확보한 위에 전대부터 왜의 대중국교섭의 중각 기착지로서의 역할을 해왔던 구나한국을 계승한 만큼 금관가야가 야마토왜의 한반도에 있어서의 주 교섭대상으로 등장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4세기 들어서면서 양 지역에서 통합이 가속되어감에 따라 필연적으로 지금까지의 산발적인 교류는 점차 정치적인 관계로 전환되지 않을 수 없었으리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금관가야를 위시한 가야 제국이 언제부터 야마토왜와 정치적인 목적의 교섭을 갖기 시작했는지는 알 수 없다. 그러나 그에 대한 시사적인 내용이 <광개토대왕릉비>에 보인다. 이 비문에 의하면 400년과 404년에 왜가 한반도에 침입하여 고구려와 싸운 것으로 되어있다. 그런데 지리적으로 보아 야마토왜가
참고문헌
<참고문헌>

김현구, 임나일본부설은 허구인가, 창작과비평사, 2010
정효운, 6세기 한ㆍ일관계사의 재구축, 한국고대사학회, 2009, pp. 337~365
정효운, 중간자적 존재로서의 ‘임나일본부’, 동북아시아문화학회, 동북아 문화연구, 2007, pp. 481~508
정효운, 6세기 동아시아 정세와 「任那日本府」, 한국일본어문학회, 2005, pp. 204~211
이영식, 임나일본부에 대한 연구의 역사, 내일을 여는 역사, 2001, pp. 85~96
김태식, 역사산책 광개토왕릉 비문 논쟁과 임나일본부설, 역사비평사, 1997, pp. 386~397
박노자, “거꾸로 본 고대사, 역사학계 한-일전 '임나일본부설' - 한국 쪽 기록은 태부족, 일본 쪽 기록은 창작물 수준”, 한겨레신문사, 2009.04.06
백승충, 한국고대사 - 제4권 : 고대국가의 대외관계-'임나일본부'와 '왜계백제관료' , 한국고대사회연구소, 2003
김재환, “National Affairs-고대 한·일관계의 비밀 담은 칠지도 : 일본이 임나일본부설 증거로 내세워···광개토대왕비와 함게 조작 가능성 높아” , News Week 中央日報社, 2004

자료평가
  • 자료평가0자료평가0자료평가0자료평가0자료평가0
  • 나름 쓸만하네요..
  • alswjd5***
    (2014.06.14 21:13:16)
회원 추천자료
  • 임나일본부에 대해서
  • 임나일본부1400년의 침묵을 깨고 비석하나가 새롭게 발견됐다.그것은 바로 광개토대왕비였다.일본은 광개토대왕비문과 일본서기를 근거로 4세기부터 6세기까지 200년 간 고대 일본이 고대 한국의 남부를 지배했다는 임나일본부설을 주장했다.한일 고대사를 둘러싼 논쟁의 시작이었다.광대토대왕비 재발견 이후 지금까지 계속되고 있는 한일역사학계 최대의 쟁점, 임나일본부.임나일본부의 정체는 과연 무엇일까?-KBS 역사스페셜 中-임나일본부

  • [임나일본부설][임나일본부]임나일본부설(임나일본부)의 특징, 임나일본부설(임나일본부)의 근거, 임나일본부설(임나일본부)의 견해, 임나일본부설(임나일본부)의 연구, 임나일본부설(임나일본부)의 결함 분석
  • 임나일본부설(임나일본부)의 결함1. 임나의 위치를 대부분 한반도 가야지방 또는 가야지방을 포함한 남부지방으로 오해2. 송서 왜전에 나오는 왜왕을 일본열도 왜왕으로 오해3. 일본서기에 나오는 일본부의 성격과 존재이유를 오해Ⅶ. 결론참고문헌Ⅰ. 서론근세의 일본과 조선은 대등 외교 관계였다고 일컬어지고 있다. 그러나 강호 말기에 국학의 서민 상류층 보급과 때를 같이하여 고대사 연구가 활발해 지면서 비역사적 사실인 신공 왕후의 삼

  • [고대 역사학] 가야를 둘러싼 임나일본부 논쟁에 대해여
  • 한국 고대문화의 이해 가야사를 둘러싼 임나일본부 논쟁에 관하여 ● 목 차1. 들어가며2. 본론1) 임나에 대한 개념 정리2) 임나일본부설의 성립과 영향3) 임나일본부에 대한 제견해들4) 근거 자료의 검토3. 나가며Ⅰ. 들어가며임나일본부 문제는 가야사의 재정립과 고대 한일 관계사의 해명을 위해 반드시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이다. 그 동안 한일 양국의 자기중심적 해석으로 인해 객관적이지 못한 여러 학설들이 제기되었고, 특히 가야사와 6

  • [한국의역사와문화] 임나일본부와 고대 한일관계
  • 임나일본부설은 일본의 한국에 대한 제국주의적 침략행위를 과거로의 환원으로 정당화하는 도구로 사용되어 35년 간의 식민통치를 합리화하는 관념적 버팀대로서 기능했던 것이다. 따라서 식민사학의 극복을 논의하기 위해서도 이 임나일본부설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와 비판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Ⅱ. 고대 한일사와 임나일본부설(任那日本府設) 1. 임나일본부설이란 1) 6세기의 역사적 상황과 한일관계6세기의 동아시아 세계는 두 개의 지역세계

  • [역사왜곡] 일본의 역사교과서왜곡
  • 한국 강제병합 정당화’, ‘강화도 사건의 계획성 은폐’, ‘동학농민 전쟁 오도’ 등을 대표적 왜곡 사례로 지적했다. 군대위안부 기술 누락․축소는 여성계 및 국회의 의견을 받아들여 별도 항목으로 만들었다. 또 고대사․중세사 부분에서는 ‘임나일본부설의 기정사실화’, ‘임진왜란 정당화’, ‘중국의 속국설’ 등의 문제점을 집중적으로 거론했다. 특히 정부는 단순히 문제점만 지적하지 않고 ‘삭제필요’, ‘설명누락’, ‘고의누락’ 등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